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Perception of Bullying in Organization on Subordinates’ Resistance and Self-Respect: Verification of Grit's Mediating Effect","authors":"Yihyun Shin, Hangsok Choi","doi":"10.18237/kdgw.2023.41.3.10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조직 내 따돌림이 대상 조직구성원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고, 관리되어야 할 변수로서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 대상으로 실무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다.연구 결과, 첫째, 조직 내 따돌림은 결과변수인 자기존중감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인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는 달리 더 큰 심리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조직에서는 따돌림이 발생되는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둘째, 그릿의 하위변수인 끈기와 흥미유지는 부하의 하위변수인 역기능적 저항과 건설적 저항에서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uckworth et al.(2007)이 그릿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하위요인을 관심의 일관성(consistency of interest)과 노력의 꾸준함(perseverance of effort)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과 관계가 있다. 관심의 일관성(consistency of interest)은 흥미유지의 정도로 나타내며, 이는 비교적 장기간동안 목표에 관심을 유지하는 정도로 부하의 역기능적 저항에 부(-)의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노력의 꾸준함(perseverance of effort)은 장애물과 어려움을 이겨내고자 하는 끈기를 의미한다.그러므로 끈기는 조직 내에서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자 하는 행동인 건설적 저항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 특성 중 그릿의 하위변수의 정도를 다른 차원으로 파악하여 부서에 배치하거나 종업원을 기업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PeriodicalId":483218,"journ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volume":"59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37/kdgw.2023.41.3.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 내 따돌림이 대상 조직구성원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해보고, 관리되어야 할 변수로서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 대상으로 실무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다.연구 결과, 첫째, 조직 내 따돌림은 결과변수인 자기존중감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인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는 달리 더 큰 심리적, 정신적 고통을 주는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조직에서는 따돌림이 발생되는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둘째, 그릿의 하위변수인 끈기와 흥미유지는 부하의 하위변수인 역기능적 저항과 건설적 저항에서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Duckworth et al.(2007)이 그릿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하위요인을 관심의 일관성(consistency of interest)과 노력의 꾸준함(perseverance of effort)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과 관계가 있다. 관심의 일관성(consistency of interest)은 흥미유지의 정도로 나타내며, 이는 비교적 장기간동안 목표에 관심을 유지하는 정도로 부하의 역기능적 저항에 부(-)의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노력의 꾸준함(perseverance of effort)은 장애물과 어려움을 이겨내고자 하는 끈기를 의미한다.그러므로 끈기는 조직 내에서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자 하는 행동인 건설적 저항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 특성 중 그릿의 하위변수의 정도를 다른 차원으로 파악하여 부서에 배치하거나 종업원을 기업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本研究确认了组织内排斥对对象组织成员和组织产生的影响,并以从事国内企业的组织成员为对象,从实务的观点进行了研究。研究结果表明,第一,组织内的排斥会对结果的变数——自我尊重感产生消极的影响,这与一般职务带来的压力不同,是会带来更大的心理上、精神上的痛苦的变数。因此,组织应该观察孤立发生的原因,并努力消除这种现象。第二,格里特的下变数——韧劲和兴趣的维持,在负荷的下变数——机能性抵抗和建设性抵抗上,会产生不同的影响。这与Duckworth et al.(2007)将构成该格的两个下要素分为“关心的一贯性(consistency of interest)”和“努力的坚持不懈(perlt of effort)”有关。兴趣的一致性(consistency of interest)是一种兴趣维持的程度,它会影响负荷的反机能性抵抗,从而维持较长时间的兴趣。努力的坚持不懈(per奉献of effort)意味着要克服障碍物和困难的坚持不懈。因此,毅力对克服组织内的困难,想要持续努力的行动——建设性的抵抗产生正(+)的影响。因此,暗示在个人的性格特性中,应该从另一个层次来把握其下位变数的程度,分配到部门或从企业的角度来管理职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