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Long-Term Effect of Fine Particulate Matter(PM<SUB>2.5</SUB>) on Risk of Death from Environmental Disease among Older Adults","authors":"In-Chang Hwang","doi":"10.15301/jepa.2023.31.3.65","DOIUrl":null,"url":null,"abstract":"고령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다. 이 논문은 환경보건 정책 분야에서 고령화의 영향을 살펴본다. 그 중에서도 고령화에 따른 PMSUB2.5/SUB 건강영향을 분석하고 전망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PMSUB2.5/SUB에 대한 장기노출이 고령자(만 65세 이상)의 환경성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고령화 추세를 반영해 2030년까지 조기사망자 수 변화를 전망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서는 콕스(Cox) 비례위험모형을 구축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DB와 서울시 자치구별 PMSUB2.5/SUB 농도를 이용해 PMSUB2.5/SUB 농도와 고령자의 환경성질환 사망률 사이의 관계를 추정한다. 주요 결과로서 연평균 PMSUB2.5/SUB 농도가 10㎍/㎥ 증가하면 고령자가 환경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은 13.9% 높아진다. 서울에서 2015년에 PMSUB2.5/SUB로 인한 고령자의 조기사망자 수는 1,162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PMSUB2.5/SUB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고령화 추세로 인해 PMSUB2.5/SUB로 인한 서울의 고령자 조기사망자 수는 2030년에는 2,13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로 인해 PMSUB2.5/SUB 건강 영향이 악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에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별 미세먼지 상세정보 시스템 구축, 미세먼지 관련 정보전달 체계 정비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86226,"journal":{"name":"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301/jepa.2023.31.3.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고령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킨다. 이 논문은 환경보건 정책 분야에서 고령화의 영향을 살펴본다. 그 중에서도 고령화에 따른 PMSUB2.5/SUB 건강영향을 분석하고 전망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PMSUB2.5/SUB에 대한 장기노출이 고령자(만 65세 이상)의 환경성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고령화 추세를 반영해 2030년까지 조기사망자 수 변화를 전망한다. 실증 분석을 위해서는 콕스(Cox) 비례위험모형을 구축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DB와 서울시 자치구별 PMSUB2.5/SUB 농도를 이용해 PMSUB2.5/SUB 농도와 고령자의 환경성질환 사망률 사이의 관계를 추정한다. 주요 결과로서 연평균 PMSUB2.5/SUB 농도가 10㎍/㎥ 증가하면 고령자가 환경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할 위험은 13.9% 높아진다. 서울에서 2015년에 PMSUB2.5/SUB로 인한 고령자의 조기사망자 수는 1,162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PMSUB2.5/SUB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고령화 추세로 인해 PMSUB2.5/SUB로 인한 서울의 고령자 조기사망자 수는 2030년에는 2,13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로 인해 PMSUB2.5/SUB 건강 영향이 악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에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별 미세먼지 상세정보 시스템 구축, 미세먼지 관련 정보전달 체계 정비 등 관련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