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Ra Kim, J. J. Kim, H. Park, Sukyung Kang, H. Cha, H. Baek
{"title":"韩国海域鲐鱼的成熟与产卵","authors":"So Ra Kim, J. J. Kim, H. Park, Sukyung Kang, H. Cha, H. Baek","doi":"10.5657/KFAS.2020.0009","DOIUrl":null,"url":null,"abstract":"고등어(Scomber japonicus)는 온대해역에 넓게 서식하는 표 층성 어류(pelagic fish)로 우리나라 연근해와 일본, 동중국해 및 동부태평양 연안 등에 분포한다(Collette and Nauen, 1983; Scoles et al., 1998). 우리나라 연근해를 비롯한 북서태평양에 분포하는 고등어는 서식 범위와 회유경로, 산란장의 위치에 따 라 대마계군(Tsushima Current stock)과 태평양 계군(Pacifc stock)으로 나뉜다(Shiraishi et al., 2008). 대마계군은 동중국해 와 한국 연근해(동·서·남해), 일본의 규슈와 혼슈 서부해역을 따 라 서식하며, 산란장은 타이완 북부해역과 큐슈 서부해역 및 쓰 시마섬 주변해역, 우리나라 남해와 제주 주변해역, 동해남부해 역으로 알려져 있다(Hiyama et al., 2002; Yukami et al., 2009; Sassa and Tsukamoto, 2010; Lee et al.,2016; Kim et al., 2019). 반면, 태평양계군은 일본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분포하며, 산란 장은 Izu Islands 주변으로 알려져 있다(Murayama et al.,1995; Watanabe et al., 1999). 남해 및 제주도 주변해역, 동해남부해 역은 우리나라 연근해에 내유하는 대마계군의 산란장과 보육장 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업자원의 가입밀도가 높은 해역 이다(Kim and Pang, 2005; Ko et al., 2010; Kim et al., 2019). 고등어의 산란시기는 3-6월, 주산란기는 4월로 보고되었으며 (Cha et al., 2002), 봄철(3-6월)에 산란을 마친 어미 고등어는 여 름철(7-8월)에 섭이활동을 하기 위해 서해와 동해로 북상하였 다가 가을철(10-11월)에 월동준비를 위해 남해와 제주 주변으 로 남하하는 계절적인 회유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2003). 우리나라는 고등어의 자원관리를 위해 1999년부터 대형선망 어업을 대상으로 총허용어획량(total allowable catch, TAC)제 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수산자원관리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포획금지체장(전장 21 cm)과 금어기(4-6월 중 한 달)를 추가로 실시하고 있다. 고등어의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알의 비중과 수직분 포(Jung et al., 2013), 난 발생과 자치어의 형태 발달(Kim et al., 2008), 난·자치어의 분포특성(Lee et al., 2006; Lee et al., 2016), 성숙과 산란(Cha et al., 2002), 식성(Yoon et al., 2008), 이석 초륜 형성 및 연령사정(Kang et al., 2015)등 다양한 연구 가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과거 고등어의 성숙과 산 란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이후 20년 가까이 산란 생태에 관한 연 한국 연근해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성숙 및 산란 특성 김소라*·김중진·박희원·강수경·차형기·백혜자","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 1","pages":"9-1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aturity and Spawning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Korean Waters\",\"authors\":\"So Ra Kim, J. J. Kim, H. Park, Sukyung Kang, H. Cha, H. Baek\",\"doi\":\"10.5657/KFAS.2020.0009\",\"DOIUrl\":null,\"url\":null,\"abstract\":\"고등어(Scomber japonicus)는 온대해역에 넓게 서식하는 표 층성 어류(pelagic fish)로 우리나라 연근해와 일본, 동중국해 및 동부태평양 연안 등에 분포한다(Collette and Nauen, 1983; Scoles et al., 1998). 