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ultural Appropriation, or the Right to Write Fiction: Narrating North Korea in Adam Johnson’s The Orphan Master’s Son","authors":"S. Kim","doi":"10.22344/fls.2019.73.9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문화 전용에 관한 라이널 슈라이버의 2016년 연설을 출발점으로 한다. 이 연설에서 슈라이버는 ‘문화 전용’이란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음을 역설하며, 특히 소설가에게 타문화나 타인종에 대해 무엇이든 쓸 수 있는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한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슈라이버의 연설 내용을 분석하되, 소설가의 창작의 자유로부터 독자의 책임감을...","PeriodicalId":221681,"journal":{"name":"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Literature Studies","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Literature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344/fls.2019.73.9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논문은 문화 전용에 관한 라이널 슈라이버의 2016년 연설을 출발점으로 한다. 이 연설에서 슈라이버는 ‘문화 전용’이란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음을 역설하며, 특히 소설가에게 타문화나 타인종에 대해 무엇이든 쓸 수 있는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한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슈라이버의 연설 내용을 분석하되, 소설가의 창작의 자유로부터 독자의 책임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