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氧运动强度对2型糖尿病患者胰岛素抵抗的影响[J] .韩国糖尿病杂志33(5):401-411,2009。

Y. Ku, B. Koo, K. Min
{"title":"有氧运动强度对2型糖尿病患者胰岛素抵抗的影响[J] .韩国糖尿病杂志33(5):401-411,2009。","authors":"Y. Ku, B. Koo, K. Min","doi":"10.4093/KDJ.2009.33.6.549","DOIUrl":null,"url":null,"abstract":"549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연구에 귀한 질문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적하신 바와 같이, 나이 특히 폐경 여부는 대사적으로 중요하며 따라서 운동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었을 것입 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폐경 여부는 대조군 72.2% (18 명 중 13명), 중강도 운동군 64.7% (17명 중 11명), 고강도 운동군 50% (14명 중 7명)가 연구 시작 시점에서 폐경 상 태였습니다. 각 군 간 폐경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 니다(P = 0.445). 그러나 폐경 유무로 운동의 효과를 분석 하기에는 각 군당 대상자수가 너무 적어, 본 연구와는 독립 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본 연구에서 고강도 운동군에서만 3개월 intervention 후 인슐린감수성이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조언해 주신 것처럼 운동의 효과가 근육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 다는점을 고려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근육량의 변화 및 근육량을 보정한 인슐린감수성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습니 다. 분석 결과, 3개월간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의해 근육 량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운동 전 39.5 ± 3.6 kg, 운 동 후 39.3 ± 3.4 kg, P = 0.113), 근육량으로 보정한 경우 에도 여전히 인슐린감수성이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P = 0.027).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비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저항운동을 시행하여 이번 연 구 결과와 비교한다면, 인슐린감수성 변화에 대한 근육량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염증 매개성 물질에 대한 장기간의 운동 효과에 대한 지 적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저자의 논 문에서도 언급한 바입니다 . 제2형 당뇨병환자와 같이 인슐 린저항성이 매우 높은 대상에서는 운동 및 식이에 의한 효과 가 일반 정상인에서와는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비슷한 정도의 체중 감량으로 일반인에서는 adiponectin과 resistin level이 유의하게 호전된 반면,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는 변 화가 없었습니다 . RBP-4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운동 및 식이 조절 에 의해 RBP 4 level은 감소하지만 제2형 당뇨 병환자에서는 이들 생활습관 변화에 의한 RBP4 level의 변 화가 일정치 않습니다. 당뇨병환자에서 5~7% 정도의 체 중 감량 시에는 RBP4 level에 변화가 없었으나 6,7) 20% 이 상의 체중 감량 시 4개월 후 RBP4 level이 감소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 54세, 평 균 유병기간 5년의 제2형 당뇨병환자들입니다. 이들처럼 인 슐린저항성이 높은 사람에서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는 일반인에서보다 장기간, 혹은 많은 양의 운동이 필요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본 연구는 thiazolidinedione 계통의 경구혈당강하제를 제 외한 모든 경구혈당강하제와 인슐린 사용 여부에 제한을 두 지 않았습니다. 단, 연구 시작 시기의 투약 내용을 저혈당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 3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유지토록 하였습니다. 각 군에서 metformin 사용자는 대조군 22.2% (18명 중 4명), 중강도 운동군 35.3% (17명 중 6명), 고강도 운동군 0%였으며, 어떤 투약도 하지 않은 대상자는 대조군 44.4% (18명 중 8명), 중강도 운동군 47.1% (17명 중 8명), 고강도 운동군 100% (14명 중 14명)이었습니다. 투약 종류 에 각 군당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 = 0.007) 모든 분석 은 이들 투약을 보정한 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약의 이질성은 본 연구의 큰 한계로 생각됩니다.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40 1","pages":"549-55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spons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authors\":\"Y. Ku, B. Koo, K. Min\",\"doi\":\"10.4093/KDJ.2009.33.6.549\",\"DOIUrl\":null,\"url\":null,\"abstract\":\"549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연구에 귀한 질문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적하신 바와 같이, 나이 특히 폐경 여부는 대사적으로 중요하며 따라서 운동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었을 것입 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폐경 여부는 대조군 72.2% (18 명 중 13명), 중강도 운동군 64.7% (17명 중 11명), 고강도 운동군 50% (14명 중 7명)가 연구 시작 시점에서 폐경 상 태였습니다. 