우리나라 연근해를 비롯한 북서태평양에 분포하는 고등어는 서식 범위와 회유경로, 산란장의 위치에 따 라 대마계군(Tsushima Current stock)과 태평양 계군(Pacifc stock)으로 나뉜다(Shiraishi et al., 2008). 대마계군은 동중국해 와 한국 연근해(동·서·남해), 일본의 규슈와 혼슈 서부해역을 따 라 서식하며, 산란장은 타이완 북부해역과 큐슈 서부해역 및 쓰 시마섬 주변해역, 우리나라 남해와 제주 주변해역, 동해남부해 역으로 알려져 있다(Hiyama et al., 2002; Yukami et al., 2009; Sassa and Tsukamoto, 2010; Lee et al.,2016; Kim et al., 2019). 반면, 태평양계군은 일본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분포하며, 산란 장은 Izu Islands 주변으로 알려져 있다(Murayama et al.,1995; Watanabe et al., 1999). 남해 및 제주도 주변해역, 동해남부해 역은 우리나라 연근해에 내유하는 대마계군의 산란장과 보육장 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업자원의 가입밀도가 높은 해역 이다(Kim and Pang, 2005; Ko et al., 2010; Kim et al., 2019). 고등어의 산란시기는 3-6월, 주산란기는 4월로 보고되었으며 (Cha et al., 2002), 봄철(3-6월)에 산란을 마친 어미 고등어는 여 름철(7-8월)에 섭이활동을 하기 위해 서해와 동해로 북상하였 다가 가을철(10-11월)에 월동준비를 위해 남해와 제주 주변으 로 남하하는 계절적인 회유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2003). 우리나라는 고등어의 자원관리를 위해 1999년부터 대형선망 어업을 대상으로 총허용어획량(total allowable catch, TAC)제 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수산자원관리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포획금지체장(전장 21 cm)과 금어기(4-6월 중 한 달)를 추가로 실시하고 있다. 고등어의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알의 비중과 수직분 포(Jung et al., 2013), 난 발생과 자치어의 형태 발달(Kim et al., 2008), 난·자치어의 분포특성(Lee et al., 2006; Lee et al., 2016), 성숙과 산란(Cha et al., 2002), 식성(Yoon et al., 2008), 이석 초륜 형성 및 연령사정(Kang et al., 2015)등 다양한 연구 가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과거 고등어의 성숙과 산 란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이후 20년 가까이 산란 생태에 관한 연 한국 연근해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성숙 및 산란 특성 김소라*·김중진·박희원·강수경·차형기·백혜자\",\"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 1\",\"pages\":\"9-1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0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鲭鱼(Scomber japonicus)是在温带海域广泛栖息的表层性鱼类(pelagic fish),分布于我国近海、日本、东中国海及东部太平洋沿岸等地(Collette and Nauen, 1983;scoles et al ., 1998)。青花鱼分布在包括韩国近海在内的西北太平洋,根据栖息范围、洄游路线和产卵场的位置,分为大麻系群(Tsushima Current stock)和太平洋系群(Shiraishi et al., 2008)。大麻继军东中国海与韩国近海地区(东、西、南海)、日本的九州和本州西部海域栖息,摘,产卵表示:台湾北部海域和九州西部海域及写岛周边海域,我国南海和济州周边海域,동해남부一角闻名。(hiyama et al ., 2002;yukami et al ., 2009;sassa and tsukamoto, 2010;lee et al ., 2016;kim et al ., 2019)。与此相反,太平洋鱼群分布在日本的太平洋沿岸,产卵场以Izu Islands为中心(Murayama et al.,1995;watanabe et al ., 1999)。南海及济州岛周边海域、东海南部海域是我国近海内有大麻鸡群的产卵场和保育场,发挥着重要作用,是渔业资源加入密度较高的海域(Kim and Pang, 2005;ko et al ., 2010;kim et al ., 2019)。