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융시장 여건변화가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nge in USA Financial Conditions on the Korea Financial Markets: FCI Analysis)

Dong Heon Kim, Byung Yoon Bae
{"title":"미국 금융시장 여건변화가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nge in USA Financial Conditions on the Korea Financial Markets: FCI Analysis)","authors":"Dong Heon Kim, Byung Yoon Bae","doi":"10.2139/ssrn.3016974","DOIUrl":null,"url":null,"abstract":"<b>Korean Abstract:</b> 본 연구는 일국의 금융시장 충격이 타국의 금융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 지를 분석하기위하여 先行연구들이 취했던 자산가격의 국내전이효과, 또는 주식시장간 전이효과 등과 같은 개별 금융변수들이 국내금융시장에 미치는 효과만을 평가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일국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여건의 변화가 타국의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여건변화를 반영하는 금융여건지수(FCI)를 이용하여 미국의 금융시장 여건의 변화가 한국 금융시장의 환율, 채권, 주식에 미치는 영향을 세 금융변수의 수익률과 수익률의 변동성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월별자료를 이용하여 3-변량 GARCH모형을 추정한 결과, 미국금융여건의 변화는 환율 및 주식의 수익률에는 상당한 부(‑)의 영향을 끼치나 채권의 수익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환율, 주식, 채권 수익률의 변동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금융시장 변수를 이용하여 한국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경우 FCI를 이용할 경우보다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강건성 분석(Robust Analysis)을 시도한 결과, FCI의 산출방법이 다르더라도 실증분석 결과는 질적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시건전성을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을 추구하려는 중앙은행은 미국 금융시장의 여건변화가 한국 개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정책을 펼 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br><br><b>English Abstract:</b> Existing literature has taken an approach in which the effect of the shock to only individual foreign financial market on domestic financial markets is considered―the contagion effect of asset prices or the transmission effect between international stock markets―in order to examine how the shock to one country financial market affects other country financial markets. This study takes new approach in which the effect of the change in overall financial conditions on other country financial markets is focused on. For this end, we employ the financial condition index (FCI) which reflects overall financial conditions and analyze how the change in US FCI affects Korea foreign exchange, bond and stock markets in terms of the return and its' volatility of exchange rate, bond price, and stock price. We use monthly data and estimate 3-variables GARCH model.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change in USA financial conditions has an negative impact on the returns of foreign exchange and stock while it does not affect bond's return. The volatility of the return of all three financial variables appears not to be affected by the US FCI. If the change in US stock price was only consider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US financial market on Korea financial markets, it was observed that the effect has been underestimated.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robust analysis, the fundamental results have not been changed when different FCI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nk of Korea needs to conducts macro-prudential policy in order to stabilize Korea financial market with bearing in mind that the effect of the change in US financial conditions has different impact on Korea individual financial market.","PeriodicalId":166226,"journal":{"name":"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KDIC) Research Paper Series","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KDIC)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01697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일국의 금융시장 충격이 타국의 금융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 지를 분석하기위하여 先行연구들이 취했던 자산가격의 국내전이효과, 또는 주식시장간 전이효과 등과 같은 개별 금융변수들이 국내금융시장에 미치는 효과만을 평가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일국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여건의 변화가 타국의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여건변화를 반영하는 금융여건지수(FCI)를 이용하여 미국의 금융시장 여건의 변화가 한국 금융시장의 환율, 채권, 주식에 미치는 영향을 세 금융변수의 수익률과 수익률의 변동성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월별자료를 이용하여 3-변량 GARCH모형을 추정한 결과, 미국금융여건의 변화는 환율 및 주식의 수익률에는 상당한 부(‑)의 영향을 끼치나 채권의 수익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환율, 주식, 채권 수익률의 변동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금융시장 변수를 이용하여 한국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경우 FCI를 이용할 경우보다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강건성 분석(Robust Analysis)을 시도한 결과, FCI의 산출방법이 다르더라도 실증분석 결과는 질적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시건전성을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을 추구하려는 중앙은행은 미국 금융시장의 여건변화가 한국 개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정책을 펼 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English Abstract: Existing literature has taken an approach in which the effect of the shock to only individual foreign financial market on domestic financial markets is considered―the contagion effect of asset prices or the transmission effect between international stock markets―in order to examine how the shock to one country financial market affects other country financial markets. This study takes new approach in which the effect of the change in overall financial conditions on other country financial markets is focused on. For this end, we employ the financial condition index (FCI) which reflects overall financial conditions and analyze how the change in US FCI affects Korea foreign exchange, bond and stock markets in terms of the return and its' volatility of exchange rate, bond price, and stock price. We use monthly data and estimate 3-variables GARCH model.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change in USA financial conditions has an negative impact on the returns of foreign exchange and stock while it does not affect bond's return. The volatility of the return of all three financial variables appears not to be affected by the US FCI. If the change in US stock price was only consider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US financial market on Korea financial markets, it was observed that the effect has been underestimated.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robust analysis, the fundamental results have not been changed when different FCI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nk of Korea needs to conducts macro-prudential policy in order to stabilize Korea financial market with bearing in mind that the effect of the change in US financial conditions has different impact on Korea individual financial market.
美国金融状况变化对韩国金融市场影响的研究:FCI 分析(美国金融状况变化对韩国金融市场影响的研究:FCI 分析)
韩国 摘要:为了分析一国的金融市场冲击如何影响其他国家的金融市场,本研究重点关注美国整体金融市场状况的变化对其他国家金融市场的溢出效应,而不是像以往研究那样只评估单个金融变量的影响,如资产价格的国内溢出效应或股票价格的跨市场溢出效应。为此,我们利用反映整体金融市场状况变化的金融状况指数(FCI),从三个金融变量的收益率和波动率的角度,考察美国金融市场状况变化对韩国金融市场汇率、债券和股票的影响。利用月度数据估计三变量 GARCH 模型,我们发现美国金融状况的变化对汇率和股票收益率有显著的负面影响,但对债券收益率没有影响,而且对汇率、股票和债券收益率的波动性影响不大。此外,稳健性分析的结果表明,即使采用不同的 FCI 计算方法,实证结果也不会有太大的本质区别。本研究建议,中央银行在寻求通过宏观审慎措施稳定金融市场时,应考虑美国金融市场状况的变化对韩国个别金融市场的不同影响。英文摘要:现有文献采用的方法是只考虑单个外国金融市场的冲击对国内金融市场的影响,即资产价格的传染效应或国际股票市场之间的传导效应,以研究一国金融市场的冲击如何影响其他国家的金融市场。 本研究采用了新的方法,即关注整体金融状况的变化对其他国家金融市场的影响。为此,我们采用了反映整体金融状况的金融状况指数(FCI),并从汇率、债券价格和股票价格的收益率及其波动性方面分析了美国金融状况指数的变化如何影响韩国外汇、债券和股票市场。 我们使用月度数据并估计了三变量 GARCH 模型。 实证结果表明,美国金融状况的变化对外汇和股票的收益率有负面影响,而对债券的收益率没有影响。如果仅考虑美国股票价格的变化来研究美国金融市场对韩国金融市场的影响,则会发现其影响被低估了。此外,作为稳健分析的结果,使用不同的 FCI 时,基本面结果没有发生变化。本研究结果表明,韩国银行需要实施宏观审慎政策,以稳定韩国金融市场,同时考虑到美国金融状况的变化对韩国个别金融市场的不同影响。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