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motional Contagion among College Athletes through Feedback from Members and Coaches","authors":"Hyeon-Ju Kim","doi":"10.47684/jcd.2023.09.25.5.5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구성원과 지도자의 피드백으로 인한 정서전염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5종, 레슬링, 배드민턴, 복싱, 사격 등 19개 종목 K대학 운동선수 107명을 대상으로 Google 온라인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Studio로 빈도를 산출하고, UCINET 6로 연결중심성 값을 산출하였으며, WordClouds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성원의 피드백으로 인한 긍정 정서전염은 파이팅, 해보자, 너한테 별거냐, 운동 이거다, 격려 등의 순으로, 부정 정서전염은 공감 안 됨, 하기 싫다, 감정표현, 실수 불인정, 부정적 말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피드백으로 인한 긍정 정서전염은 칭찬, 오늘 좋아, 노력 인정, 개인 연습, 운동 칭찬 등으로, 부정 정서전염은 본인만 생각, 꾀병이냐, 제시 안 해 줌, 운동 못하네, 단점 이야기 등의 순으로 높은 연결정도가 나타났다. 대학운동선수는 구성원이나 지도자의 피드백으로 인해 정서전염을 경험하는데, 긍정 정서전염의 경우 경기력에 대한 언어적 피드백으로 나타나지만, 부정 정서전염은 타인의 한숨, 혼잣말, 부정적 생각이나 단어 등의 비언어적 피드백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스포츠 현장에서 정서전염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훈련 및 경기상황에서 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전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5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를 대상으로 구성원과 지도자의 피드백으로 인한 정서전염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5종, 레슬링, 배드민턴, 복싱, 사격 등 19개 종목 K대학 운동선수 107명을 대상으로 Google 온라인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Studio로 빈도를 산출하고, UCINET 6로 연결중심성 값을 산출하였으며, WordClouds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성원의 피드백으로 인한 긍정 정서전염은 파이팅, 해보자, 너한테 별거냐, 운동 이거다, 격려 등의 순으로, 부정 정서전염은 공감 안 됨, 하기 싫다, 감정표현, 실수 불인정, 부정적 말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피드백으로 인한 긍정 정서전염은 칭찬, 오늘 좋아, 노력 인정, 개인 연습, 운동 칭찬 등으로, 부정 정서전염은 본인만 생각, 꾀병이냐, 제시 안 해 줌, 운동 못하네, 단점 이야기 등의 순으로 높은 연결정도가 나타났다. 대학운동선수는 구성원이나 지도자의 피드백으로 인해 정서전염을 경험하는데, 긍정 정서전염의 경우 경기력에 대한 언어적 피드백으로 나타나지만, 부정 정서전염은 타인의 한숨, 혼잣말, 부정적 생각이나 단어 등의 비언어적 피드백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스포츠 현장에서 정서전염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훈련 및 경기상황에서 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전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