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残疾工薪劳动者的残疾接受对工作满足的影响:自我效能感的媒介效果","authors":"김양이, 이연숙","doi":"10.17327/IPPA.2019.33.2.00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노인복지관 18개 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8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6일부터 20일까지 유의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행복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자기효능감도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노인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 자기효능감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사회적지지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중에서 전문가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친구지지는 노인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증진시키고 행복감도 향상시키는 방안과 친구지지를 강화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PeriodicalId":93332,"journ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volume":"27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장애임금근로자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authors\":\"김양이, 이연숙\",\"doi\":\"10.17327/IPPA.2019.33.2.00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노인복지관 18개 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8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6일부터 20일까지 유의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행복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자기효능감도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노인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 자기효능감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사회적지지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중에서 전문가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친구지지는 노인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증진시키고 행복감도 향상시키는 방안과 친구지지를 강화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PeriodicalId\":93332,\"journ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volume\":\"27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27/IPPA.2019.33.2.0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27/IPPA.2019.33.2.0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노인복지관 18개 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815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6일부터 20일까지 유의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행복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자기효능감도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노인일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경로, 자기효능감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사회적지지에서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중에서 전문가지지가 노인의 행복감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친구지지는 노인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적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증진시키고 행복감도 향상시키는 방안과 친구지지를 강화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