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氧运动强度对2型糖尿病患者胰岛素抵抗的影响[J] .韩国糖尿病杂志33(5):401-411,2009。

Dong-Lim Kim
{"title":"有氧运动强度对2型糖尿病患者胰岛素抵抗的影响[J] .韩国糖尿病杂志33(5):401-411,2009。","authors":"Dong-Lim Kim","doi":"10.4093/KDJ.2009.33.6.547","DOIUrl":null,"url":null,"abstract":"547 제2형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복합 되어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이다. 생활 습관 교정은 당뇨병 발생을 지연시키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당을 감소시킨 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운동은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에너 지 소비로 인한 체중 감소,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킨다. 그 러나 당뇨병환자의 30% 미만에서 운동을 실천하고 있고 또 한, 각 환자에서 운동의 종류, 시간, 강도, 빈도 등에 대해서 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당뇨병환자에서 운동으로 인한 인슐린감수성 개선에는 환자의 나이, 운동의 종류 및 강도, 체중 감량 정도, 식사와 복용하는 약물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 몇몇 연구에 의하면 유산소 운동의 경우 운동의 강도에 관계없이 주 3회 이상, 매회 400 칼로리 이상 소비할 정도의 운동이 면 인슐린감수성을 호전시킨다고 발표하였다 . 다른 연구에 서는 고강도 운동이 당뇨병의 유병률을 낮추고, 심혈관질환 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에 더욱 효과가 좋다고 하였다 . 당 뇨병 관리에 운동이 권고되지만 연구마다 결과가 달라서 아 직까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학회지에 보고된 Ku 등의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 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감수성의 변화 및 염증 물질 변화, 내피세포 기능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 결과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강도 운동이 중강도 운동에 비해 인슐린감수성은 호전 시켰으나 전신 염증 수치나 내피 세포 기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이런 효과는 운동하는 기 간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운동 중단 후에는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운동에 의한 인슐린감수성 개선 효과는 여러 인자에 의 해 좌우된다. 그 중에서도 연령이 하나의 중요한 인자인데, 인슐린감수성은 20세 이상의 건강인에서도 매년 8% 정도 감소하고, 고령에서는 더욱 더 감소하여 인슐린감수성을 호 전시키기 위해서는 고강도 운동이 필요하고 중등도 운동인 경우는 충분한 시간 운동을 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 또 한 인슐린감수성을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체중 감소 자체보 다 체지방 분포가 더 중요하다고도 알려져 있다 . 이 연구 에서 대상자의 연령이 39세에서 70세로, 여성의 경우 폐경 에 따라 체지방 분포에 변화 등이 있을 수 있어, 나이와 체 지방이 비슷한 군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Ku 등의 연구에서 운동 후 복부와 피하 지방이 감소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싸이토카인의 변화나 내피세포 기능의 호 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운동에 의한 인슐린감수성 개선과 혈당 감소가 체지방 감소에서도 가능하지만 실제로 운동의 효과는 근육세포로 포도당 유입의 증가가 많은 부분을 차지 한다 . 따라서 인슐린감수성 호전이 근육량의 변화를 보정 할 경우 어떤 결과를 보이는지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고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전 연구에서 운동 후에 hs-CRP나 IL-6 같은 염증 매개성 물질의 수치가 단기간 운 동 후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12개월 간 중강도 운동 후 감 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운동이 인슐린저항 성에 관련된 염증 매개성 물질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UKPDS 10년 추적 연구나 DCCT 연구의 결과, 당뇨병 발생 초기에 얼마나 혈당 조절을 잘 하느냐가 향후 환자 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2017 1","pages":"547-54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authors\":\"Dong-Lim Kim\",\"doi\":\"10.4093/KDJ.2009.33.6.547\",\"DOIUrl\":null,\"url\":null,\"abstract\":\"547 제2형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복합 되어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이다. 