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easu-Comparing 『Shujing(水經)』, 『Shujing zhu(水經注)』, 『JoseonSa』 and Tsuda Shoukichi

Won-sook Kye, Gi-dae Bok
{"title":"A Study of Peasu-Comparing 『Shujing(水經)』, 『Shujing zhu(水經注)』, 『JoseonSa』 and Tsuda Shoukichi","authors":"Won-sook Kye, Gi-dae Bok","doi":"10.33252/sih.2023.9.78.105","DOIUrl":null,"url":null,"abstract":"현재 학계에서 패수의 위치는 한반도의 평안도 대동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사군의 낙랑군을 평양으로 비정하기 때문에 나오는 자연적인 결론이다. 역사에서 패수의 첫 등장은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 나타난다.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이 패수를 건너 망명한 위만의 조선은 역시 이 방향으로 온 한 무제 좌군의 공격을 받는다. 결국 위만조선의 왕검성이 무너지고 패수는 한사군의 낙랑군 소속이 된다. 훗날 북위(北魏)의 역도원은 『수경주』를 쓰면서 고구려 평양성에 패수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그리고 이 강은 동에서 서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니 기존의 『수경』이 틀렸다고 결론짓는다. 그래서 패수가 있는 평양성이 곧 왕검성이고, 또 곧 낙랑군이라는 주장을 하기에 이른다. 이 패수는 시간이 흘러 조선 학자들에 이르러 드디어 한반도에서 가까운, 혹은 한반도 안의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으로 주장된다. 결정적으로 쓰다 소우키치가 대동강 패수설을 주장하고 이 주장이 『조선사』를 비롯한 여러 사서에 인용되면서 현재까지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지 않고 요서 지역에 있었다는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기』 「조선열전」의 패수방향을 살펴보면 현재의 난하 물줄기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수경』의 서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수에 대한 시대별 주장을 살펴 어느 기록이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서의 패수에 부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1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현재 학계에서 패수의 위치는 한반도의 평안도 대동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사군의 낙랑군을 평양으로 비정하기 때문에 나오는 자연적인 결론이다. 역사에서 패수의 첫 등장은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 나타난다.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이 패수를 건너 망명한 위만의 조선은 역시 이 방향으로 온 한 무제 좌군의 공격을 받는다. 결국 위만조선의 왕검성이 무너지고 패수는 한사군의 낙랑군 소속이 된다. 훗날 북위(北魏)의 역도원은 『수경주』를 쓰면서 고구려 평양성에 패수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그리고 이 강은 동에서 서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니 기존의 『수경』이 틀렸다고 결론짓는다. 그래서 패수가 있는 평양성이 곧 왕검성이고, 또 곧 낙랑군이라는 주장을 하기에 이른다. 이 패수는 시간이 흘러 조선 학자들에 이르러 드디어 한반도에서 가까운, 혹은 한반도 안의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으로 주장된다. 결정적으로 쓰다 소우키치가 대동강 패수설을 주장하고 이 주장이 『조선사』를 비롯한 여러 사서에 인용되면서 현재까지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지 않고 요서 지역에 있었다는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기』 「조선열전」의 패수방향을 살펴보면 현재의 난하 물줄기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수경』의 서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수에 대한 시대별 주장을 살펴 어느 기록이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서의 패수에 부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书经”、“书经珠”、“朝鲜沙”、津田寿一的比较研究
目前学界认为,败将的位置是韩半岛平安道大同江。这是由于将汉四郡的乐浪郡无情地指定为平壤而得出的自然结论。在历史上,败将的首次登场表现为(古)朝鲜和汉朝的境界。从西到东越过这一劫流亡的伪朝鲜也受到朝这一方向来的汉武帝左军的攻击。结果,伪朝鲜的王俭城倒塌,败将属于汉四军的乐浪军。后来,北魏的举重院在写《水经注》的时候,听说高句丽平壤城有败水。而且,这条江从东向西流入大海,得出了现有的《水经》是错误的结论。因此,有败将的平阳城就是王俭城,也就是乐浪郡。随着时间的流逝,朝鲜学者们终于主张这一劫是离韩半岛很近,或者是韩半岛内的鸭绿江、清川江、大同江。最重要的是,佐达索基奇主张大同江溃水说,这一主张被《朝鲜史》等多部史书引用后,一直延续到现在。但是,以最近韩四郡不在韩半岛而是在辽西地区的研究为基础,观察《史记》《朝鲜列传》的败水方向,就会发现与现在的兰河水流是一致的。这也是《水经》的叙述。本研究将根据各时代对败数的主张,观察哪一记录符合(古)朝鲜和汉朝的境界败数。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