响应:空腹血糖和糖化血红蛋白联合作为韩国成年人2型糖尿病的预测因子(韩国糖尿病杂志33(4):306-314,2009)

C. Lee, H. Lee
{"title":"响应:空腹血糖和糖化血红蛋白联合作为韩国成年人2型糖尿病的预测因子(韩国糖尿病杂志33(4):306-314,2009)","authors":"C. Lee, H. Lee","doi":"10.4093/KDJ.2009.33.5.451","DOIUrl":null,"url":null,"abstract":"451 최근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이 아직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있어, 당뇨병 을 선별하고,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 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자들의 연구 는 제2형 당 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 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였습니다. 본 연구에서 4년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새롭게 당뇨병 으로 진단된 사람의 비율은 1.6% (32/2,045)로,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 중 2007년도 당뇨 병 유병률인 10.2% (미발표 자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습니 다. 이렇게 유병률이 낮게 나온 데에는 본 연구가 일반인이 아닌 건강검진을 받은 2,0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점, 4 년 후의 새로운 당뇨병 진단에 있어 공복 혈장 혈당만을 사 용한 점, 또한 지적해 주신 바와 같이 중간에 당뇨병이 생겨 4년 후 추적검사를 받지 않은 환자들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 키지 못했던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당뇨병 발생을 예측하는데 있어, 공복 혈장 혈당 검사와 당화혈색소 검사의 조합은 공복 상태에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전향적으로 당뇨병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많은 연구가 있으며 , 각각의 검사를 시행했을 때 보다 함께 검사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고 하였습니다 . 449 명을 대상으로 7년간 시행한 Inoue 등의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 10 mg/dL (0.56 mmol/L), 당화혈색소 0.5% 증 가가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Odds ratio [OR] (95% CI)는 각각 5.28 (3.00~9.31), 3.03 (1.73~5.32)로 나타났으며 또 한 이 두 인자의 조합이 더욱 유용함을 증명하였습니다 . 이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 100 mg/dL (5.55 mmol/L), 109.8 mg/dL (6.10 mmol/L)를 기준으로 정상 공복혈당군 (저/고)과 공복혈당장애군으로 세 군, 당화혈색소 5.8%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 조 언해 주신 바와 같이, 본 연구의 회귀 분석에 있어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단계적으로 나누어 대입하여 통 계 분석을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 다. 하지만 미국 국제 전문가 위원회에서 당뇨병의 진단기 준으로 권고한 6.5%라는 당화혈색소의 기준치와 같이 , 선 별검사에는 이와 같은 기준치가 확립되지 않아 당화혈색소 로 연구 대상을 단계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ROC curve 를 구하여 민감도가 특이도가 높은 102.5 mg/dL와 5.35% 라는 기준치를 구하였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네 군으로 나 누어 chi-square test를 통해 두 예측인자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당뇨병 유병률이 높다는 것과 또한 회귀 분석을 통해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교호 작용에 대한 OR 가 1 이상으로 두 가지 인자가 서로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증명함으로써 두 인자의 조합이 유용함을 증명하였습니다. 당화혈색소 5.35%를 기준으로 할 경우, 환자들에게 과도한 검사나 불필요하게 당뇨병에 대한 우려를 유발할 수 있겠으 나, 당뇨병의 유병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 서 선별 검사로서의 기준치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연구로 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으며, 귀하의 지적대로 당뇨 병의 발생에 있어 공복 혈장 혈당이 미치는 영향보다 당화 한국 성인에서 제2형 당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Korean Diabetes J 33(4):306-314, 2009)","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44 1","pages":"451-452"},"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sponse: The Combination of Fasting Plasma Glucose and Glycosylated Hemoglobin as a Predictor for Type 2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n Diabetes J 33(4):306-314, 2009)\",\"authors\":\"C. Lee, H. Lee\",\"doi\":\"10.4093/KDJ.2009.33.5.451\",\"DOIUrl\":null,\"url\":null,\"abstract\":\"451 최근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이 아직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있어, 당뇨병 을 선별하고,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 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자들의 연구 는 제2형 당 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 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였습니다. 