생활 습관 교정은 당뇨병 발생을 지연시키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당을 감소시킨 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운동은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에너 지 소비로 인한 체중 감소,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킨다. 그 러나 당뇨병환자의 30% 미만에서 운동을 실천하고 있고 또 한, 각 환자에서 운동의 종류, 시간, 강도, 빈도 등에 대해서 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당뇨병환자에서 운동으로 인한 인슐린감수성 개선에는 환자의 나이, 운동의 종류 및 강도, 체중 감량 정도, 식사와 복용하는 약물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 몇몇 연구에 의하면 유산소 운동의 경우 운동의 강도에 관계없이 주 3회 이상, 매회 400 칼로리 이상 소비할 정도의 운동이 면 인슐린감수성을 호전시킨다고 발표하였다 . 다른 연구에 서는 고강도 운동이 당뇨병의 유병률을 낮추고, 심혈관질환 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에 더욱 효과가 좋다고 하였다 . 당 뇨병 관리에 운동이 권고되지만 연구마다 결과가 달라서 아 직까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학회지에 보고된 Ku 등의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 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감수성의 변화 및 염증 물질 변화, 내피세포 기능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 결과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강도 운동이 중강도 운동에 비해 인슐린감수성은 호전 시켰으나 전신 염증 수치나 내피 세포 기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이런 효과는 운동하는 기 간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운동 중단 후에는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운동에 의한 인슐린감수성 개선 효과는 여러 인자에 의 해 좌우된다. 그 중에서도 연령이 하나의 중요한 인자인데, 인슐린감수성은 20세 이상의 건강인에서도 매년 8% 정도 감소하고, 고령에서는 더욱 더 감소하여 인슐린감수성을 호 전시키기 위해서는 고강도 운동이 필요하고 중등도 운동인 경우는 충분한 시간 운동을 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 또 한 인슐린감수성을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체중 감소 자체보 다 체지방 분포가 더 중요하다고도 알려져 있다 . 이 연구 에서 대상자의 연령이 39세에서 70세로, 여성의 경우 폐경 에 따라 체지방 분포에 변화 등이 있을 수 있어, 나이와 체 지방이 비슷한 군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Ku 등의 연구에서 운동 후 복부와 피하 지방이 감소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싸이토카인의 변화나 내피세포 기능의 호 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운동에 의한 인슐린감수성 개선과 혈당 감소가 체지방 감소에서도 가능하지만 실제로 운동의 효과는 근육세포로 포도당 유입의 증가가 많은 부분을 차지 한다 . 따라서 인슐린감수성 호전이 근육량의 변화를 보정 할 경우 어떤 결과를 보이는지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고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전 연구에서 운동 후에 hs-CRP나 IL-6 같은 염증 매개성 물질의 수치가 단기간 운 동 후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12개월 간 중강도 운동 후 감 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운동이 인슐린저항 성에 관련된 염증 매개성 물질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UKPDS 10년 추적 연구나 DCCT 연구의 결과, 당뇨병 발생 초기에 얼마나 혈당 조절을 잘 하느냐가 향후 환자 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2017 1\",\"pages\":\"547-54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6.5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6.5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547第2型糖尿病是由遗传因素和环境因素综合而发生的多人性疾病。据悉,矫正生活习惯可以推迟糖尿病的发生,并在第2型糖尿病患者身上减少血糖。特别是运动不仅能调节血糖,还能改善因消耗能量而减少体重、胰岛素抵抗性。但是,糖尿病患者中不到30%的人正在实践运动,而且对于韩、各患者的运动种类、时间、强度、频率等,还需要进行更多的研究。糖尿病患者因运动而改善胰岛素感受性,会受到患者的年龄、运动的种类及强度、体重减轻程度、饮食和服用药物等的影响。一些研究表明,以有氧运动为例,无论运动强度如何,每周3次以上、每次消耗400卡路里以上的运动能使胰岛素感受性好转。另一项研究认为,高强度运动对降低糖尿病的发病率和心血管疾病的发生率有更好的效果。虽然建议在糖尿病管理上进行运动,但由于每个研究的结果都不一样,因此到阿直为止,还缺乏明确的指导方针。在过去的学会杂志上报告的Ku等的研究试图确认第2型糖尿病患者随着运动强度的胰岛素感受性的变化及炎症物质的变化、内皮细胞功能的变化。研究结果显示,在第2型糖尿病患者中,高强度运动与中强度运动相比,胰岛素感受性有所好转,但全身炎症数值和内皮细胞功能没有太大变化。