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spaper Articles as Public Narrative in Kim Won-il’s The House with the Deep Yard

Park Kyung-jin
{"title":"The Newspaper Articles as Public Narrative in Kim Won-il’s The House with the Deep Yard","authors":"Park Kyung-jin","doi":"10.31313/lc.2023.09.89.183","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1988)에서 신문 기사가 사회에 널리 유포되면서 대중이 공동으로 읽고 그것에 대한 해석까지 공유하는 ‘공적 서사(public narrative)’로 재현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설 속에서 신문 기사가 서사로서 구성되는 방식과 그것이 인물들에게 수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BR 인물들이 공동으로 읽는 신문 기사에서는 주로 빈곤이나 범죄가 다루어진다. 독자인 인물들은 신문 기사를 통해 익명의 희생자로만 형상화된 타인과 최소한의 정보를 가지고 단편적으로 서술된 사건을 접한다. 이러한 서사는 대중이 타인의 고통에 대해 상상할 여지를 주지 않는다. 전후의 빈곤을 온몸으로 겪은 인물들은 기사를 통해 세상에 대한 공통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때 그들은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하거나 동정 대신에 단순한 호기심을 느낀다.BR 인물들은 탐정소설의 플롯을 취하면서 범죄 사건을 보도하는 기사를 읽는 과정에서 자신을 탐정/서술자와 동일시하고, ‘범인’을 추적하여 처벌하려는 논리에 동조한다. 문제는 그 대상이 ‘간첩’이나 ‘빨갱이’로 간주되는 이들인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문 기사를 집단적으로 수용하는 대중은 반공이데올로기를 체현하여 ‘불온 분자’로 낙인찍힌 개인에게 적대감을 품는다.BR 『마당깊은 집』에서 공적 서사로 재현된 신문 기사는 1950년대 피난지에서 살아간 사람들이 겪은 집단적 체험과 지배적인 감정을 보여준다. 신문 기사는 그 시대를 관통하는 집단적 감정(collective emotion)을 형상화하는 수사적 전략이다. 길남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는 신문 기사를 통해 한 인물의 ‘개인사’와 1950년대 피난지의 ‘민족사’를 결합하는 이야기로 확대된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2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1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는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1988)에서 신문 기사가 사회에 널리 유포되면서 대중이 공동으로 읽고 그것에 대한 해석까지 공유하는 ‘공적 서사(public narrative)’로 재현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소설 속에서 신문 기사가 서사로서 구성되는 방식과 그것이 인물들에게 수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BR 인물들이 공동으로 읽는 신문 기사에서는 주로 빈곤이나 범죄가 다루어진다. 독자인 인물들은 신문 기사를 통해 익명의 희생자로만 형상화된 타인과 최소한의 정보를 가지고 단편적으로 서술된 사건을 접한다. 이러한 서사는 대중이 타인의 고통에 대해 상상할 여지를 주지 않는다. 전후의 빈곤을 온몸으로 겪은 인물들은 기사를 통해 세상에 대한 공통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때 그들은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하거나 동정 대신에 단순한 호기심을 느낀다.BR 인물들은 탐정소설의 플롯을 취하면서 범죄 사건을 보도하는 기사를 읽는 과정에서 자신을 탐정/서술자와 동일시하고, ‘범인’을 추적하여 처벌하려는 논리에 동조한다. 문제는 그 대상이 ‘간첩’이나 ‘빨갱이’로 간주되는 이들인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문 기사를 집단적으로 수용하는 대중은 반공이데올로기를 체현하여 ‘불온 분자’로 낙인찍힌 개인에게 적대감을 품는다.BR 『마당깊은 집』에서 공적 서사로 재현된 신문 기사는 1950년대 피난지에서 살아간 사람들이 겪은 집단적 체험과 지배적인 감정을 보여준다. 신문 기사는 그 시대를 관통하는 집단적 감정(collective emotion)을 형상화하는 수사적 전략이다. 길남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는 신문 기사를 통해 한 인물의 ‘개인사’와 1950년대 피난지의 ‘민족사’를 결합하는 이야기로 확대된다.
金元一《深院子的房子》中的报纸文章作为公共叙事
考试是金元日《深深的家院子里》(1988)的新闻报道在社会上广泛传播,念群众共同对它的解释,甚至共享的“公共叙事(public narrative)”正在被再现,在小说中关注新闻作为叙事构成的方式和它的局面被人物接受看了看。BR人物们共同阅读的新闻报道主要是贫困或犯罪。作为读者的人物通过报纸报道,接触到只被形象化为匿名牺牲者的他人和拥有最低限度的信息,进行片断叙述的事件。这样的叙事使大众无法想象他人的痛苦。亲身经历战后贫困的人物通过报道获得对世界的共同信息,这时他们不是对他人的痛苦麻木或同情,而是单纯的好奇心。BR人物采用侦探小说的情节,在阅读报道犯罪事件的报道的过程中,将自己等同于侦探/叙述者,并支持追查“犯人”并进行处罚的理论。问题是,这些人被视为“间谍”或“赤色分子”。集体接受这种新闻报道的大众体现了反共意识形态,对被打上“不稳定分子”烙印的个人产生敌对感。在BR《院子很深的房子》中以公共叙事再现的新闻报道展现了20世纪50年代生活在避难地的人们所经历的集体体验和支配性感情。新闻报道是将贯穿那个时代的集体感情(collective emotion)形象化的修辞战略。吉南的人生故事通过新闻报道扩大到一个人物的“个人史”和20世纪50年代避难地的“民族史”相结合的故事。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