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线粒体DNA多态性与2型糖尿病","authors":"Jeong Hyun Park","doi":"10.4093/KDJ.2009.33.5.373","DOIUrl":null,"url":null,"abstract":"373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장애로 인 한 만성적인 고혈당을 보이는 대사질환이다 . 2008년 질병 관리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30세 이상 국민에서 당뇨병의 유 병률은 9.1%에 달하며 40세가 넘으면 유병률이 급격히 증 가하여 50대에는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격한 유병률의 증가는 영양상태의 개선과 운동의 부족 등 환경적 요인의 변화가 가장 주된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가족력에 따른 당뇨병의 유병률 차이에 대한 분석을 보면 부, 모, 형제자매 등 직계가족에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당뇨병의 유병률이 14.4%로 가족력이 없는 경우 (5.6%)에 비해 약 2.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전적 요 인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강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 준다 . 제2형 당뇨병의 병인 중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도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제2형 당뇨병은 단일 유전자 이상에 의한 것 이 아니라 대부분 다유전자 변이와 함께 환경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포 내에서 에너지 대사를 관장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 능 이상이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이전에도 많이 있어 왔으며, 특히 미토콘드리아 DNA 특정 서열의 점 돌연변이들이 당뇨병과 관련이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잘 알려진 MELAS 증후군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 3,243번의 변이로 인해 산화적 인산화가 저해되고 인슐린분 비능이 감퇴될 뿐 아니라 췌장 내 베타 세포의 수도 감소되 어 당뇨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 지방산 산화 능력이 감퇴되고, 이로 인해 골격근 내 지방산의 양이 증가되어 인슐린저항성이 초 래될 수 있고 , 인슐린 자극에 의한 인(phosphorus)의 이동 에 발생된 장애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ATP의 생성 이 부족해 질 수 있는 것도 원인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이상은 전체 제2형 당뇨병환자의 대략 1% 전후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율은 지금까지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 자 이상들 중에서는 가장 많은 것이다. 하지만 미토콘드리 아 DNA 변이가 있는 사람들에서 모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에 따른 기능적인 변 화도 각 개체, 조직 및 장기마다 모두 각각 다르다. 이는 조 직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의 정도나 각 조직 및 개체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소실 정도의 차이에 의한 것 으로 설명되고 있다 . 제2형 당뇨병은 미토콘드리아 DNA 의 질적 변화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지만 미토콘드리아 DNA의 양적변화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와 한국인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의 질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유럽이나 다른 아시아 여러 국가들에서도 미토콘드리아 DNA의 다양한 SNP에 대 한 연구가 행해졌고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SNP와 제2형 당뇨병과의 상관성은 인종이나 민족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 발견된 24개의 미토콘 드리아 DNA SNP도 제2형 당뇨병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SNP의 일배체형이나 개체당 SNP 발 생률 비교를 통한 분석결과도 제2형 당뇨병환자군과 정상군 에서 차이가 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SNP가 민족에 따라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아주 이질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각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55 1","pages":"373-374"},"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Mitochondria DNA Polymorphism and Type 2 Diabetes Mellitus\",\"authors\":\"Jeong Hyun Park\",\"doi\":\"10.4093/KDJ.2009.33.5.373\",\"DOIUrl\":null,\"url\":null,\"abstract\":\"373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장애로 인 한 만성적인 고혈당을 보이는 대사질환이다 . 2008년 질병 관리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30세 이상 국민에서 당뇨병의 유 병률은 9.1%에 달하며 40세가 넘으면 유병률이 급격히 증 가하여 50대에는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격한 유병률의 증가는 영양상태의 개선과 운동의 부족 등 환경적 요인의 변화가 가장 주된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가족력에 따른 당뇨병의 유병률 차이에 대한 분석을 보면 부, 모, 형제자매 등 직계가족에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당뇨병의 유병률이 14.4%로 가족력이 없는 경우 (5.6%)에 비해 약 2.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전적 요 인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강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 준다 . 제2형 당뇨병의 병인 중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도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제2형 당뇨병은 단일 유전자 이상에 의한 것 이 아니라 대부분 다유전자 변이와 함께 환경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포 내에서 에너지 대사를 관장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 능 이상이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이전에도 많이 있어 왔으며, 특히 미토콘드리아 DNA 특정 서열의 점 돌연변이들이 당뇨병과 관련이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잘 알려진 MELAS 증후군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 3,243번의 변이로 인해 산화적 인산화가 저해되고 인슐린분 비능이 감퇴될 뿐 아니라 췌장 내 베타 세포의 수도 감소되 어 당뇨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 지방산 산화 능력이 감퇴되고, 이로 인해 골격근 내 지방산의 양이 증가되어 인슐린저항성이 초 래될 수 있고 , 인슐린 자극에 의한 인(phosphorus)의 이동 에 발생된 장애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ATP의 생성 이 부족해 질 수 있는 것도 원인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이상은 전체 제2형 당뇨병환자의 대략 1% 전후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율은 지금까지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 자 이상들 중에서는 가장 많은 것이다. 