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ing of the History of French 16<SUP>th</SUP> century Literature

Seon-hee Lee
{"title":"Writing of the History of French 16&lt;SUP&gt;th&lt;/SUP&gt; century Literature","authors":"Seon-hee Lee","doi":"10.33252/sih.2023.9.78.273","DOIUrl":null,"url":null,"abstract":"프랑스 문학사의 기술은 19세기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축적된 지식과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연구 방법론의 성과이다. 본 논문은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프랑스 16세기 문학사 기술 방법론에서 논의되었던 쟁점을 르네상스라는 용어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우리는 19세기 문학사 연구자들에 앞서 문학에 대한 총체적인 조망, 저자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성찰, 인문주의적인 연구 방법론의 시도를 16세기 저자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 총서〉는 16세기의 저자 인명 카탈로그에서 17세기의 비평논집, 18세기의 문학 저널로 진화하면서 프랑스 문학사의 기술과 접점을 찾기 때문이다. 프랑스 16세기는 고대의 연속성, 고대와의 연계성을 적극적으로 경험하고 시도한 시대이며, 고대를 이해하기 위해 독자적인 방식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프랑스 정신이 언어로 발현될 수 있던 시대이다. 이 시대의 사람들이 다시 태어남의 의미로 사용한 르네상스(renaissance)는 훗날 한 시대의 경향과 운동을 총체적으로 의미하며 르네상스(Renaissance)로 명명된다. 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열의가 신앙으로 인한 동요와 뒤섞인 이 시대의 프랑스 문학은 그 언어가 시도하고 실험하는 다양한 목소리를 담고 있다. 그렇기에 20세기에 출간된 프랑스 16세기 문학사에서 우리는 19세기에 정립된 문학사 기술방식에 대한 재고찰, 르네상스 시기 구분의 문제가 제기하는 한계에 대한 인식, 다양한 문학 담론 수용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확인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2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프랑스 문학사의 기술은 19세기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축적된 지식과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연구 방법론의 성과이다. 본 논문은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프랑스 16세기 문학사 기술 방법론에서 논의되었던 쟁점을 르네상스라는 용어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우리는 19세기 문학사 연구자들에 앞서 문학에 대한 총체적인 조망, 저자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성찰, 인문주의적인 연구 방법론의 시도를 16세기 저자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 총서〉는 16세기의 저자 인명 카탈로그에서 17세기의 비평논집, 18세기의 문학 저널로 진화하면서 프랑스 문학사의 기술과 접점을 찾기 때문이다. 프랑스 16세기는 고대의 연속성, 고대와의 연계성을 적극적으로 경험하고 시도한 시대이며, 고대를 이해하기 위해 독자적인 방식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프랑스 정신이 언어로 발현될 수 있던 시대이다. 이 시대의 사람들이 다시 태어남의 의미로 사용한 르네상스(renaissance)는 훗날 한 시대의 경향과 운동을 총체적으로 의미하며 르네상스(Renaissance)로 명명된다. 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열의가 신앙으로 인한 동요와 뒤섞인 이 시대의 프랑스 문학은 그 언어가 시도하고 실험하는 다양한 목소리를 담고 있다. 그렇기에 20세기에 출간된 프랑스 16세기 문학사에서 우리는 19세기에 정립된 문학사 기술방식에 대한 재고찰, 르네상스 시기 구분의 문제가 제기하는 한계에 대한 인식, 다양한 문학 담론 수용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확인한다.
法国历史写作16<SUP> the <世纪文学
法国文学史的记述是以19世纪庞大资料为基础积累的知识和系统、学术性研究方法论的成果。本论文的目的是,以文艺复兴这一用语的概念为中心,分析19世纪到20世纪法国16世纪文学史技术方法论上曾讨论过的争论点。但是,在19世纪文学史研究者之前,我们可以在16世纪的作者身上找到对文学的总体展望、对作者和作品的批判性反省、人文主义研究方法论的尝试。因为《法国丛书》从16世纪的作者人名目录进化为17世纪的批评论集、18世纪的文学杂志,寻找与法国文学史的记述接点。法国16世纪是积极体验和尝试古代的连续性、与古代的联系性的时代,是为了理解古代,通过探索独立的方式的过程,法国精神可以用语言表现出来的时代。文艺复兴(renaissance)是指后来一个时代的倾向和运动,被命名为文艺复兴(renaissance)。对现在的肯定热情与信仰引起的动摇混合在一起的这个时代的法国文学包含着语言尝试和实验的多样的声音。因此,在20世纪出版的法国16世纪文学史上,我们确认了对19世纪确立的文学史技术方式的重新审视、对文艺复兴时期区分问题提出的局限性的认识、对接受多种文学讨论的必要性的意识。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