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Modern Korean Connective Ending Research","authors":"Sook-Hee Chae","doi":"10.15811/jkl.2023..107.016","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어에서 연결어미는 문장 확장의 주요 기제로, 이에 관해 오랜 기간 다방면에서 수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현대 한국어 연결어미 연구를 크게 형태와 통사, 의미, 사용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주요 논제들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들을 검토하고 남은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결어미의 형태와 관련해서는 복합어미의 판별과 목록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고, 연결어미의 통사와 관련해서는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연결어미가 결합한 절의 지위, 즉 접속절과 부사절의 문제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본다. 연결어미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의미 체계, 의미 범주에 대한 논의들과 함께 의미 확장의 문제와 의미 기술의 메타언어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연결어미의 관계 의미 외의 의미라 할 수 있는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에 관한 논의들도 살펴본다. 연결어미의 사용과 관련해서는 실제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결어미의 사용역별 사용 양상을 분석한 논의들을 검토한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17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1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한국어에서 연결어미는 문장 확장의 주요 기제로, 이에 관해 오랜 기간 다방면에서 수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현대 한국어 연결어미 연구를 크게 형태와 통사, 의미, 사용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주요 논제들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들을 검토하고 남은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결어미의 형태와 관련해서는 복합어미의 판별과 목록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고, 연결어미의 통사와 관련해서는 오랜 기간 논쟁의 대상이 되어 온 연결어미가 결합한 절의 지위, 즉 접속절과 부사절의 문제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본다. 연결어미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의미 체계, 의미 범주에 대한 논의들과 함께 의미 확장의 문제와 의미 기술의 메타언어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연결어미의 관계 의미 외의 의미라 할 수 있는 상적 의미와 양태적 의미에 관한 논의들도 살펴본다. 연결어미의 사용과 관련해서는 실제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결어미의 사용역별 사용 양상을 분석한 논의들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