这种效果在运动期间有效果,但在运动中断后,效果不会长期持续。通过运动改善胰岛素感受性的效果取决于多种因素。其中年龄的一个重要参数,胰岛素感受,20岁以上的健康人也减少每年8%左右,高龄更加减少,胰岛素悟性号为了发展需要高强度运动,中等运动的情况,有足够的时间应该运动作了汇报。另外,为了改善一种胰岛素感受性,体脂肪分布比体重减少更重要。在这项研究中,对象的年龄从39岁到70岁,女性的体脂肪分布会随着绝经而发生变化,因此如果分析年龄和体脂肪相似的群中运动强度的差异,结果可能会有所不同。在Ku等的研究中,虽然运动后腹部和皮下脂肪有所减少,但仍未观察到细胞因子的变化和内皮细胞功能的好转。运动可以改善胰岛素感受性和减少血糖,但实际上运动的效果是肌肉细胞葡萄糖流入的增加。因此,要考虑胰岛素感受性好转在修正肌肉量的变化时会出现什么结果。正如考察中指出的,之前的研究报告显示,运动后hs-CRP或IL-6等炎症媒介物质的数值在短期运动后没有太大变化,但在12个月的强度运动后有所减少。因此,有必要进一步研究长期的运动是否会减少与胰岛素抵抗相关的炎症媒介物质。UKPDS 10年追踪研究或DCCT研究的结果显示,糖尿病发生初期血糖调节的好程度是今后患者心第2型糖尿病患者随着有氧运动强度的胰岛素抵抗性变化(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
547 제2형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복합 되어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이다. 생활 습관 교정은 당뇨병 발생을 지연시키고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당을 감소시킨 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운동은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에너 지 소비로 인한 체중 감소,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킨다. 그 러나 당뇨병환자의 30% 미만에서 운동을 실천하고 있고 또 한, 각 환자에서 운동의 종류, 시간, 강도, 빈도 등에 대해서 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당뇨병환자에서 운동으로 인한 인슐린감수성 개선에는 환자의 나이, 운동의 종류 및 강도, 체중 감량 정도, 식사와 복용하는 약물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 몇몇 연구에 의하면 유산소 운동의 경우 운동의 강도에 관계없이 주 3회 이상, 매회 400 칼로리 이상 소비할 정도의 운동이 면 인슐린감수성을 호전시킨다고 발표하였다 . 다른 연구에 서는 고강도 운동이 당뇨병의 유병률을 낮추고, 심혈관질환 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에 더욱 효과가 좋다고 하였다 . 당 뇨병 관리에 운동이 권고되지만 연구마다 결과가 달라서 아 직까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학회지에 보고된 Ku 등의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 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감수성의 변화 및 염증 물질 변화, 내피세포 기능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 결과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고강도 운동이 중강도 운동에 비해 인슐린감수성은 호전 시켰으나 전신 염증 수치나 내피 세포 기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이런 효과는 운동하는 기 간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운동 중단 후에는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운동에 의한 인슐린감수성 개선 효과는 여러 인자에 의 해 좌우된다. 그 중에서도 연령이 하나의 중요한 인자인데, 인슐린감수성은 20세 이상의 건강인에서도 매년 8% 정도 감소하고, 고령에서는 더욱 더 감소하여 인슐린감수성을 호 전시키기 위해서는 고강도 운동이 필요하고 중등도 운동인 경우는 충분한 시간 운동을 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 또 한 인슐린감수성을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체중 감소 자체보 다 체지방 분포가 더 중요하다고도 알려져 있다 . 이 연구 에서 대상자의 연령이 39세에서 70세로, 여성의 경우 폐경 에 따라 체지방 분포에 변화 등이 있을 수 있어, 나이와 체 지방이 비슷한 군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Ku 등의 연구에서 운동 후 복부와 피하 지방이 감소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싸이토카인의 변화나 내피세포 기능의 호 전은 관찰되지 않았다. 운동에 의한 인슐린감수성 개선과 혈당 감소가 체지방 감소에서도 가능하지만 실제로 운동의 효과는 근육세포로 포도당 유입의 증가가 많은 부분을 차지 한다 . 따라서 인슐린감수성 호전이 근육량의 변화를 보정 할 경우 어떤 결과를 보이는지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고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전 연구에서 운동 후에 hs-CRP나 IL-6 같은 염증 매개성 물질의 수치가 단기간 운 동 후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12개월 간 중강도 운동 후 감 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운동이 인슐린저항 성에 관련된 염증 매개성 물질을 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UKPDS 10년 추적 연구나 DCCT 연구의 결과, 당뇨병 발생 초기에 얼마나 혈당 조절을 잘 하느냐가 향후 환자 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