각 군 간 폐경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 니다(P = 0.445). 그러나 폐경 유무로 운동의 효과를 분석 하기에는 각 군당 대상자수가 너무 적어, 본 연구와는 독립 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본 연구에서 고강도 운동군에서만 3개월 intervention 후 인슐린감수성이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조언해 주신 것처럼 운동의 효과가 근육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 다는점을 고려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근육량의 변화 및 근육량을 보정한 인슐린감수성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습니 다. 분석 결과, 3개월간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의해 근육 량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운동 전 39.5 ± 3.6 kg, 운 동 후 39.3 ± 3.4 kg, P = 0.113), 근육량으로 보정한 경우 에도 여전히 인슐린감수성이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P = 0.027).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비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저항운동을 시행하여 이번 연 구 결과와 비교한다면, 인슐린감수성 변화에 대한 근육량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염증 매개성 물질에 대한 장기간의 운동 효과에 대한 지 적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저자의 논 문에서도 언급한 바입니다 . 제2형 당뇨병환자와 같이 인슐 린저항성이 매우 높은 대상에서는 운동 및 식이에 의한 효과 가 일반 정상인에서와는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비슷한 정도의 체중 감량으로 일반인에서는 adiponectin과 resistin level이 유의하게 호전된 반면,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는 변 화가 없었습니다 . RBP-4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운동 및 식이 조절 에 의해 RBP 4 level은 감소하지만 제2형 당뇨 병환자에서는 이들 생활습관 변화에 의한 RBP4 level의 변 화가 일정치 않습니다. 당뇨병환자에서 5~7% 정도의 체 중 감량 시에는 RBP4 level에 변화가 없었으나 6,7) 20% 이 상의 체중 감량 시 4개월 후 RBP4 level이 감소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 54세, 평 균 유병기간 5년의 제2형 당뇨병환자들입니다. 이들처럼 인 슐린저항성이 높은 사람에서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는 일반인에서보다 장기간, 혹은 많은 양의 운동이 필요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본 연구는 thiazolidinedione 계통의 경구혈당강하제를 제 외한 모든 경구혈당강하제와 인슐린 사용 여부에 제한을 두 지 않았습니다. 단, 연구 시작 시기의 투약 내용을 저혈당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 3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유지토록 하였습니다. 각 군에서 metformin 사용자는 대조군 22.2% (18명 중 4명), 중강도 운동군 35.3% (17명 중 6명), 고강도 운동군 0%였으며, 어떤 투약도 하지 않은 대상자는 대조군 44.4% (18명 중 8명), 중강도 운동군 47.1% (17명 중 8명), 고강도 운동군 100% (14명 중 14명)이었습니다. 투약 종류 에 각 군당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 = 0.007) 모든 분석 은 이들 투약을 보정한 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약의 이질성은 본 연구의 큰 한계로 생각됩니다.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40 1\",\"pages\":\"549-55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6.5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6.54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549“第2型糖尿病患者随着有氧运动强度的胰岛素抵抗性的变化”研究中,感谢您提出宝贵的问题。如您所指出的,年龄特别是闭经与否在代谢上很重要,因此可能会影响运动的效果。本研究对象的闭经情况是,对照群72.2%(18人中13人),中强度运动群64.7%(17人中11人),高强度运动群50%(14人中7人)在研究开始时处于闭经状态。各郡之间闭经频率没有明显差异(P = 0.445)。但是因有无闭经来分析运动的效果,各郡的对象人数太少,我认为有必要进行与本研究无关的追加研究。本研究仅在高强度运动群进行3个月的intervention后,胰岛素感受性就会好转。正如您建议的那样,考虑到运动的效果会随着肌肉量的不同而有所不同,在高强度运动群中确认了肌肉量的变化及修正肌肉量的胰岛素感受性的变化。分析结果显示,经过3个月的高强度有氧运动,肌肉量的变化并不明显(运动前39.5±3.6公斤,运动后39.3±3.4公斤,P = 0.113),肌肉量补充后,胰岛素感受性仍然有所好转(P = 0.027)。与高强度有氧运动相比,抵抗运动被认为是增加肌肉量的效果优秀,与这次研究结果相比较,有助于掌握肌肉量对胰岛素感受性变化的影响。对炎症媒介物质长期运动效果的认知是非常重要的部分。关于这一点,本作者的论文中也提到过。“我认为,像第2型糖尿病患者一样,因舒林抵抗性非常高的对象,通过运动及饮食产生的效果与一般正常人不同。由于体重减轻程度相似,一般人的adiponectin和resistin level明显好转,而2型糖尿病患者则没有变化。在RBP-4的情况下,通常通过运动和饮食调节,RBP4 level会减少,但在2型糖尿病患者中,由于生活习惯的变化,RBP4 level的变化并不一定。