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고교 태권도시범단원의 뒤공중돌기와 뒤공중 앞차기 1단계, 2단계 동작의 생체역학적 비교

Dong-Kwon Kang, Kim, Hye-Ree
{"title":"남자 고교 태권도시범단원의 뒤공중돌기와 뒤공중 앞차기 1단계, 2단계 동작의 생체역학적 비교","authors":"Dong-Kwon Kang, Kim, Hye-Ree","doi":"10.24881/TJK.2019.10.2.19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남자 고교생을 지도하는 현장의 지도자들과 시범단원들에게 뒤공중 앞차기 동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도법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남자고교 태권도시범단원 9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생체역학적 변인을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동작분석 카메라(200Hz)와 지면반력기(2000Hz)를 사용하였다. 뒤공중돌기, 뒤공중 앞차기 1단계, 뒤공중 앞차기 2단계의 생체역학적인 변인들은 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로 검증하였고, 사후분석은 bonferroni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뒤공중돌기에서 차기 동작이 추가되면 수직 점프 높이가 낮아져 체공 시간이 짧아진다. 둘째, 뒤공중돌기에서 차기 동작이 추가되면 수평축 회전 속도가 느려져 착지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셋째, 뒤공중 앞차기 1단계와 2단계는 많은 부분 동일하지만 착지의 안정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체공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기 동작을 무리하게 시도해서는 안되며, 보조자 또는 안전매트를 구축한 상태로 지면에서 어깨를 빠르게 굴곡하고 차기 이후 전신을 신속하게 굴곡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PeriodicalId":166560,"journ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volume":"194-19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AEKWONDO JOURNAL OF KUKKIW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881/TJK.2019.10.2.19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남자 고교생을 지도하는 현장의 지도자들과 시범단원들에게 뒤공중 앞차기 동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도법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남자고교 태권도시범단원 9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생체역학적 변인을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동작분석 카메라(200Hz)와 지면반력기(2000Hz)를 사용하였다. 뒤공중돌기, 뒤공중 앞차기 1단계, 뒤공중 앞차기 2단계의 생체역학적인 변인들은 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로 검증하였고, 사후분석은 bonferroni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뒤공중돌기에서 차기 동작이 추가되면 수직 점프 높이가 낮아져 체공 시간이 짧아진다. 둘째, 뒤공중돌기에서 차기 동작이 추가되면 수평축 회전 속도가 느려져 착지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셋째, 뒤공중 앞차기 1단계와 2단계는 많은 부분 동일하지만 착지의 안정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체공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기 동작을 무리하게 시도해서는 안되며, 보조자 또는 안전매트를 구축한 상태로 지면에서 어깨를 빠르게 굴곡하고 차기 이후 전신을 신속하게 굴곡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
男子高中跆拳道示范团员后空翻和后空翻第一、第二阶段动作的生物力学比较
该研究的目的在于,向指导男高中生的现场指导者和示范团员提供提高对后空翻前脚动作的理解和改善指导法的信息。本研究以9名男子高中跆拳道示范团员为对象进行了实验,为了收集和分析生物力学变异因子,使用了三维动作分析摄像机(200Hz)和地面反力器(2000Hz)。后空翻、后空翻第一阶段和后空翻第二阶段的生物力学变异由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验证,事后分析由bonferroni验证。本研究的结果如下。第一,后空翻增加踢动作,垂直跳跃高度降低,滞空时间缩短。第二,后空翻增加踢动作会使水平轴旋转速度变慢,增加落地的危险。第三,后空翻第一阶段和第二阶段虽然在很多方面相同,但在落地的稳定性上存在差异。因此,在滞空时间不充分的情况下,不能过度地尝试下踢动作,在构筑辅助者或安全垫子的状态下,有必要进行在地面上快速弯曲肩膀,下踢后全身迅速弯曲的训练。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