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1910년대 조선의 수학여행과 기록의 의미

조윤정
{"title":"1900-1910년대 조선의 수학여행과 기록의 의미","authors":"조윤정","doi":"10.17948/KCS.2017..76.24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1900-1910년대 수학여행의 형성 계기, 수학여행의 정착 과정을 살피고, 학생들의 기행문을 분석한다. 근대 초기 조선의 수학여행은 학교의 제도화, 여행 담론의 출현, 근대적 관광 상품의 개발과 확산 과정 속에서 연례화된다. 수학여행은 계몽이라는 사회적 당위와 여행에 대한 개인의 욕망이 만나는 지점에 놓여있다. 또한, 통감부나 조선총독부가 개입하면서 여행이라는 사적영역은 공적 행위로 편입된다. 수학여행은 교육 제도 및 국토 개발 등의 자본 권력에 의지하면서도 일본에서 유입된 국가주의를 민족주의로 변용하고 내면화하는 데에 활용된다. \n 학생들을 인솔하는 교사들과 수학여행이라는 문화현상에 주목한 기자들의 발 언, 학생의 기행문은 수학여행을 재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근대 초기 여행 담론에는 수학여행을 사마천의 답사에 비유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학보, 신문, 교지에 실린 학생들의 기행문은 수학여행의 공공성과 여행지의 전형적 이미지를 반영 하는 동시에, 감정기억을 통해 공공의 지식으로 환원될 수 없는 균열의 지점을 보여준다. 조선 학생들은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여행지에서 추체험하며 현재를 응시하고, 과거와 미래의 조선까지 상상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므로 근대 초기 수학여행과 관광의 기록은 신조선을 이끌어갈 주체로 학생을 부각하고, 조선의 역사를 과거의 사건으로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미완의 사건으로 인식하게 한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72 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948/KCS.2017..76.2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논문은 1900-1910년대 수학여행의 형성 계기, 수학여행의 정착 과정을 살피고, 학생들의 기행문을 분석한다. 근대 초기 조선의 수학여행은 학교의 제도화, 여행 담론의 출현, 근대적 관광 상품의 개발과 확산 과정 속에서 연례화된다. 수학여행은 계몽이라는 사회적 당위와 여행에 대한 개인의 욕망이 만나는 지점에 놓여있다. 또한, 통감부나 조선총독부가 개입하면서 여행이라는 사적영역은 공적 행위로 편입된다. 수학여행은 교육 제도 및 국토 개발 등의 자본 권력에 의지하면서도 일본에서 유입된 국가주의를 민족주의로 변용하고 내면화하는 데에 활용된다. 학생들을 인솔하는 교사들과 수학여행이라는 문화현상에 주목한 기자들의 발 언, 학생의 기행문은 수학여행을 재생산하는 효과를 낳는다. 근대 초기 여행 담론에는 수학여행을 사마천의 답사에 비유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학보, 신문, 교지에 실린 학생들의 기행문은 수학여행의 공공성과 여행지의 전형적 이미지를 반영 하는 동시에, 감정기억을 통해 공공의 지식으로 환원될 수 없는 균열의 지점을 보여준다. 조선 학생들은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여행지에서 추체험하며 현재를 응시하고, 과거와 미래의 조선까지 상상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므로 근대 초기 수학여행과 관광의 기록은 신조선을 이끌어갈 주체로 학생을 부각하고, 조선의 역사를 과거의 사건으로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미완의 사건으로 인식하게 한다.
1900-1910年代朝鲜的修学旅行和记录的意义
该论文观察了1900 ~ 1910年代修学旅行的形成契机、修学旅行的落实过程,并分析了学生们的游记。近代初期朝鲜的修学旅行在学校的制度化、旅行讨论的出现、近代旅游商品的开发和扩散过程中成为年例。修学旅行处在启蒙这一社会义务和个人对旅行的欲望相结合的地方。另外,随着统监部和朝鲜总督府的介入,旅行这一私人领域被编入公共行为。修学旅行在依靠教育制度及国土开发等资本权力的同时,还可以将从日本流入的国家主义转变为民族主义,并将其内在化。带领学生的教师和关注修学旅行这一文化现象的记者们的发言、学生的游记产生了再现修学旅行的效果。在近代初期的旅行讨论中,把修学旅行比喻成司马迁的实地考察的现象非常明显。学报、报纸、校刊上刊登的学生游记反映了修学旅行的公共性和旅行地的典型形象,同时还表现出了无法通过感情记忆还原为公共知识的龟裂地点。朝鲜学生们在旅行地追体验自己学到的知识,凝视现在,想象过去和未来的朝鲜。因此,近代初期修学旅行和观光的记录将学生刻画为引领新朝鲜的主体,使学生认识到朝鲜的历史不是美化为过去的事件,而是未完成的事件。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