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North and South Korean Perceptions of Ahn Jung-geun

Eung-cheon Kang
{"title":"A Comparative Study on North and South Korean Perceptions of Ahn Jung-geun","authors":"Eung-cheon Kang","doi":"10.33252/sih.2023.9.78.157","DOIUrl":null,"url":null,"abstract":"안중근에 대한 남북한의 높은 평가는 항일 무장투쟁의 선구를 이루는 하얼빈 의거와 평화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가 평화통일의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높인다. 그러나 남북한의 안중근 인식에는 그 기원이 해방 전 민족운동의 좌우 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차이도 적지 않다. 안중근의 계급적, 역사적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북한의 입장과 그가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 민중적 세계평화를 주창했다는 남한 일각의 입장은 대척점에서 있다.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에 대해 남한 일각에서는 국제평화체제의 선구적 사상이라 하고, 북한에서는 국제적 침략세력에 대한 투쟁과 자주독립을 강조했다고 한다.BR 안중근의 현실적 함의를 놓고 평행선을 달리는 남북한의 시선은 대립이 심화하는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맞물려 좁혀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실은 그동안 소홀했던 남북한 안중근 인식의 쟁점에 관한 근본적 탐구를 요구한다. 주목할 것은 안중근 연구가 발전하면서 남북한 간의 쟁점까지 포괄하는 풍부하고 입체적인 논쟁 구도가 남한 내에서, 나아가 국제적으로 형성되어 왔다는 사실이다. 그 논쟁들은 남북한 간의 쟁점을 더 넓은 시야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이를 발전적이고 보편적인 맥락에서 검토하고 논의하게 해줄 것이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1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안중근에 대한 남북한의 높은 평가는 항일 무장투쟁의 선구를 이루는 하얼빈 의거와 평화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가 평화통일의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높인다. 그러나 남북한의 안중근 인식에는 그 기원이 해방 전 민족운동의 좌우 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차이도 적지 않다. 안중근의 계급적, 역사적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북한의 입장과 그가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 민중적 세계평화를 주창했다는 남한 일각의 입장은 대척점에서 있다.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에 대해 남한 일각에서는 국제평화체제의 선구적 사상이라 하고, 북한에서는 국제적 침략세력에 대한 투쟁과 자주독립을 강조했다고 한다.BR 안중근의 현실적 함의를 놓고 평행선을 달리는 남북한의 시선은 대립이 심화하는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맞물려 좁혀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이런 현실은 그동안 소홀했던 남북한 안중근 인식의 쟁점에 관한 근본적 탐구를 요구한다. 주목할 것은 안중근 연구가 발전하면서 남북한 간의 쟁점까지 포괄하는 풍부하고 입체적인 논쟁 구도가 남한 내에서, 나아가 국제적으로 형성되어 왔다는 사실이다. 그 논쟁들은 남북한 간의 쟁점을 더 넓은 시야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이를 발전적이고 보편적인 맥락에서 검토하고 논의하게 해줄 것이다.
南北韩对安重根的看法比较研究
南北韩对安重根的高度评价源于抗日武装斗争先驱哈尔滨义举和和平思想,因此,人们期待他能成为和平统一的垫脚石。但是,南北韩对安重根的认识存在不少差异,其起源可以追溯到解放前民族运动的左右分歧。指出安重根的阶级、历史局限性并克服局限性的北韩立场和主张他提倡超越时代的普遍、民众的世界和平的南韩部分人的立场截然相反。对于安重根的《东洋和平论》,韩国部分人士认为这是国际和平体制的先驱思想,朝鲜则强调了对国际侵略势力的斗争和自主独立。就BR安重根的现实含义互不相让的南北韩的视线与对立加剧的东亚国际局势相吻合,丝毫没有缩小的迹象。这样的现实要求对此前一直疏忽的南北韩安重根认识的争论点进行根本性的研究。值得关注的是,随着安重根研究的发展,包括南北韩之间争论焦点在内的丰富而立体的争论格局在南韩国内乃至国际上形成。这些争论可以让我们从更广阔的视野看待南北韩之间的争论点,并在发展和普遍的背景下进行讨论和讨论。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