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nvestigating tourism activity participation patterns depending on monthly average income: using market basket analysis","authors":"Sun-Mi Yun","doi":"10.31667/jhts.2023.07.102.1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구경북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 대구 관광 실태조사’ 원자료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다수의 관광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관광 활동 참여패턴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득 계층별 관광 활동 참여 형태와 역할을 파악하여 대구광역시와 연계한 여행상품 개발자와 관광관리 담당자에게 홍보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바구니 분석을 하였으며,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 등 3가지의 파라미터(parameter) 기반의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연관성 규칙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패턴을 의미하는 연관성 규칙의 수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사이에서 허브 역할을 하는 앵커 관광 활동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패턴이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동일한 관광 활동 참여패턴을 보이더라도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하는 확률 또는 기대 확률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활동 참여패턴 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구 관광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및 홍보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장바구니 분석 연구를 활용한 참여패턴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7.102.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경북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 대구 관광 실태조사’ 원자료 활용하여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다수의 관광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관광 활동 참여패턴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득 계층별 관광 활동 참여 형태와 역할을 파악하여 대구광역시와 연계한 여행상품 개발자와 관광관리 담당자에게 홍보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바구니 분석을 하였으며,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 등 3가지의 파라미터(parameter) 기반의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연관성 규칙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패턴을 의미하는 연관성 규칙의 수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사이에서 허브 역할을 하는 앵커 관광 활동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패턴이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동일한 관광 활동 참여패턴을 보이더라도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관광 활동 참여하는 확률 또는 기대 확률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구광역시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 활동 참여패턴 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구 관광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및 홍보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장바구니 분석 연구를 활용한 참여패턴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