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社外理事的实际专业性对金融公司的影响:以教授出身的社外理事为中心","authors":"Sang Jun Cho, Chune Young Chung","doi":"10.22510/kjofm.2019.36.1.00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로 교수의 연구실적과 전공에 따른 분류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수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유의미한 경우 지배주주의 유무와 기업의 불확실성 하에서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n실증분석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관련 업종에 속하는 기업 중 교수출신 사외이사가 속해있는 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업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자기자본수익률과 총자산 수익률 그리고 Tobin’s Q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전공과 연구실적에 따라 분류 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n첫째,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에 있어서 전공은 부정적이거나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최근 10년 이내의 연구실적은 유의미하게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이를 통하여 교수 출신 사외이사 중에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경영자와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사외이사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사외이사의 존재를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금융기업에 지배주주가 존재하거나 불확실성이 높아 사외이사의 감시기능이 더욱 중요할 경우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n본 연구를 통하여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치중되어있는 연구에서 벗어나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한 분석으로 전문성이 기업성과와 관련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대한 측정치는 사외이사 선임과 보상수준의 결정 등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25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사외이사의 실질적 전문성이 금융회사에 미치는 영향: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중심으로\",\"authors\":\"Sang Jun Cho, Chune Young Chung\",\"doi\":\"10.22510/kjofm.2019.36.1.00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로 교수의 연구실적과 전공에 따른 분류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수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유의미한 경우 지배주주의 유무와 기업의 불확실성 하에서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n실증분석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관련 업종에 속하는 기업 중 교수출신 사외이사가 속해있는 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업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자기자본수익률과 총자산 수익률 그리고 Tobin’s Q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전공과 연구실적에 따라 분류 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n첫째,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에 있어서 전공은 부정적이거나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최근 10년 이내의 연구실적은 유의미하게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이를 통하여 교수 출신 사외이사 중에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경영자와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사외이사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사외이사의 존재를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금융기업에 지배주주가 존재하거나 불확실성이 높아 사외이사의 감시기능이 더욱 중요할 경우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n본 연구를 통하여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치중되어있는 연구에서 벗어나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한 분석으로 전문성이 기업성과와 관련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대한 측정치는 사외이사 선임과 보상수준의 결정 등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25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10/kjofm.2019.36.1.0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10/kjofm.2019.36.1.0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对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也根据教授的研究业绩和专业进行了分类,以此来查明教授的专业性是否对企业成果产生有意义的影响。在有意义的情况下,实证分析了在控股股东的有无和企业的不确定性下,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对企业成果产生的影响。为了实证分析,从2011年到2015年,在金融相关行业的企业中,以教授出身的社外理事所属的企业为样本,在测定企业成果时,使用了自身资本收益率和总资产收益率以及Tobin ' s Q。另外,根据专业和研究业绩对教授出身的社外理事进行了分类。本论文的分析结果如下。第一,在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方面,专业虽然没有产生否定或有意义的影响,但是最近10年内的研究业绩却有意义的正相关关系。通过这种方式,查明了在教授出身的社外理事中,不具备专业性,而且因与经营者的利害关系一致,不能起到社外理事作用的社外理事的存在。第二,金融企业中存在支配股东或不确定性较高,因此社外理事的监视功能更加重要时,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会产生更加积极的影响。通过本研究,摆脱了着重于社外理事独立性的研究,提供了测定金融企业社外理事专业性的测定值。而且,通过分析显示出专业性与企业成果有关。本研究中提出的对专业性的测定值,将会在选任社外理事和补偿水平的决定等上,有用地使用,对金融企业社外理事的专业性相关的研究扩张,将会有所帮助。
본 연구에서는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로 교수의 연구실적과 전공에 따른 분류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수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유의미한 경우 지배주주의 유무와 기업의 불확실성 하에서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관련 업종에 속하는 기업 중 교수출신 사외이사가 속해있는 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업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자기자본수익률과 총자산 수익률 그리고 Tobin’s Q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전공과 연구실적에 따라 분류 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에 있어서 전공은 부정적이거나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최근 10년 이내의 연구실적은 유의미하게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이를 통하여 교수 출신 사외이사 중에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경영자와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사외이사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사외이사의 존재를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금융기업에 지배주주가 존재하거나 불확실성이 높아 사외이사의 감시기능이 더욱 중요할 경우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치중되어있는 연구에서 벗어나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한 분석으로 전문성이 기업성과와 관련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대한 측정치는 사외이사 선임과 보상수준의 결정 등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