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Korean Grammar Research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Exploring the Application to Conjunctive Endings-","authors":"Sin-Hye Nam","doi":"10.15811/jkl.2023..107.01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문법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국어 문법 연구가 응용언어학적으로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연결어미는 국어 문법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한국어 문법 교육의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연결어미의 경우를 상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제2언어 교수 이론의 흐름과 최근의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그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의 주안점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의 실제성 측면에서 모어 화자 인식 변화의 반영에 대한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언어 항목 선택의 적절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유사한 문법을 변별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맥락 속에서의 화용적 의미를 가르친다는 측면에서 문장 종결 자리에서 쓰이는 연결어미의 문제가 다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앞으로 수행될 연결어미에 대한 응용언어학적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문법 연구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국어 문법 연구가 응용언어학적으로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연결어미는 국어 문법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한국어 문법 교육의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연결어미의 경우를 상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제2언어 교수 이론의 흐름과 최근의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그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의 주안점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의 실제성 측면에서 모어 화자 인식 변화의 반영에 대한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언어 항목 선택의 적절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유사한 문법을 변별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맥락 속에서의 화용적 의미를 가르친다는 측면에서 문장 종결 자리에서 쓰이는 연결어미의 문제가 다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앞으로 수행될 연결어미에 대한 응용언어학적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