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Choi, Suk-Hwan Kim, Young Seok Lee, Chang-Nam Kang
{"title":"李克特量表与评估膝关节疼痛的数值评定量表的相关性","authors":"C. Choi, Suk-Hwan Kim, Young Seok Lee, Chang-Nam Kang","doi":"10.5792/JKKS.2011.23.1.14","DOIUrl":null,"url":null,"abstract":"목적: 슬관절 동통을 평가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에 포함된 Likert 척도의 한글 번역판을 숫자 등급 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를 사용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술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98명(제1군), 슬관절 전치환술 후 1년 이상(범위: 1-5년) 추시한 환자 141명(제2군), 슬관절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중인 환자 111명(제3군)의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에 의한 동통 정도를 동시에 평가하여 두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350명의 환자의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의 상관관계는 -0.91이었다. 두 척도간의 상관관계는 제1군 -0.75, 제2군 -0.78, 제3군 -0.6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Likert 척도는 NRS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36317,"journal":{"name":"Kne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volume":"23 1","pages":"14-1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title\":\"Correlation between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 Rating Scale for Evaluating Knee Pain\",\"authors\":\"C. Choi, Suk-Hwan Kim, Young Seok Lee, Chang-Nam Kang\",\"doi\":\"10.5792/JKKS.2011.23.1.14\",\"DOIUrl\":null,\"url\":null,\"abstract\":\"목적: 슬관절 동통을 평가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에 포함된 Likert 척도의 한글 번역판을 숫자 등급 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를 사용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술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98명(제1군), 슬관절 전치환술 후 1년 이상(범위: 1-5년) 추시한 환자 141명(제2군), 슬관절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중인 환자 111명(제3군)의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에 의한 동통 정도를 동시에 평가하여 두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350명의 환자의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의 상관관계는 -0.91이었다. 두 척도간의 상관관계는 제1군 -0.75, 제2군 -0.78, 제3군 -0.6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Likert 척도는 NRS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PeriodicalId\":36317,\"journal\":{\"name\":\"Kne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volume\":\"23 1\",\"pages\":\"14-1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ne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792/JKKS.2011.23.1.1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nee Surgery and Related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792/JKKS.2011.23.1.1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Correlation between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 Rating Scale for Evaluating Knee Pain
목적: 슬관절 동통을 평가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에 포함된 Likert 척도의 한글 번역판을 숫자 등급 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를 사용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6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술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 98명(제1군), 슬관절 전치환술 후 1년 이상(범위: 1-5년) 추시한 환자 141명(제2군), 슬관절염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중인 환자 111명(제3군)의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에 의한 동통 정도를 동시에 평가하여 두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350명의 환자의 Likert 척도에 의한 동통의 정도와 NRS의 상관관계는 -0.91이었다. 두 척도간의 상관관계는 제1군 -0.75, 제2군 -0.78, 제3군 -0.6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Likert 척도는 NRS와 강한 상관 관계를 보여 슬관절 동통의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