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an Intercultural Training Model Based on Reenactment Video: Focusing on Expatriate Training","authors":"Jinchul Choi","doi":"10.18237/kdgw.2023.41.3.087","DOIUrl":null,"url":null,"abstract":"해외주재원이나 장단기 파견 근무자와 같이 국제업무 활동에 노출되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문화 간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국내외 기업의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자 도전이다. 이 연구는 국내 모기업의 해외주재원 파견전 교육을 위해 만든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 실무자들을 위한 이문화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번 사례 연구는 국내 모기업과 함께 ‘결정적 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문화 동화자(Culture Assimilator)’, ‘문화표준 모델(Cultural Standard Model)’에 영감을 받아 실제 문화 간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어난 사례를 시나리오 집필, 배우섭외, 촬영, 영상 제작의 과정을 거쳐 영상으로 재연한 사례를 기반으로 해외주재원 파견 전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시도를 기반으로 이문화 교육에 있어 재연 영상의 활용 가능성과 사례분석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이문화 교육의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이문화 교육의 유형과 패러다임 변화 흐름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 재연의 이론적 배경인 결정적 사건기법과 문화 동화자 훈련기법을 고찰한다. 이어서 실제 국내 모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제작한 재연 영상의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영상 속 사례에 대한 분석을 개인·조직·국가 문화적 층위에서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국내 예비 주재원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언급한다.","PeriodicalId":483218,"journ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37/kdgw.2023.41.3.0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해외주재원이나 장단기 파견 근무자와 같이 국제업무 활동에 노출되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문화 간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국내외 기업의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자 도전이다. 이 연구는 국내 모기업의 해외주재원 파견전 교육을 위해 만든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 실무자들을 위한 이문화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번 사례 연구는 국내 모기업과 함께 ‘결정적 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문화 동화자(Culture Assimilator)’, ‘문화표준 모델(Cultural Standard Model)’에 영감을 받아 실제 문화 간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어난 사례를 시나리오 집필, 배우섭외, 촬영, 영상 제작의 과정을 거쳐 영상으로 재연한 사례를 기반으로 해외주재원 파견 전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시도를 기반으로 이문화 교육에 있어 재연 영상의 활용 가능성과 사례분석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이문화 교육의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이문화 교육의 유형과 패러다임 변화 흐름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 재연의 이론적 배경인 결정적 사건기법과 문화 동화자 훈련기법을 고찰한다. 이어서 실제 국내 모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제작한 재연 영상의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영상 속 사례에 대한 분석을 개인·조직·국가 문화적 층위에서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국내 예비 주재원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