본 연구에서 4년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새롭게 당뇨병 으로 진단된 사람의 비율은 1.6% (32/2,045)로,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 중 2007년도 당뇨 병 유병률인 10.2% (미발표 자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습니 다. 이렇게 유병률이 낮게 나온 데에는 본 연구가 일반인이 아닌 건강검진을 받은 2,0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점, 4 년 후의 새로운 당뇨병 진단에 있어 공복 혈장 혈당만을 사 용한 점, 또한 지적해 주신 바와 같이 중간에 당뇨병이 생겨 4년 후 추적검사를 받지 않은 환자들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 키지 못했던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당뇨병 발생을 예측하는데 있어, 공복 혈장 혈당 검사와 당화혈색소 검사의 조합은 공복 상태에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전향적으로 당뇨병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많은 연구가 있으며 , 각각의 검사를 시행했을 때 보다 함께 검사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고 하였습니다 . 449 명을 대상으로 7년간 시행한 Inoue 등의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 10 mg/dL (0.56 mmol/L), 당화혈색소 0.5% 증 가가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Odds ratio [OR] (95% CI)는 각각 5.28 (3.00~9.31), 3.03 (1.73~5.32)로 나타났으며 또 한 이 두 인자의 조합이 더욱 유용함을 증명하였습니다 . 이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 100 mg/dL (5.55 mmol/L), 109.8 mg/dL (6.10 mmol/L)를 기준으로 정상 공복혈당군 (저/고)과 공복혈당장애군으로 세 군, 당화혈색소 5.8%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 조 언해 주신 바와 같이, 본 연구의 회귀 분석에 있어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단계적으로 나누어 대입하여 통 계 분석을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 다. 하지만 미국 국제 전문가 위원회에서 당뇨병의 진단기 준으로 권고한 6.5%라는 당화혈색소의 기준치와 같이 , 선 별검사에는 이와 같은 기준치가 확립되지 않아 당화혈색소 로 연구 대상을 단계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ROC curve 를 구하여 민감도가 특이도가 높은 102.5 mg/dL와 5.35% 라는 기준치를 구하였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네 군으로 나 누어 chi-square test를 통해 두 예측인자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당뇨병 유병률이 높다는 것과 또한 회귀 분석을 통해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교호 작용에 대한 OR 가 1 이상으로 두 가지 인자가 서로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증명함으로써 두 인자의 조합이 유용함을 증명하였습니다. 당화혈색소 5.35%를 기준으로 할 경우, 환자들에게 과도한 검사나 불필요하게 당뇨병에 대한 우려를 유발할 수 있겠으 나, 당뇨병의 유병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 서 선별 검사로서의 기준치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연구로 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으며, 귀하의 지적대로 당뇨 병의 발생에 있어 공복 혈장 혈당이 미치는 영향보다 당화 한국 성인에서 제2형 당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Korean Diabetes J 33(4):306-314, 2009)\",\"PeriodicalId\":88924,\"journal\":{\"name\":\"Korean diabetes journal\",\"volume\":\"44 1\",\"pages\":\"451-452\"},\"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10-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5.4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diabetes 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93/KDJ.2009.33.5.4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451最近糖尿病的发病率在增加,约三分之一的2型糖尿病患者还没有被诊断,因此对糖尿病的筛选和早期诊断的预测因子的研究正在进行很多。作者的研究是作为第2型糖尿病预测因子,证明空腹血浆血糖和糖化血色素组合有用性的后向患者对照群研究。在本研究的4年追踪观察期间,新被诊断为糖尿病的人的比率为1.6%(32/2,045),低于我国国民健康营养调查(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资料中2007年度糖尿病发病率10.2%(未发表资料)。发展的发病率较低。这样,本研究普通人接受健康检查,而不是2,045名患者为对象的分,4年后在新诊断糖尿病空腹血浆血糖只能耐分,又指出的主神,正如中间发生糖尿病,4年后,跟踪检查患者们不受未能列入研究对象身高等原因可能会受到推崇。糖尿病发生的预测有检查,空腹血浆血糖和糖化血红蛋白检查的组合可以在空腹状态下同时检查优点的同时,全乡糖尿病发生有可以预测的,每个人的检查时比一起检查,实行了更有效。在Inoue等以449人为对象进行了7年的研究中,空腹血浆血糖10 mg/dL (0.56 mmol/L)、糖化血红蛋白0.5%对糖尿病发生的Odds ratio [OR] (95% CI)分别为5.28(3.00~9.31)、3.03(1.73~5.32),并证明这两个因子的组合更有用。