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ssembling the Sacred in Museum

Hwasun Choe
{"title":"Reassembling the Sacred in Museum","authors":"Hwasun Choe","doi":"10.36429/crrc.44.2","DOIUrl":null,"url":null,"abstract":"서구 근대 뮤지엄은 초창기부터 종교의 건축물을 의도적으로 모방했고, 뮤지엄의 공간은 종교의례의 공간처럼 경계 지워지고 특정한 프로그램을 따라 세심히 설계된 공간이었다. 이러한 뮤지엄 방문은 종종 종교경험에 빗대어 묘사되기도 하며, 최근에 와서는 종교가 아니더라도 영성적인 것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이 뮤지엄을 통해 시도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에서는 뮤지엄의 성스러움을 종교학의 성스러운 공간에 관한 기존 논의를 넘어 어떻게 새롭게 접근해볼 수 있을지 가늠해본다.성스러운 공간에 관한 지난 세기 종교학 담론은 공간의 성스러움이란 것이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상상력과 의미화 작용 혹은 의례 행위를 통한 성화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유동적인 것이라는 생각을 전개해왔다. 이러한 성스러운 공간의 유동성은 단지 특정 종교의 장소만이 아닌 다른 비종교적 장소들 역시 성스러운 공간의 논의를 적용해 분석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줬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공간의 성스러움을 이미 기존 종교학에서 논의한 ‘성스러운 것’의 특징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실제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성스러움의 역동성을 충분히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은 브루노 라투르의 ‘연합체의 사회학’의 논의에서 힌트를 얻어 뮤지엄이라는 비종교적 장소의 성스러움을, 여러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합체’로서의 성스러움으로 가정한다. 이 글은 실제 전시회와 뮤지엄의 예를 통해, 뮤지엄에서의 성스러움이 특정 전시기획 의도나 특정 종교의 오브제, 특정 종교의 성스러움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 연결망을 통해 일어나는 번역 과정, 그리고 그 번역 과정의 ‘관계성’, ‘사건성’, ‘분산성’으로 인해 언제나 예기치 못한 새로운 모습의 성스러움으로 재조합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이 글은 이러한 검토를 통해 행위자를 따라가고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의 연결망을 추적하는 연구가 종교학의 성스러운 공간에 관한 논의를 좀더 보완하고 새로운 방향을 열어줄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PeriodicalId":492156,"journal":{"name":"Jong'gyo munhwa bi'pyeong","volume":"10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ng'gyo munhwa bi'pye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429/crrc.44.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서구 근대 뮤지엄은 초창기부터 종교의 건축물을 의도적으로 모방했고, 뮤지엄의 공간은 종교의례의 공간처럼 경계 지워지고 특정한 프로그램을 따라 세심히 설계된 공간이었다. 이러한 뮤지엄 방문은 종종 종교경험에 빗대어 묘사되기도 하며, 최근에 와서는 종교가 아니더라도 영성적인 것과 관련된 다양한 체험이 뮤지엄을 통해 시도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에서는 뮤지엄의 성스러움을 종교학의 성스러운 공간에 관한 기존 논의를 넘어 어떻게 새롭게 접근해볼 수 있을지 가늠해본다.성스러운 공간에 관한 지난 세기 종교학 담론은 공간의 성스러움이란 것이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상상력과 의미화 작용 혹은 의례 행위를 통한 성화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유동적인 것이라는 생각을 전개해왔다. 이러한 성스러운 공간의 유동성은 단지 특정 종교의 장소만이 아닌 다른 비종교적 장소들 역시 성스러운 공간의 논의를 적용해 분석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줬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공간의 성스러움을 이미 기존 종교학에서 논의한 ‘성스러운 것’의 특징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실제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성스러움의 역동성을 충분히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은 브루노 라투르의 ‘연합체의 사회학’의 논의에서 힌트를 얻어 뮤지엄이라는 비종교적 장소의 성스러움을, 여러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합체’로서의 성스러움으로 가정한다. 이 글은 실제 전시회와 뮤지엄의 예를 통해, 뮤지엄에서의 성스러움이 특정 전시기획 의도나 특정 종교의 오브제, 특정 종교의 성스러움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 연결망을 통해 일어나는 번역 과정, 그리고 그 번역 과정의 ‘관계성’, ‘사건성’, ‘분산성’으로 인해 언제나 예기치 못한 새로운 모습의 성스러움으로 재조합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이 글은 이러한 검토를 통해 행위자를 따라가고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의 연결망을 추적하는 연구가 종교학의 성스러운 공간에 관한 논의를 좀더 보완하고 새로운 방향을 열어줄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在博物馆重新组装神圣
西欧近代博物馆从初期开始就有意模仿宗教的建筑物,博物馆的空间就像宗教礼仪的空间一样,被消除界限,按照特定的程序细心设计。这样的博物馆访问经常被描述成宗教经验,最近即使不是宗教,也会通过博物馆尝试与灵性相关的多种体验。在这种情况下,本文试图超越对宗教学神圣空间的现有讨论,重新审视博物馆的神圣。上世纪宗教学对神圣空间的讨论一直认为,空间的神圣不是固定的,而是通过人类的想象力和语义化作用或礼仪行为的圣火可以形成的灵活的东西。这种神圣空间的流动性,不仅是特定宗教的场所,其他非宗教的场所也可以适用对神圣空间的讨论进行分析。但笔者认为,这种方式通过现有宗教学中已经讨论过的“神圣的东西”的特征来说明空间的神圣性,在充分说明实际空间中形成的神圣的可塑性方面存在局限性。从这个意义上说,这篇文章从布鲁诺·拉图尔的《联合体的社会学》的讨论中得到启发,将博物馆这一非宗教场所的神圣性假设为多种多样的人类-非人类行为者的“联合体”的神圣性。这篇文章通过实际展示会和博物馆的例子,博物馆中的特定展览企划意图性味或特定宗教的象征,特定宗教的性味,不局限于通过多种多样的人类-行为人人性化网络发生的翻译过程,以及翻译过程的“关系”、“事件性主张由于“分散性”,随时都有可能重新组合成预想不到的新面貌的神圣。这篇文章希望通过这样的研究,追踪行为者,追踪人类及非人类行为者的连接网的研究,进一步完善宗教学的神圣空间相关的讨论,打开新的方向。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