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around the Trunk and Hip according to Weight and Phase during Kettlebell Swing","authors":"Jeong-No Lee, Yun-Ah Shin","doi":"10.47684/jcd.2023.09.25.5.13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케틀벨 스윙 시 각 구간별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고, 케틀벨 스윙 시 구간별 무게에 따른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케틀벨 지도자 자격을 소지한 숙련자 13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자의 우세측 큰볼기근, 허리부 척주세움근, 배바깥빗근, 배곧은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케틀벨 스윙은 ‘스윙 전 구간, 가속 구간, 스윙 구간,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 5구간으로 구분하여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케틀벨 스윙의 각 구간과 무게에 따라서 근육 별로 분석한 결과,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 및 큰볼기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윙 마지막 구간이 다른 모든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척주세움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속 구간과 스윙 구간이 스윙 전 구간과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케틀벨 스윙의 구간에 따른 활성도 차이는 스윙 초기에서 중간단계인 스윙 전, 가속 및 스윙 구간에서는 척주 정렬의 안정화 유지를 위해 척주세움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스윙 중간단계 이후에는 엉덩관절의 폄으로 인한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스윙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큰볼기근의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몸통의 정렬 유지와 안정화를 위한 강한 복부의 수축으로 인해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활성도가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 구간인 다운-스윙에서는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다른 근육들에 비하여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케틀벨 스윙 운동 시 이러한 근활성도의 동원과 역할을 인지하면서 스윙 동작을 연습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부정확한 스윙 동작을 예방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정확하고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숙달하는데 있어서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케틀벨 스윙 시 각 구간별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 차이를 알아보고, 케틀벨 스윙 시 구간별 무게에 따른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케틀벨 지도자 자격을 소지한 숙련자 13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자의 우세측 큰볼기근, 허리부 척주세움근, 배바깥빗근, 배곧은근에 전극을 부착하여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케틀벨 스윙은 ‘스윙 전 구간, 가속 구간, 스윙 구간,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 5구간으로 구분하여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몸통 및 엉덩이 근육의 활성도를 케틀벨 스윙의 각 구간과 무게에 따라서 근육 별로 분석한 결과,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 및 큰볼기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윙 마지막 구간이 다른 모든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척주세움근의 활성도는 구간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속 구간과 스윙 구간이 스윙 전 구간과 스윙 마지막 구간, 복귀 구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케틀벨 스윙의 구간에 따른 활성도 차이는 스윙 초기에서 중간단계인 스윙 전, 가속 및 스윙 구간에서는 척주 정렬의 안정화 유지를 위해 척주세움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스윙 중간단계 이후에는 엉덩관절의 폄으로 인한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스윙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큰볼기근의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몸통의 정렬 유지와 안정화를 위한 강한 복부의 수축으로 인해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의 활성도가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 구간인 다운-스윙에서는 큰볼기근의 활성도가 다른 근육들에 비하여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케틀벨 스윙 운동 시 이러한 근활성도의 동원과 역할을 인지하면서 스윙 동작을 연습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부정확한 스윙 동작을 예방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정확하고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숙달하는데 있어서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