青花鱼产卵期是3 - 6月,舟山-才被视为4月,et al ., 2002),春季(3 - 6月)产卵结束母鲭夏铁(7 - 8月)燮为了这个活动,用西海和东海北上,到秋季(10 - 11月)为过冬和济州南海周边、南下的季节性洄游的已知(choi, 2003)。为我国青花鱼资源管理,从1999年开始面向大型羡慕渔业捕捞限额(total allowable catch, tac)制度正在实施,2016年开始,根据修改的水产资源管理法施行令,禁止捕获体章(战场21 cm)和禁渔期(4 - 6月份一个月)追加实施。从青花鱼在韩国的研究动向看,青花鱼的比重和垂直分布(Jung et al., 2013)、兰花生长和自治语形态发展(Kim et al., 2008)、兰花分布特征(Lee et al., 2006;Lee et al., 2016),成熟与产卵(Cha et al., 2002),食性(Yoon et al., 2008),李石初轮形成及年龄射精(Kang et al., 2015)等。但是在韩国国内,在过去对青花鱼的成熟和产卵的研究进行报告之后的近20年时间里,韩国近海青花鱼(Scomber japonicus)对产卵生态的成熟及产卵特性金素拉*、金重镇、朴熙媛、姜秀卿、车亨基、白惠子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Korean Waters
고등어(Scomber japonicus)는 온대해역에 넓게 서식하는 표 층성 어류(pelagic fish)로 우리나라 연근해와 일본, 동중국해 및 동부태평양 연안 등에 분포한다(Collette and Nauen, 1983; Scoles et al., 1998). 우리나라 연근해를 비롯한 북서태평양에 분포하는 고등어는 서식 범위와 회유경로, 산란장의 위치에 따 라 대마계군(Tsushima Current stock)과 태평양 계군(Pacifc stock)으로 나뉜다(Shiraishi et al., 2008). 대마계군은 동중국해 와 한국 연근해(동·서·남해), 일본의 규슈와 혼슈 서부해역을 따 라 서식하며, 산란장은 타이완 북부해역과 큐슈 서부해역 및 쓰 시마섬 주변해역, 우리나라 남해와 제주 주변해역, 동해남부해 역으로 알려져 있다(Hiyama et al., 2002; Yukami et al., 2009; Sassa and Tsukamoto, 2010; Lee et al.,2016; Kim et al., 2019). 반면, 태평양계군은 일본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분포하며, 산란 장은 Izu Islands 주변으로 알려져 있다(Murayama et al.,1995; Watanabe et al., 1999). 남해 및 제주도 주변해역, 동해남부해 역은 우리나라 연근해에 내유하는 대마계군의 산란장과 보육장 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업자원의 가입밀도가 높은 해역 이다(Kim and Pang, 2005; Ko et al., 2010; Kim et al., 2019). 고등어의 산란시기는 3-6월, 주산란기는 4월로 보고되었으며 (Cha et al., 2002), 봄철(3-6월)에 산란을 마친 어미 고등어는 여 름철(7-8월)에 섭이활동을 하기 위해 서해와 동해로 북상하였 다가 가을철(10-11월)에 월동준비를 위해 남해와 제주 주변으 로 남하하는 계절적인 회유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2003). 우리나라는 고등어의 자원관리를 위해 1999년부터 대형선망 어업을 대상으로 총허용어획량(total allowable catch, TAC)제 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는 수산자원관리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포획금지체장(전장 21 cm)과 금어기(4-6월 중 한 달)를 추가로 실시하고 있다. 고등어의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알의 비중과 수직분 포(Jung et al., 2013), 난 발생과 자치어의 형태 발달(Kim et al., 2008), 난·자치어의 분포특성(Lee et al., 2006; Lee et al., 2016), 성숙과 산란(Cha et al., 2002), 식성(Yoon et al., 2008), 이석 초륜 형성 및 연령사정(Kang et al., 2015)등 다양한 연구 가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과거 고등어의 성숙과 산 란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이후 20년 가까이 산란 생태에 관한 연 한국 연근해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성숙 및 산란 특성 김소라*·김중진·박희원·강수경·차형기·백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