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Jeong Biseok’s novel, 『The Forbidden Basin』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Honbura’ culture and characters

Park Su-bin
{"title":"A Study on the Jeong Biseok’s novel, 『The Forbidden Basin』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Honbura’ culture and characters","authors":"Park Su-bin","doi":"10.31313/lc.2023.09.89.243","DOIUrl":null,"url":null,"abstract":"1939년 조광에 연재된 정비석의 『금단의 유역』은 그의 첫 장편 대중소설임에도 지금까지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기존 문학사에서 정비석과 그의 작품들이 다루어진 방식에 주목하여, 그간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이 작품을 새롭게 의미화하고자 했다. 1930년대 경성을 배경으로 하는 『금단의 유역』에는 지금의 충무로인 본정통을 주무대로 모던을 즐기던 조선인 청년들의 ‘혼부라’ 문화가 잘 묘사되어 있다. 소설은 이러한 1930년대만의 문화풍속도를 실감나게 전개하면서도, 시대를 초월하는 사랑과 욕망에 대한 진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본격적으로 대중소설가로 전환하기 이전, 과도기의 정비석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도할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복잡한 남녀 관계와 그들의 애욕을 그리는 통속적인 연애/대중소설의 외피를 입었으나 그 내부는 예술론과 문학관을 담은 예술가소설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렇게 『금단의 유역』은 미완의 연애소설이 되지만, 종교와 예술이라는 절대적 가치를 수호하는 ‘윤리적 인간’에 대한 고뇌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는 메시지를 남긴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2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1939년 조광에 연재된 정비석의 『금단의 유역』은 그의 첫 장편 대중소설임에도 지금까지 제대로 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기존 문학사에서 정비석과 그의 작품들이 다루어진 방식에 주목하여, 그간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이 작품을 새롭게 의미화하고자 했다. 1930년대 경성을 배경으로 하는 『금단의 유역』에는 지금의 충무로인 본정통을 주무대로 모던을 즐기던 조선인 청년들의 ‘혼부라’ 문화가 잘 묘사되어 있다. 소설은 이러한 1930년대만의 문화풍속도를 실감나게 전개하면서도, 시대를 초월하는 사랑과 욕망에 대한 진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본격적으로 대중소설가로 전환하기 이전, 과도기의 정비석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도할 수 있다. 표면적으로는 복잡한 남녀 관계와 그들의 애욕을 그리는 통속적인 연애/대중소설의 외피를 입었으나 그 내부는 예술론과 문학관을 담은 예술가소설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렇게 『금단의 유역』은 미완의 연애소설이 되지만, 종교와 예술이라는 절대적 가치를 수호하는 ‘윤리적 인간’에 대한 고뇌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는 메시지를 남긴다.
郑碧石小说《禁盆》研究——以“本原”文化与人物的关系为中心
在1939年赵光汉连载的整顿席的《禁断的流域》一书是他的第一部长篇电影荣获也从来没像样的研究没有办成。本稿关注现有文学史上郑必锡和他的作品所涉及的方式,试图将此前没能成为研究对象的该作品重新意义化。20世纪30年代以京城为背景的《金坛的流域》很好地描写了以现在的忠武路本井通为主要舞台,享受现代的朝鲜青年们的“本府拉”文化。小说生动地展现了20世纪30年代独有的文化风俗,同时也蕴含着对超越时代的爱情和欲望的真挚的信息。另外,该作品也可以说是最能体现正式转换为大众小说家之前,过渡时期的整理石的作品。因为,从表面上看,影片披上了描写复杂的男女关系和他们的爱欲的通俗恋爱/大众小说的外衣,但其内部更接近于包含艺术论和文学观的艺术家小说。《禁断的流域》虽然成为未完成的爱情小说,但通过对守护宗教和艺术这一绝对价值的“伦理人类”的苦恼,留下了超越时代的信息。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