糖尿病患者减重5% ~7%时RBP4 level没有变化,6,7)减重20%以上时4个月后RBP4 level减少的报告。本研究的对象是平均年龄54岁,平均年龄为5年的第2型糖尿病患者。我认为,对于像他们这样抗磷能力高的人来说,要想了解运动效果,可能比普通人需要更长时间或更多的运动,因此有必要对此进行进一步的研究。”本研究除thiazolidinedione系统口服降血糖剂外,对是否使用口服降血糖剂和胰岛素没有任何限制。但是,研究开始时期的用药内容,除了发生低血糖的情况外,维持3个月的研究期间。各群使用metformin的对照组为22.2%(18人中有4人),中强度运动群为35.3%(17人中有6人),高强度运动群为0%,不服用任何药物的对照组为44.4%(18人中有8人),中强度运动群为47.1%(17人中有8人),高强度运动群为100%(14人中有14人)。每个群体的用药种类都有差异(P = 0.007),但所有的分析都是在对这些用药进行修改后进行的。尽管如此,我认为药物的异质性是本研究的一大局限性。2型糖尿病患者因有氧运动强度的胰岛素抵抗性变化(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Respons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
549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연구에 귀한 질문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적하신 바와 같이, 나이 특히 폐경 여부는 대사적으로 중요하며 따라서 운동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었을 것입 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폐경 여부는 대조군 72.2% (18 명 중 13명), 중강도 운동군 64.7% (17명 중 11명), 고강도 운동군 50% (14명 중 7명)가 연구 시작 시점에서 폐경 상 태였습니다. 각 군 간 폐경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 니다(P = 0.445). 그러나 폐경 유무로 운동의 효과를 분석 하기에는 각 군당 대상자수가 너무 적어, 본 연구와는 독립 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본 연구에서 고강도 운동군에서만 3개월 intervention 후 인슐린감수성이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조언해 주신 것처럼 운동의 효과가 근육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 다는점을 고려하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근육량의 변화 및 근육량을 보정한 인슐린감수성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습니 다. 분석 결과, 3개월간의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의해 근육 량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운동 전 39.5 ± 3.6 kg, 운 동 후 39.3 ± 3.4 kg, P = 0.113), 근육량으로 보정한 경우 에도 여전히 인슐린감수성이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P = 0.027).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비해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저항운동을 시행하여 이번 연 구 결과와 비교한다면, 인슐린감수성 변화에 대한 근육량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염증 매개성 물질에 대한 장기간의 운동 효과에 대한 지 적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본 저자의 논 문에서도 언급한 바입니다 . 제2형 당뇨병환자와 같이 인슐 린저항성이 매우 높은 대상에서는 운동 및 식이에 의한 효과 가 일반 정상인에서와는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비슷한 정도의 체중 감량으로 일반인에서는 adiponectin과 resistin level이 유의하게 호전된 반면,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는 변 화가 없었습니다 . RBP-4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운동 및 식이 조절 에 의해 RBP 4 level은 감소하지만 제2형 당뇨 병환자에서는 이들 생활습관 변화에 의한 RBP4 level의 변 화가 일정치 않습니다. 당뇨병환자에서 5~7% 정도의 체 중 감량 시에는 RBP4 level에 변화가 없었으나 6,7) 20% 이 상의 체중 감량 시 4개월 후 RBP4 level이 감소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 54세, 평 균 유병기간 5년의 제2형 당뇨병환자들입니다. 이들처럼 인 슐린저항성이 높은 사람에서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는 일반인에서보다 장기간, 혹은 많은 양의 운동이 필요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본 연구는 thiazolidinedione 계통의 경구혈당강하제를 제 외한 모든 경구혈당강하제와 인슐린 사용 여부에 제한을 두 지 않았습니다. 단, 연구 시작 시기의 투약 내용을 저혈당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 3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유지토록 하였습니다. 각 군에서 metformin 사용자는 대조군 22.2% (18명 중 4명), 중강도 운동군 35.3% (17명 중 6명), 고강도 운동군 0%였으며, 어떤 투약도 하지 않은 대상자는 대조군 44.4% (18명 중 8명), 중강도 운동군 47.1% (17명 중 8명), 고강도 운동군 100% (14명 중 14명)이었습니다. 투약 종류 에 각 군당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 = 0.007) 모든 분석 은 이들 투약을 보정한 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약의 이질성은 본 연구의 큰 한계로 생각됩니다.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Korean Diabetes J 33:(5)401-411, 2009)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