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Middle Ear Implant","authors":"K. Hwang, J. Choi","doi":"10.7599/HMR.2015.35.2.103","DOIUrl":null,"url":null,"abstract":"이식형 보청기는 1935년 Wilska 등이 철 입자(iron particle)로 고 막을 진동시키는 실험을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Rutschmann 등 도 고막에 교차형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s)을 장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1]. 그러나 실제 환자에게 사용이 가능한 기구 는 Yanagihara 등이 등골에 고정하는 압전기 방식의 기구(piezoelectric-type devices)를 개발하면서 가능해졌다[2]. 이후 이식형 보 청기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골도 청력을 이용 하는 골도 보청기(bone conduction hearing aid)가 먼저 상용화되 었는데, 현재 Baha, Sophono, Ponto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Hanyang Med Rev 2015;35:103-107 http://dx.doi.org/10.7599/hmr.2015.35.2.103 pISSN 1738-429X eISSN 2234-4446","PeriodicalId":345710,"journal":{"name":"Hanyang Medical Reviews","volume":"7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5-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6","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yang Medical Review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99/HMR.2015.35.2.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6
Abstract
이식형 보청기는 1935년 Wilska 등이 철 입자(iron particle)로 고 막을 진동시키는 실험을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Rutschmann 등 도 고막에 교차형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s)을 장치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1]. 그러나 실제 환자에게 사용이 가능한 기구 는 Yanagihara 등이 등골에 고정하는 압전기 방식의 기구(piezoelectric-type devices)를 개발하면서 가능해졌다[2]. 이후 이식형 보 청기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골도 청력을 이용 하는 골도 보청기(bone conduction hearing aid)가 먼저 상용화되 었는데, 현재 Baha, Sophono, Ponto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Hanyang Med Rev 2015;35:103-107 http://dx.doi.org/10.7599/hmr.2015.35.2.103 pISSN 1738-429X eISSN 2234-4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