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Ways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Yu Jin-Oh and Jo So-Ang

Do Hyuk Kwon
{"title":"Two Ways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Yu Jin-Oh and Jo So-Ang","authors":"Do Hyuk Kwon","doi":"10.35161/rkapt.2023.09.22.2.13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경제민주화 담론을 분석한다. 경제민주화 또는 경제민주주의를 둘러싼 한국에서의 오랜 정치사회적 논쟁은 해당 개념이 한국 사회에서 그 정당성을 두고 지속적인 사상적 투쟁을 거치고 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경제민주화를 사상적으로 접근하며 특히 그 헌법 해석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경제민주화 담론의 특수성은 타국의 사례와 달리 그 헌법적 규범성에 기안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 사법부에서 헌법 관련 최고해석기관인 헌법재판소의 경제민주화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경제민주화가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본고의 분석 결과 헌법재판소는 경제민주화란 헌법상 사회정의 실현, 즉 사회국가원리 실천의 일환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그 사회국가원리의 기준으로 국민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 보장을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주장이 제헌 헌법에 큰 영향을 미친 유진오의 사회국가 및 사회적 경제적 민주주의 이해, 즉 최소주의적 해석론과 친연성을 가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현재 헌법재판소나 유진오와 같은 사회국가원리 이해에 기반한 경제민주화가 아닌, 또 다른 해석 양식이 한국정치사상사에 존재했음을 조소앙의 정치사상을 통해 제시한다. 유진오와 조소앙의 경제민주화 및 균등에 대한 사상적 차이를 밝히고 두 입장에 따라 해석했을 때 경제민주화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주장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경제민주화 헌법해석만이 유일한 대안이나 필연적 결과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PeriodicalId":474983,"journal":{"name":"Dong'yang jeongchi sasang'sa","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yang jeongchi sasang's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161/rkapt.2023.09.22.2.1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논문은 경제민주화 담론을 분석한다. 경제민주화 또는 경제민주주의를 둘러싼 한국에서의 오랜 정치사회적 논쟁은 해당 개념이 한국 사회에서 그 정당성을 두고 지속적인 사상적 투쟁을 거치고 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경제민주화를 사상적으로 접근하며 특히 그 헌법 해석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경제민주화 담론의 특수성은 타국의 사례와 달리 그 헌법적 규범성에 기안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 사법부에서 헌법 관련 최고해석기관인 헌법재판소의 경제민주화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경제민주화가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본고의 분석 결과 헌법재판소는 경제민주화란 헌법상 사회정의 실현, 즉 사회국가원리 실천의 일환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그 사회국가원리의 기준으로 국민의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 보장을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주장이 제헌 헌법에 큰 영향을 미친 유진오의 사회국가 및 사회적 경제적 민주주의 이해, 즉 최소주의적 해석론과 친연성을 가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현재 헌법재판소나 유진오와 같은 사회국가원리 이해에 기반한 경제민주화가 아닌, 또 다른 해석 양식이 한국정치사상사에 존재했음을 조소앙의 정치사상을 통해 제시한다. 유진오와 조소앙의 경제민주화 및 균등에 대한 사상적 차이를 밝히고 두 입장에 따라 해석했을 때 경제민주화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주장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경제민주화 헌법해석만이 유일한 대안이나 필연적 결과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经济民主化的两种宪法解释方式:柳振武与赵素昂
本论文分析经济民主化论。韩国长期以来围绕经济民主化或经济民主主义的政治、社会争论,意味着该概念在韩国社会正经历着围绕其正当性的思想斗争。本文从思想上接近经济民主化,特别是以宪法解释为中心进行了分析。因为在韩国,经济民主化讨论的特殊性与其他国家的事例不同,具有起草其宪法规范性的一面。因此,本库将在韩国司法部以宪法相关最高解释机关宪法法院的经济民主化相关判例为中心,分析经济民主化在韩国社会被解释为什么意义。根据本稿的分析结果,宪法裁判所认为经济民主化是宪法上实现社会正义,即实践社会国家原理的一环。而且,作为社会国家原理的标准,主张保障国民最低限度的正常生活。进一步说,这一主张与对制宪宪法产生巨大影响的eugene o对社会国家、社会、经济、民主主义的理解,即最小主义解释论具有亲缘关系。但他通过赵素昂的政治思想提出,韩国政治思想史上存在着另一种解释方式,而不是像宪法法院和柳镇五那样以社会国家原理理解为基础的经济民主化。阐明了柳镇五和赵素昂对经济民主化及均等的思想差异,并主张根据两种立场进行解释时,经济民主化的意义有何不同。通过这种方式强调,目前的经济民主化宪法解释并不是唯一的对策或必然的结果。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