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위(後衛)의 공포와 전위(前衛)의 환상 :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

정주아
{"title":"후위(後衛)의 공포와 전위(前衛)의 환상 :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authors":"정주아","doi":"10.35419/KMLIT.2019..68.010","DOIUrl":null,"url":null,"abstract":"장정일의 문학은 19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의 시대적 적절성 및 유효성을 따지는 논쟁의 맥락에서 그 가치가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이 글은 대학생 집단에 합류함으로써가 아니라 독학을 통해 문학에 입문한 장정일의 예외성, 포르노그래피 쓰기로 요약되는 창작방법론 등을 중심으로 그의 서사 자체에서 발견되는 긴장 및 대립의 구도를 발견하려 하였다. 이로써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차원에서 장정일의 소설을 읽기보다, 장정일의 소설이 어떻게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만나게 되는가를 살피고자 하였다.\n주요 논점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키치적 향유의 의장(意匠)’에 부합하는 방향의 서사가 완성되기까지 선택되고 배제된 서사 간의 긴장 관계를 다룬다. 본문에서는 어머니의 서사가 은폐되는 대목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이념’의 아우라에 의해 가려져 있었던 ‘생활(노동)’의 공포와 관련된다. 두 번째는 장정일 소설에서 점차 외설적 삽화의 양이 증가하고 수위가 강해지는 현상을 다룬다. 앞 절의 논의에 이어 본문에서는, 생활에 대한 공포를 ‘포르노그래피’로의 경사, 즉 ‘생식과 무관한 성’에 대한 환상과 연관시켜 논의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순수관념으로 현실을 포섭하려는 태도에서 유래한 문학적 딜레마를 살피고, 그 딜레마가 1990년대 문단의 위기의식과 공명하는 것임을 밝힌다. 이로써, 장정일의 문학은 이념 시대의 끝자락에 남은 후위(後衛)의 공포가 전위(前衛)의 환상으로 전치된 것임을 살폈다.","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10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419/KMLIT.2019..68.01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장정일의 문학은 19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의 시대적 적절성 및 유효성을 따지는 논쟁의 맥락에서 그 가치가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이 글은 대학생 집단에 합류함으로써가 아니라 독학을 통해 문학에 입문한 장정일의 예외성, 포르노그래피 쓰기로 요약되는 창작방법론 등을 중심으로 그의 서사 자체에서 발견되는 긴장 및 대립의 구도를 발견하려 하였다. 이로써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차원에서 장정일의 소설을 읽기보다, 장정일의 소설이 어떻게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만나게 되는가를 살피고자 하였다. 주요 논점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키치적 향유의 의장(意匠)’에 부합하는 방향의 서사가 완성되기까지 선택되고 배제된 서사 간의 긴장 관계를 다룬다. 본문에서는 어머니의 서사가 은폐되는 대목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이념’의 아우라에 의해 가려져 있었던 ‘생활(노동)’의 공포와 관련된다. 두 번째는 장정일 소설에서 점차 외설적 삽화의 양이 증가하고 수위가 강해지는 현상을 다룬다. 앞 절의 논의에 이어 본문에서는, 생활에 대한 공포를 ‘포르노그래피’로의 경사, 즉 ‘생식과 무관한 성’에 대한 환상과 연관시켜 논의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순수관념으로 현실을 포섭하려는 태도에서 유래한 문학적 딜레마를 살피고, 그 딜레마가 1990년대 문단의 위기의식과 공명하는 것임을 밝힌다. 이로써, 장정일의 문학은 이념 시대의 끝자락에 남은 후위(後衛)의 공포가 전위(前衛)의 환상으로 전치된 것임을 살폈다.
后卫的恐怖与前卫的幻想:20世纪90年代张正日的小说与色情作品的形式
张正日的文学在20世纪90年代后现代主义讨论的时代妥当性及有效性争论脉络中,得到了其价值的评价。但这篇文章并不是通过加入大学生集团,而是以通过自学进入文学的张正日的例外性、可概括为写色情作品的创作方法论等为中心,试图发现在他的叙事本身中发现的紧张及对立的构图。因此,与其从后现代主义理论的角度阅读张正日的小说,还不如观察张正日的小说如何与后现代主义理论接触。主要论点有两个。第一是在符合“共享的意向书”方向的叙事完成之前,被选择和排斥的叙事之间的紧张关系。本文关注的是母亲叙事被掩盖的部分,这与被“理念”掩盖的对“生活(劳动)”的恐惧有关。第二种是在张正日小说中,淫秽插图的量逐渐增加,力度逐渐加强的现象。在前一节的讨论之后,本文将对生活的恐惧与对“色情”的喜庆,即“与生殖无关的性”的幻想联系起来进行了讨论。在最后一章中,作者观察了源于以纯粹观念包容现实的态度的文学两难境地,并表明这种两难境地与90年代文坛的危机意识产生了共鸣。由此,张正日的文学研究了留在理念时代末期的后卫之惧,因前卫之想而得到了治愈。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