하지만 미토콘드리 아 DNA 변이가 있는 사람들에서 모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에 따른 기능적인 변 화도 각 개체, 조직 및 장기마다 모두 각각 다르다. 이는 조 직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의 정도나 각 조직 및 개체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소실 정도의 차이에 의한 것 으로 설명되고 있다 . 제2형 당뇨병은 미토콘드리아 DNA 의 질적 변화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지만 미토콘드리아 DNA의 양적변화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와 한국인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의 질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유럽이나 다른 아시아 여러 국가들에서도 미토콘드리아 DNA의 다양한 SNP에 대 한 연구가 행해졌고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SNP와 제2형 당뇨병과의 상관성은 인종이나 민족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 발견된 24개의 미토콘 드리아 DNA SNP도 제2형 당뇨병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SNP의 일배체형이나 개체당 SNP 발 생률 비교를 통한 분석결과도 제2형 당뇨병환자군과 정상군 에서 차이가 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SNP가 민족에 따라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아주 이질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각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55 1\",\"pages\":\"373-374\"},\"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5.3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5.3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Mitochondria DNA Polymorphism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373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장애로 인 한 만성적인 고혈당을 보이는 대사질환이다 . 2008년 질병 관리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30세 이상 국민에서 당뇨병의 유 병률은 9.1%에 달하며 40세가 넘으면 유병률이 급격히 증 가하여 50대에는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격한 유병률의 증가는 영양상태의 개선과 운동의 부족 등 환경적 요인의 변화가 가장 주된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가족력에 따른 당뇨병의 유병률 차이에 대한 분석을 보면 부, 모, 형제자매 등 직계가족에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당뇨병의 유병률이 14.4%로 가족력이 없는 경우 (5.6%)에 비해 약 2.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전적 요 인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강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뒷받침 해 준다 . 제2형 당뇨병의 병인 중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들도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제2형 당뇨병은 단일 유전자 이상에 의한 것 이 아니라 대부분 다유전자 변이와 함께 환경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포 내에서 에너지 대사를 관장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 능 이상이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이전에도 많이 있어 왔으며, 특히 미토콘드리아 DNA 특정 서열의 점 돌연변이들이 당뇨병과 관련이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잘 알려진 MELAS 증후군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 3,243번의 변이로 인해 산화적 인산화가 저해되고 인슐린분 비능이 감퇴될 뿐 아니라 췌장 내 베타 세포의 수도 감소되 어 당뇨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 지방산 산화 능력이 감퇴되고, 이로 인해 골격근 내 지방산의 양이 증가되어 인슐린저항성이 초 래될 수 있고 , 인슐린 자극에 의한 인(phosphorus)의 이동 에 발생된 장애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ATP의 생성 이 부족해 질 수 있는 것도 원인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이상은 전체 제2형 당뇨병환자의 대략 1% 전후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율은 지금까지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 자 이상들 중에서는 가장 많은 것이다. 하지만 미토콘드리 아 DNA 변이가 있는 사람들에서 모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에 따른 기능적인 변 화도 각 개체, 조직 및 장기마다 모두 각각 다르다. 이는 조 직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의 정도나 각 조직 및 개체마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소실 정도의 차이에 의한 것 으로 설명되고 있다 . 제2형 당뇨병은 미토콘드리아 DNA 의 질적 변화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지만 미토콘드리아 DNA의 양적변화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와 한국인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의 질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유럽이나 다른 아시아 여러 국가들에서도 미토콘드리아 DNA의 다양한 SNP에 대 한 연구가 행해졌고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SNP와 제2형 당뇨병과의 상관성은 인종이나 민족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 발견된 24개의 미토콘 드리아 DNA SNP도 제2형 당뇨병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SNP의 일배체형이나 개체당 SNP 발 생률 비교를 통한 분석결과도 제2형 당뇨병환자군과 정상군 에서 차이가 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SNP가 민족에 따라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아주 이질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각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