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经济变动与青年失业:失业求职的经济变动特性分析","authors":"남재량, 이철인","doi":"10.22812/JETEM.2012.23.4.003","DOIUrl":null,"url":null,"abstract":"청년실업의 경기변동시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실직구직활동의 경기변동상 특성을 분석·보고한다. 기존의 경기변동문헌에서와 달리 구직확률뿐만 아니라 실직확률의 경기변동시 움직임이 청년실업률을 결정하고 있음을 우리나라의 월별 실업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실직확률 증가로 직업의 안정성이 저하된 것은 청년노동력에도...","PeriodicalId":39995,"journal":{"name":"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volume":"23 1","pages":"312-3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2-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경기변동과청년실업:실직구직의 경기변동상 특성분석\",\"authors\":\"남재량, 이철인\",\"doi\":\"10.22812/JETEM.2012.23.4.003\",\"DOIUrl\":null,\"url\":null,\"abstract\":\"청년실업의 경기변동시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실직구직활동의 경기변동상 특성을 분석·보고한다. 기존의 경기변동문헌에서와 달리 구직확률뿐만 아니라 실직확률의 경기변동시 움직임이 청년실업률을 결정하고 있음을 우리나라의 월별 실업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실직확률 증가로 직업의 안정성이 저하된 것은 청년노동력에도...\",\"PeriodicalId\":39995,\"journal\":{\"name\":\"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volume\":\"23 1\",\"pages\":\"312-33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2-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12/JETEM.2012.23.4.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812/JETEM.2012.23.4.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청년실업의 경기변동시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실직구직활동의 경기변동상 특성을 분석·보고한다. 기존의 경기변동문헌에서와 달리 구직확률뿐만 아니라 실직확률의 경기변동시 움직임이 청년실업률을 결정하고 있음을 우리나라의 월별 실업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실직확률 증가로 직업의 안정성이 저하된 것은 청년노동력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