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around the Trunk and Hip according to Weight and Phase during Kettlebell Swing

Jeong-No Lee, Yun-Ah Shin
{"title":"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around the Trunk and Hip according to Weight and Phase during Kettlebell Swing","authors":"Jeong-No Lee, Yun-Ah Shin","doi":"10.47684/jcd.2023.09.25.5.13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케틀벨 스윙 시 각 구간별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고, 케틀벨 스윙 시 구간별 무게에 따른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케틀벨 지도자 자격을 소지한 숙련자 13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자의 우세측 큰볼기근, 허리부 척주세움근, 배바깥빗근, 배곧은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케틀벨 스윙은 ‘스윙 전 구간, 가속 구간, 스윙 구간,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 5구간으로 구분하여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케틀벨 스윙의 각 구간과 무게에 따라서 근육 별로 분석한 결과,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 및 큰볼기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윙 마지막 구간이 다른 모든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척주세움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속 구간과 스윙 구간이 스윙 전 구간과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케틀벨 스윙의 구간에 따른 활성도 차이는 스윙 초기에서 중간단계인 스윙 전, 가속 및 스윙 구간에서는 척주 정렬의 안정화 유지를 위해 척주세움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스윙 중간단계 이후에는 엉덩관절의 폄으로 인한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스윙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큰볼기근의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몸통의 정렬 유지와 안정화를 위한 강한 복부의 수축으로 인해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활성도가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 구간인 다운-스윙에서는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다른 근육들에 비하여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케틀벨 스윙 운동 시 이러한 근활성도의 동원과 역할을 인지하면서 스윙 동작을 연습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부정확한 스윙 동작을 예방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정확하고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숙달하는데 있어서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케틀벨 스윙 시 각 구간별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고, 케틀벨 스윙 시 구간별 무게에 따른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케틀벨 지도자 자격을 소지한 숙련자 13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자의 우세측 큰볼기근, 허리부 척주세움근, 배바깥빗근, 배곧은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케틀벨 스윙은 ‘스윙 전 구간, 가속 구간, 스윙 구간,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 5구간으로 구분하여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케틀벨 스윙의 각 구간과 무게에 따라서 근육 별로 분석한 결과,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 및 큰볼기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윙 마지막 구간이 다른 모든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척주세움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속 구간과 스윙 구간이 스윙 전 구간과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케틀벨 스윙의 구간에 따른 활성도 차이는 스윙 초기에서 중간단계인 스윙 전, 가속 및 스윙 구간에서는 척주 정렬의 안정화 유지를 위해 척주세움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스윙 중간단계 이후에는 엉덩관절의 폄으로 인한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스윙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큰볼기근의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몸통의 정렬 유지와 안정화를 위한 강한 복부의 수축으로 인해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활성도가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 구간인 다운-스윙에서는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다른 근육들에 비하여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케틀벨 스윙 운동 시 이러한 근활성도의 동원과 역할을 인지하면서 스윙 동작을 연습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부정확한 스윙 동작을 예방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정확하고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숙달하는데 있어서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壶铃摆动中躯干和髋部肌肉活动随重量和阶段的比较
这项研究的目的是,在进行凯特贝尔挥杆时,了解各区间身体和臀部肌肉的活性度差异,在凯特贝尔挥杆时,根据各区间重量的不同,肌肉活性度是否存在差异。研究对象为13名具有凯特贝尔领导资格的熟练者。测量者在优势侧大颊部肌,腰部肿胀肌,腹外梳肌,腹直肌上附着电极,测定躯干及臀部肌肉的活性。凯特贝尔挥杆分为“挥杆前段,加速段,挥杆段,挥杆最后段,返回段”5段,测定肌肉的活性度。本研究中,躯干和臀部肌肉的活性度克贝尔swing框架的各区间和重量根据肌肉的分析结果,马上和殷勤倍梳斤及大饥荒的活性也看到外面的区间出现了差异,挥杆最后路段留意地高于其他一切区间出现了。各区间尺柱肌的活性度出现差异,加速区间和挥杆区间比挥杆前区间和挥杆最后区间、返回区间要高得多。因此,克贝尔swing框架的区间,带来的活性差异在挥杆初期的中间阶段击球前,加速和挥杆区间为维持脊柱排序的稳定化艘请近发生的频率最高的地窖,挥杆中间阶段以后,由于贬地扭关节大饥荒的活性度逐渐提高,看到,在挥杆的最后部分,显示出了大球缺阵的最高活性度,由于为了维持身体的整齐排列和稳定化的强烈腹部的收缩,腹部直肌和腹部外梳肌的活性度同时提高。在回归区间的向下挥杆中,大球荒的活动性比其他肌肉保持较高的状态。综合以上结果,这种钢框架贝尔挥杆运动时近活性度的动员作用和认知,练习挥杆动作指导是不正确的挥杆动作,减少受伤的风险,预防熟练准确有效的击球方法,似乎是更有效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