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lpine Skier Field Training Monitoring Search for the Optimal Number of Days","authors":"Jin-Su Suk","doi":"10.47684/jcd.2023.09.25.5.24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알파인 스키 선수들의 훈련 모니터링 측정 최적일 수를 탐색하여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량적 자료수집을 위한 기초자료를 현장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랑스 전지훈련에 참가한 남자 8명 여자 4명의 알파인 스키 선수를 연구대상으로 Actigraph GT9X를 착용하여 활동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Harris & Benedict(1918)와 Freedson(2011) 공식으로 에너지소비량을 산출하고, Freedson(1998) 신체활동 강도 분류기준으로 활동 강도를 분류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Windows SPSS 26.0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GENOVA 3.1 Fortran을 활용한 일반화가능도 이론 분석에서 G 연구(generalizability study : 일반화 연구)로 오차요인으로서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D 연구(decision study : 결정연구)로 측정일수를 조정하여 변화되는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산출하여 최적의 측정일수를 탐색하였다. G 연구 결과 측정 결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측정일(d)이었다. D 연구 결과 총 에너지소비량은 1일, 스키훈련 에너지소비량 3일, 체력훈련 에너지소비량 5일, 일별 총 MVPA(moderate vigorous physical activity : 중강도 이상신체활동) 4일, 스키훈련 MVPA 7일, 체력훈련 MVPA 8일부터 인정수준보다 높은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살펴볼 때 에너지소비량과 MVPA 시간을 모두 측정하려면 8일, 스키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활동 정보를 수집하려면 7일의 측정일 수가 적절할 것으로 보여진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25 5","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2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알파인 스키 선수들의 훈련 모니터링 측정 최적일 수를 탐색하여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량적 자료수집을 위한 기초자료를 현장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랑스 전지훈련에 참가한 남자 8명 여자 4명의 알파인 스키 선수를 연구대상으로 Actigraph GT9X를 착용하여 활동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Harris & Benedict(1918)와 Freedson(2011) 공식으로 에너지소비량을 산출하고, Freedson(1998) 신체활동 강도 분류기준으로 활동 강도를 분류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Windows SPSS 26.0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GENOVA 3.1 Fortran을 활용한 일반화가능도 이론 분석에서 G 연구(generalizability study : 일반화 연구)로 오차요인으로서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D 연구(decision study : 결정연구)로 측정일수를 조정하여 변화되는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산출하여 최적의 측정일수를 탐색하였다. G 연구 결과 측정 결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측정일(d)이었다. D 연구 결과 총 에너지소비량은 1일, 스키훈련 에너지소비량 3일, 체력훈련 에너지소비량 5일, 일별 총 MVPA(moderate vigorous physical activity : 중강도 이상신체활동) 4일, 스키훈련 MVPA 7일, 체력훈련 MVPA 8일부터 인정수준보다 높은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살펴볼 때 에너지소비량과 MVPA 시간을 모두 측정하려면 8일, 스키훈련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활동 정보를 수집하려면 7일의 측정일 수가 적절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