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宋时期都城迁都:以军事因素为中心

IF 0.2 0 HUMANITIES, MULTIDISCIPLINARY
Kichon Lee
{"title":"唐宋时期都城迁都:以军事因素为中心","authors":"Kichon Lee","doi":"10.37981/hjhrisu.2021.08.61.161","DOIUrl":null,"url":null,"abstract":"당송변혁기 도성사는 長安 시대의 종식과 開封 시대의 도래로 요약된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斷代史的 관점에서 개별 도성의 구조적 특징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본고는 北宋 開寶 9年(976) 천도 논의에서 제기된 “贍軍”을 실마리로, 도성의 입지 변화 요인을 분석했다. 7세기 장기간 지속된 대외전쟁으로 인해 唐의 변경선이 확장되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주둔할 수 있는 병력이 필요했다. 기존 방식대로 농민을 징병하기에는 곤란했기에, 징병제는 모병제로 전환되었고 이로 인해 직업군인이 출현했다. 변경 방어 기구인 藩鎭이 내지로 확대되었고, 안사의 난 이후 번진의 할거는 宋初까지 지속되었다. 정권의 안위를 위해 권력자들은 보다 많은 군대를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당송변혁기 도성의 방어 방식이 “據山河之勝”에서 “蓄兵京師”로 변화했다. 도성에 거주하고 있던 수십만의 군인 및 그 가족에 대한 부양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그런데 장안은 험준한 지형 덕분에 도성 방어에는 유리했지만, 7세기 중반부터 耕地 면적의 축소로 인해 贍軍은 고사하고 황제도 낙양으로 건너가 就食할 정도로 식량공급이 어려웠다. 낙양의 식량 공급원은 산동・하남・하북에 한정되었고, 정비되지 않은 조운 체계는 군량 공급에 차질을 야기했다. 당송변혁기 경제 중심이 장강 중하류로 南移하였다. 개활지인 개봉은 군사방어상 지형적 이점은 없었지만, 4개의 큰 강이 도성을 관통했다. 조운에 유리한 개봉에 정도함으로써, 江・淮의 곡식과 물자가 도성으로 집중되는 유통망이 구축될 수 있었다. 요컨대 군제의 변화, 섬군의 필요성, 경제 중심의 남이, 운하의 중요성 대두로 인해 도성의 입지 조건이 唐・宋을 경계로 전환되었다.","PeriodicalId":40752,"journal":{"name":"Kyiv-Mohyla Humanities Journal","volume":"2 1","pages":""},"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1-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Relocation of Capital Cities in Tang-Song Transition Period: Focused on Military Factors\",\"authors\":\"Kichon Lee\",\"doi\":\"10.37981/hjhrisu.2021.08.61.161\",\"DOIUrl\":null,\"url\":null,\"abstract\":\"당송변혁기 도성사는 長安 시대의 종식과 開封 시대의 도래로 요약된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斷代史的 관점에서 개별 도성의 구조적 특징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본고는 北宋 開寶 9年(976) 천도 논의에서 제기된 “贍軍”을 실마리로, 도성의 입지 변화 요인을 분석했다. 7세기 장기간 지속된 대외전쟁으로 인해 唐의 변경선이 확장되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주둔할 수 있는 병력이 필요했다. 기존 방식대로 농민을 징병하기에는 곤란했기에, 징병제는 모병제로 전환되었고 이로 인해 직업군인이 출현했다. 변경 방어 기구인 藩鎭이 내지로 확대되었고, 안사의 난 이후 번진의 할거는 宋初까지 지속되었다. 정권의 안위를 위해 권력자들은 보다 많은 군대를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당송변혁기 도성의 방어 방식이 “據山河之勝”에서 “蓄兵京師”로 변화했다. 도성에 거주하고 있던 수십만의 군인 및 그 가족에 대한 부양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그런데 장안은 험준한 지형 덕분에 도성 방어에는 유리했지만, 7세기 중반부터 耕地 면적의 축소로 인해 贍軍은 고사하고 황제도 낙양으로 건너가 就食할 정도로 식량공급이 어려웠다. 낙양의 식량 공급원은 산동・하남・하북에 한정되었고, 정비되지 않은 조운 체계는 군량 공급에 차질을 야기했다. 당송변혁기 경제 중심이 장강 중하류로 南移하였다. 개활지인 개봉은 군사방어상 지형적 이점은 없었지만, 4개의 큰 강이 도성을 관통했다. 조운에 유리한 개봉에 정도함으로써, 江・淮의 곡식과 물자가 도성으로 집중되는 유통망이 구축될 수 있었다. 