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in Lee, Nahyun Kim, Sae-Won Kim, Seokkyeong Hong
{"title":"How Do Shorts Mediate TV Drama Reception? : Focusing on the Case of〈Extraordinary Attorney Woo〉","authors":"Hamin Lee, Nahyun Kim, Sae-Won Kim, Seokkyeong Hong","doi":"10.22876/kab.2023.37.4.006","DOIUrl":null,"url":null,"abstract":"2017년에 처음 등장한 쇼트폼은, 각종 플랫폼에서는 물론 한국 TV 드라마 소비의 맥락에서도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로 드라마 수용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의 쇼트폼 콘텐츠인 쇼츠(shorts)가 한국 드라마 수용에 끼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TV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한국어와 영어로 유튜브에 검색하고, 조회수 상위 100위 내 영상 중 쇼츠의 개수와 조회수, 주제 등을 분석하였다. 한국어(71개) 혹은 영어(62개)를 검색함에 따라 검색 결과의 문화적 차이는 있었으나 쇼츠는 세로 화면으로 구성되었다는 특성으로 인해 배우의 얼굴을 클로즈업함으로써 연기 퍼포먼스, 소수의 인물 간 관계 묘사, 극적인 대사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기존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였다. 따라서 쇼츠는 배우의 연기, 대사, 인물간 관계성이 중요한 한국 드라마의 특성을 강조 및 재생산하는 데 최적화된 형식이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유튜브 쇼츠의 ‘1분 이내의 시간성’과 ‘세로 화면에 적합한 공간성’은 기존 영상의 프레이밍(framing)을 통해 콘텐츠를 특정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유도하는 등 TV 드라마 소비 방식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한국 드라마의 세계적 수용에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할 것임을 전망하였다.","PeriodicalId":50079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76/kab.2023.37.4.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2017년에 처음 등장한 쇼트폼은, 각종 플랫폼에서는 물론 한국 TV 드라마 소비의 맥락에서도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로 드라마 수용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의 쇼트폼 콘텐츠인 쇼츠(shorts)가 한국 드라마 수용에 끼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TV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한국어와 영어로 유튜브에 검색하고, 조회수 상위 100위 내 영상 중 쇼츠의 개수와 조회수, 주제 등을 분석하였다. 한국어(71개) 혹은 영어(62개)를 검색함에 따라 검색 결과의 문화적 차이는 있었으나 쇼츠는 세로 화면으로 구성되었다는 특성으로 인해 배우의 얼굴을 클로즈업함으로써 연기 퍼포먼스, 소수의 인물 간 관계 묘사, 극적인 대사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기존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였다. 따라서 쇼츠는 배우의 연기, 대사, 인물간 관계성이 중요한 한국 드라마의 특성을 강조 및 재생산하는 데 최적화된 형식이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유튜브 쇼츠의 ‘1분 이내의 시간성’과 ‘세로 화면에 적합한 공간성’은 기존 영상의 프레이밍(framing)을 통해 콘텐츠를 특정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유도하는 등 TV 드라마 소비 방식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한국 드라마의 세계적 수용에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할 것임을 전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