该研究以空腹血浆血糖100 mg/dL (5.55 mmol/L), 109.8 mg/dL (6.10 mmol/L)为标准,分为正常空腹血糖群(低/高)和空腹血糖障碍群三个群,糖化血红蛋白5.8%为标准,分成两组进行了研究。如您所言,在本研究的回归分析中,将空腹血浆血糖和糖化血红蛋白分阶段代入,进行系统分析,相信会取得好的结果。但是,就像美国国际专家委员会建议的糖尿病诊断标准——6.5%的糖化血红素的标准值一样,在腺别检查中没有确立这样的标准值,因此很难用糖化血红蛋白将研究对象阶段性化。因此本研究用空腹血浆血糖和糖化血红素的ROC curve,得到了敏度特异性高的102.5 mg/dL和5.35%的标准值;价格为准,由四个军努chi -我的test通过两个参数预测高较低的军相比,糖尿病的发病率高和也是通过回归分析,空腹血浆血糖和糖化血红蛋白交互作用对or 1以上提升两种因子相互作用,从而证明两个因子的组合证明有用。糖化血红蛋白5 . 35%为标准,如果患者过度检查或不必要地对糖尿病能引发了担忧,糖尿病的发病率正在爆发性增长目前是站在筛选检查,是标准值作为重要作用可以期待。也是本研究选定的研究对象为单一机构,有种种限制,您指出的那样,糖尿病的发生,空腹血浆血糖的影响比糖化韩国成人在第2型糖尿病的预测因子作为空腹血浆血糖和糖化血红蛋白组合(korean diabetes j 33 (4): 306 - 314, 2009)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Response: The Combination of Fasting Plasma Glucose and Glycosylated Hemoglobin as a Predictor for Type 2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n Diabetes J 33(4):306-314, 2009)
451 최근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이 아직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있어, 당뇨병 을 선별하고,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 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자들의 연구 는 제2형 당 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 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였습니다. 본 연구에서 4년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새롭게 당뇨병 으로 진단된 사람의 비율은 1.6% (32/2,045)로,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 중 2007년도 당뇨 병 유병률인 10.2% (미발표 자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습니 다. 이렇게 유병률이 낮게 나온 데에는 본 연구가 일반인이 아닌 건강검진을 받은 2,0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점, 4 년 후의 새로운 당뇨병 진단에 있어 공복 혈장 혈당만을 사 용한 점, 또한 지적해 주신 바와 같이 중간에 당뇨병이 생겨 4년 후 추적검사를 받지 않은 환자들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 키지 못했던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당뇨병 발생을 예측하는데 있어, 공복 혈장 혈당 검사와 당화혈색소 검사의 조합은 공복 상태에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전향적으로 당뇨병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많은 연구가 있으며 , 각각의 검사를 시행했을 때 보다 함께 검사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고 하였습니다 . 449 명을 대상으로 7년간 시행한 Inoue 등의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 10 mg/dL (0.56 mmol/L), 당화혈색소 0.5% 증 가가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Odds ratio [OR] (95% CI)는 각각 5.28 (3.00~9.31), 3.03 (1.73~5.32)로 나타났으며 또 한 이 두 인자의 조합이 더욱 유용함을 증명하였습니다 . 이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 100 mg/dL (5.55 mmol/L), 109.8 mg/dL (6.10 mmol/L)를 기준으로 정상 공복혈당군 (저/고)과 공복혈당장애군으로 세 군, 당화혈색소 5.8%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한 바 있습니다. 조 언해 주신 바와 같이, 본 연구의 회귀 분석에 있어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를 단계적으로 나누어 대입하여 통 계 분석을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 다. 하지만 미국 국제 전문가 위원회에서 당뇨병의 진단기 준으로 권고한 6.5%라는 당화혈색소의 기준치와 같이 , 선 별검사에는 이와 같은 기준치가 확립되지 않아 당화혈색소 로 연구 대상을 단계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ROC curve 를 구하여 민감도가 특이도가 높은 102.5 mg/dL와 5.35% 라는 기준치를 구하였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네 군으로 나 누어 chi-square test를 통해 두 예측인자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당뇨병 유병률이 높다는 것과 또한 회귀 분석을 통해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교호 작용에 대한 OR 가 1 이상으로 두 가지 인자가 서로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증명함으로써 두 인자의 조합이 유용함을 증명하였습니다. 당화혈색소 5.35%를 기준으로 할 경우, 환자들에게 과도한 검사나 불필요하게 당뇨병에 대한 우려를 유발할 수 있겠으 나, 당뇨병의 유병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 서 선별 검사로서의 기준치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연구로 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으며, 귀하의 지적대로 당뇨 병의 발생에 있어 공복 혈장 혈당이 미치는 영향보다 당화 한국 성인에서 제2형 당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Korean Diabetes J 33(4):306-314, 2009)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