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the Control Effect according to LMX Level In the Followership and Demonstration Performance of Taekwondo Demonstration Athletes","authors":"Young-Jin Kim","doi":"10.47684/jcd.2023.09.25.5.8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단원들의 팔로워십과 시범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LMX 수준에 따른 팔로워십이 시범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태권도 시범경기 단원들과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13개 대학 및 고등학교 250명이었다. 시범단원 250명을 대상으로 자필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설문지 중 오류로 확인된 12부를 제외하고 총 238부를 사용하였다. 팔로워십 척도는 Kelley(1994)가 개발한 총 20문항을 후속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시범성과의 경우 만족은 Spectre et al. (2001). 또한 몰입은 Allen & Meyer(1990)가 개발한 설문 내용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LMX 측정 도구는 Danereau, Graen, & Haga(1975)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 Window Version과 Amos 24.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고, LMX 수준에 따른 다집단 구조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팔로워십의 첫 번째 하위요인 중 독립적/비판적 참여는 시범수행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능동적/능동적 참여는 시범수행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 수준에 따라 파일럿 수행에 대한","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8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단원들의 팔로워십과 시범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LMX 수준에 따른 팔로워십이 시범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태권도 시범경기 단원들과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13개 대학 및 고등학교 250명이었다. 시범단원 250명을 대상으로 자필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설문지 중 오류로 확인된 12부를 제외하고 총 238부를 사용하였다. 팔로워십 척도는 Kelley(1994)가 개발한 총 20문항을 후속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시범성과의 경우 만족은 Spectre et al. (2001). 또한 몰입은 Allen & Meyer(1990)가 개발한 설문 내용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LMX 측정 도구는 Danereau, Graen, & Haga(1975)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 Window Version과 Amos 24.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고, LMX 수준에 따른 다집단 구조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팔로워십의 첫 번째 하위요인 중 독립적/비판적 참여는 시범수행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능동적/능동적 참여는 시범수행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 수준에 따라 파일럿 수행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