요컨대 군제의 변화, 섬군의 필요성, 경제 중심의 남이, 운하의 중요성 대두로 인해 도성의 입지 조건이 唐・宋을 경계로 전환되었다.\",\"PeriodicalId\":40752,\"journal\":{\"name\":\"Kyiv-Mohyla Humanities Journal\",\"volume\":\"2 1\",\"pages\":\"\"},\"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1-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yiv-Mohyla Humaniti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981/hjhrisu.2021.08.61.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HUMANITIES, MULTIDISCIPLINARY\",\"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yiv-Mohyla Humaniti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981/hjhrisu.2021.08.61.16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HUMANITIES, MULTIDISCIPLINARY","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唐松变革期都成史可概括为长安时代的终结和头封时代的到来。但是,先行研究从历史的观点出发,将注意力集中在个别都城的结构特征上。考试的北宋词展销寶9年(976)迁都讨论中提出的"贍当"为线索,都城的地位变化的因素进行了分析。7世纪长期的对外战争导致了唐朝的边境线的扩张。为了有效防御这种情况,需要能够长期驻扎的兵力。由于很难按照现有的方式征兵农民,征兵制转变为募兵制,因此出现了职业军人。边境防御机构远东地区扩大到内地,安史之乱后,藩镇的割据一直持续到宋代。为了政权的安危,权力者们努力确保更多的军队。结果,唐松变革时期都城的防御方式由"天山河之胜"转变为"野带兵京师"。对居住在都城的数十万军人及其家属的抚养成为了悬案。但是,多亏了险峻的地形,长安都城防御起来玻璃”,但从7世纪中期开始,耕地面积的缩小因贍别说当,皇帝也前往洛阳就食,粮食供应很困难。洛阳的粮食来源限定在山东、河南、河北,不完善的造运体系导致军粮供应受阻唐宋变革时期经济中心南移长江中下游。开阔地开封虽然在军事防御上没有地形上的优势,但是有4条大河贯穿了都城。通过有利于朝运的开封,形成了江淮粮食和物资集中到都城的流通网总之,由于军制的变化、岛屿群的必要性、经济中心的南二、运河的重要性的提高,都城的地理条件转变为以唐宋为界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Relocation of Capital Cities in Tang-Song Transition Period: Focused on Military Factors
당송변혁기 도성사는 長安 시대의 종식과 開封 시대의 도래로 요약된다. 하지만 선행연구는 斷代史的 관점에서 개별 도성의 구조적 특징에 관심을 집중하였다. 본고는 北宋 開寶 9年(976) 천도 논의에서 제기된 “贍軍”을 실마리로, 도성의 입지 변화 요인을 분석했다. 7세기 장기간 지속된 대외전쟁으로 인해 唐의 변경선이 확장되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주둔할 수 있는 병력이 필요했다. 기존 방식대로 농민을 징병하기에는 곤란했기에, 징병제는 모병제로 전환되었고 이로 인해 직업군인이 출현했다. 변경 방어 기구인 藩鎭이 내지로 확대되었고, 안사의 난 이후 번진의 할거는 宋初까지 지속되었다. 정권의 안위를 위해 권력자들은 보다 많은 군대를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당송변혁기 도성의 방어 방식이 “據山河之勝”에서 “蓄兵京師”로 변화했다. 도성에 거주하고 있던 수십만의 군인 및 그 가족에 대한 부양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그런데 장안은 험준한 지형 덕분에 도성 방어에는 유리했지만, 7세기 중반부터 耕地 면적의 축소로 인해 贍軍은 고사하고 황제도 낙양으로 건너가 就食할 정도로 식량공급이 어려웠다. 낙양의 식량 공급원은 산동・하남・하북에 한정되었고, 정비되지 않은 조운 체계는 군량 공급에 차질을 야기했다. 당송변혁기 경제 중심이 장강 중하류로 南移하였다. 개활지인 개봉은 군사방어상 지형적 이점은 없었지만, 4개의 큰 강이 도성을 관통했다. 조운에 유리한 개봉에 정도함으로써, 江・淮의 곡식과 물자가 도성으로 집중되는 유통망이 구축될 수 있었다. 요컨대 군제의 변화, 섬군의 필요성, 경제 중심의 남이, 운하의 중요성 대두로 인해 도성의 입지 조건이 唐・宋을 경계로 전환되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Kyiv-Mohyla Humanities Journal
Kyiv-Mohyla Humanities Journal HUMANITIES, MULTIDISCIPLINARY-
CiteScore
0.50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