Two Meanings of saṃjñā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Puguang’s 普光 Interpretations of saṃjñākaraṇa in the Jushelun ji 俱舍論記

Seongho Choi
{"title":"Two Meanings of saṃjñā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Puguang’s 普光 Interpretations of saṃjñākaraṇa in the Jushelun ji 俱舍論記","authors":"Seongho Choi","doi":"10.22255/jkabs.107.01","DOIUrl":null,"url":null,"abstract":"보광(普光)은 『구사론기』(俱舍論記, T1821)에서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倶舍論, T1558)에 사용된 용어인 saṃjñākaraṇa (作想)에 대한 네 가지 해석을 소개한다. 첫번째 해석은 이 단어를 바후브리히(bahuvrīhi) 복합어로 이해한 것에 바탕을 둔다. 두번째와 세번째 해석은 이 단어를 딷뿌루샤(tatpuruṣa) 복합어로 이해한 것에 바탕을 둔다. 마지막 해석은 이 단어를 까르마다라야(karmadhāraya) 복합어로 이해한 것에 바탕을 둔다. 선행 연구들은 마지막 해석을 보광의 새로운 해석으로 간주했다. 하지만 필자는 마지막 해석은 이전 주석서에 이미 소개된 해석이며, 오히려 첫번째 해석이 새로운 것이라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또한 마지막 해석은 티벳 번역가 및 중국 역경승 진제(眞諦)가 이 용어를 이해한 방식에 상응한다는 점도 보여주고자 한다. 이 논증을 위해서, 필자는 산스크리트 용어 saṃjñā (想)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용어는 ‘관념화(ideation)’를 뜻하기도 하고 ‘단어(word)’를 뜻하기도 한다. 보광의 saṃjñākaraṇa 해석 중 바후브리히와 딷뿌루샤 복합어 분석에 근거한 해석은 saṃjñā 를 ‘관념화’로 이해한 것에 기인하며, 까르마다라야 복합어 분석에 근거한 해석은 이 용어를 ‘단어’로 이해한 것에 기인한다.","PeriodicalId":483221,"journal":{"name":"Han'gug bulgyohag","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bulgyo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5/jkabs.107.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보광(普光)은 『구사론기』(俱舍論記, T1821)에서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倶舍論, T1558)에 사용된 용어인 saṃjñākaraṇa (作想)에 대한 네 가지 해석을 소개한다. 첫번째 해석은 이 단어를 바후브리히(bahuvrīhi) 복합어로 이해한 것에 바탕을 둔다. 두번째와 세번째 해석은 이 단어를 딷뿌루샤(tatpuruṣa) 복합어로 이해한 것에 바탕을 둔다. 마지막 해석은 이 단어를 까르마다라야(karmadhāraya) 복합어로 이해한 것에 바탕을 둔다. 선행 연구들은 마지막 해석을 보광의 새로운 해석으로 간주했다. 하지만 필자는 마지막 해석은 이전 주석서에 이미 소개된 해석이며, 오히려 첫번째 해석이 새로운 것이라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또한 마지막 해석은 티벳 번역가 및 중국 역경승 진제(眞諦)가 이 용어를 이해한 방식에 상응한다는 점도 보여주고자 한다. 이 논증을 위해서, 필자는 산스크리트 용어 saṃjñā (想)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용어는 ‘관념화(ideation)’를 뜻하기도 하고 ‘단어(word)’를 뜻하기도 한다. 보광의 saṃjñākaraṇa 해석 중 바후브리히와 딷뿌루샤 복합어 분석에 근거한 해석은 saṃjñā 를 ‘관념화’로 이해한 것에 기인하며, 까르마다라야 복합어 분석에 근거한 해석은 이 용어를 ‘단어’로 이해한 것에 기인한다.
《Abhidharmakośabhāṣya》中saṃjñā的两种含义与《巨轮记》中朴光对saṃjñākaraṇa的诠释
普光(日光)是《驾驭论》(外资俱老舍論》、t1821)在《运用아비달마论》(阿毘達磨倶老舍論、t1558)所使用的用语“saṃjnākaraṇa(的作品灵感介绍的四种解释。第一种解释是将这个词理解为bahuvrī (bahuvr)复合语。第二个和第三个解释是把这个词딷撒鲁萨(tatpuruṣa)复合语的理解为基础。最后的解释是把这个词理解为karmadh和raya的复合词。先行研究将最后的解释视为普光的新解释。但笔者想论证的是,最后的解释是在之前的注释书中已经介绍过的解释,而第一个解释反而是新的。最后的解释是西藏翻译家和中国的真理真理理解这个术语的方式。为了论证,笔者梵语术语saṃjnā(理想)可以用作两种意义,介绍。这个词有ideation的意思,也有word的意思。看,广义saṃjnākaraṇa解释中宝后喷布利希和딷鲁沙복합어分析的解释是根据saṃjnā为'观念的理解,不同的家乐福要缘于복합어分析根据的解释是“单词”这一用语为起因的理解。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