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Policy Suggestions for Vitalization of Startup Business in Jeonbuk Region

Hong-jin Ryu, Seok-gyu Choi
{"title":"Public Policy Suggestions for Vitalization of Startup Business in Jeonbuk Region","authors":"Hong-jin Ryu, Seok-gyu Choi","doi":"10.37103/kapp.25.3.1","DOIUrl":null,"url":null,"abstract":"전북지역의 청년인구 유출에 따른 인구감소 문제와 소멸위기지역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전북의 창업지원정책의 질적 수준도 미흡하여 전북의 창업 관련 경쟁력은 여전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정책 제언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창업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북의 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증대 및 청년인구 유출 예방이라는 삼각 목표를 도모할 수 있는 공공부문 정책을 제언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전북지역 창업 관련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전북지역 창업 실태를 진단하고 전북의 창업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일본,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의 기술창업 지원정책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의 공공부문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창업지원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신기술 창업 우선순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창업정책 담당부서는 전북형 팁스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창업기업 생존 토양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창업 실패의 경험을 자산화하고 재기의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창업 실패에 따른 위험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넷째, 창업단계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창업기업 금융지원 시스템 혁신이 시급한 과제이다. 다섯째, 창업기업이 기술개발 등의 핵심사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K-ICT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경영·기술 역량 확충과 인력확보를 위한 원스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창업 편의성을 제고하여 우호적인 창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창업지원 네트워크 확대와 함께 딥테크 전문 멘토단을 구성하여 단발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고 14개 시군별 지역특화 딥테크 창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PeriodicalId":497984,"journal":{"name":"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103/kapp.25.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전북지역의 청년인구 유출에 따른 인구감소 문제와 소멸위기지역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전북의 창업지원정책의 질적 수준도 미흡하여 전북의 창업 관련 경쟁력은 여전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정책 제언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창업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북의 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증대 및 청년인구 유출 예방이라는 삼각 목표를 도모할 수 있는 공공부문 정책을 제언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전북지역 창업 관련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전북지역 창업 실태를 진단하고 전북의 창업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일본,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의 기술창업 지원정책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의 공공부문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창업지원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신기술 창업 우선순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창업정책 담당부서는 전북형 팁스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창업기업 생존 토양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창업 실패의 경험을 자산화하고 재기의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창업 실패에 따른 위험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넷째, 창업단계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창업기업 금융지원 시스템 혁신이 시급한 과제이다. 다섯째, 창업기업이 기술개발 등의 핵심사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K-ICT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경영·기술 역량 확충과 인력확보를 위한 원스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창업 편의성을 제고하여 우호적인 창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창업지원 네트워크 확대와 함께 딥테크 전문 멘토단을 구성하여 단발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고 14개 시군별 지역특화 딥테크 창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振兴全北地区创业的公共政策建议
全北地区青年人口外流导致的人口减少问题和面临消失危机的地区问题已经达到了非常严重的程度。与此同时,全北的创业支援政策的质量也不尽如人意,因此全北的创业相关竞争力依然很低。有必要研究能够解决这些问题的政策建议。因此,本研究中对全北地区创业激活,从而确保全北的增长动力和增加就业岗位和青年人口流失预防可以谋取“三角目标的公共政策研究的目的,建议两,全北地区创业相关人士为对象进行的问卷调查和统计调查和文献通过全北地区创业诊断情况,然后分析了全北的创业政策。另外,还观察了美国、日本、以色列、新加坡等国家的技术创业支援政策带来的启示。本研究结果的公共部门政策建议如下。为搞活技术创业,首先应全面重新检查创业支援政策,并重新考虑新技术创业的优先顺序。第二,全罗北道创业政策负责部门应该引进全北型小费项目,营造创业企业的生存土壤。第三,将创业失败的经验资产化,提供东山再起的机会,减轻创业失败的风险负担。第四,革新反映创业阶段特殊性的创业企业金融支援系统是当务之急的课题。第五,为了让创业企业能够致力于技术开发等核心事业,应该引入K-ICT创业指导计划,扩大经营、技术力量扩充和人力确保的一站式支援。第六,提高创业便利性,营造友好创业环境。与此同时,在扩大创业支援网络的同时,有必要组成“deep tech专门指导团”,支援持续的创业成长,而不是一次性的支援,并在14个市郡建立地区特化deep tech创业集群工业园区。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