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韩国家庭结构变化对服务消费的影响","authors":"황수경","doi":"10.23895/KDIJEP.2011.33.3.5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돌봄서비스 등을 시장서비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서비스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PeriodicalId":32627,"journal":{"nam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volume":"33 1","pages":"57-8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title\":\"The Effects of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on Service Consumption in Korea\",\"authors\":\"황수경\",\"doi\":\"10.23895/KDIJEP.2011.33.3.5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돌봄서비스 등을 시장서비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서비스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PeriodicalId\":32627,\"journal\":{\"nam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volume\":\"33 1\",\"pages\":\"57-85\"},\"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3895/KDIJEP.2011.33.3.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3895/KDIJEP.2011.33.3.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s of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on Service Consumption in Korea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돌봄서비스 등을 시장서비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서비스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