对日本设置 "综合探索时间 "主题的思考:基于对高中师生的调查

Yoshikazu Ogawa, Kaori Onodera, Sung-Don Park
{"title":"对日本设置 \"综合探索时间 \"主题的思考:基于对高中师生的调查","authors":"Yoshikazu Ogawa, Kaori Onodera, Sung-Don Park","doi":"10.37704/kjje.2023.28.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일본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해 고등학교의 “종합적인 탐구의 시간”의 다음 세 가지 주제에서 학생의 관심과 교사의 실천 여부와의 부정합이 발생하는 요인을 교사의 실천 여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첫 번째 주제는 “과학기술”이다. “과학기술”은 전체적으로 보면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비율이 전체 주제 평균보다 낮고, 관심 있는 학생 비율은 전체 주제 평균보다 높다. 문과 혹은 이과라는 관점에서 보면,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비율과 관심 있는 학생 비율이 모두 문과보다 이과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요구되는 전문성이 높기 때문에 실천하는 교사가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주제는 “예술・체육”이다. “예술・체육”은 관심 있는 학생이 전체 평균보다 높고, 그 성격상 통합적 및 종합적 학습을 실현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교사의 현실적인 과제로는 예술과 같은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체계 구축이 미흡하여 교육 실천으로 전개하는 것을 망설여지는 점 등이 있다. 세 번째는 지역 관계에 관한 주제이다. 많은 교사들의 실천 경험이 있는 주제로는 “마을 만들기”, “지역 경제”가 있으며, 다루어야 할 주제로서의 우선순위도 높다. 이는 교사들이 학습지도요령의 의도에 따라 학생들에게 밀접한 지역 관계 주제를 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학생들의 관심이나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교사의 실천 경험 여부와의 부정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cause inconsistency between student interest and teacher implementation of the three themes of “Time for Integrated Inquiry”, through an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Japanese se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The first theme, “science and technology,” was dealt with by a lower percentage of teachers, in fact lower than the average for all themes, despite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terested in the subject being higher than the average for all themes. In terms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sciences (natural sciences) courses, both the percentage of teachers experienced in dealing with this theme and also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terested in it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science courses than for arts courses, suggesting that the high level of expertise expected of teachers has kept them from practicing the subject. The second theme, “fin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garnered above-average student interest with potential for comprehensive, cross-disciplinary learning. However, teachers face practical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reativity education in the fine arts, which makes them hesitant to develop it into an educational practice. The third theme, “community relations,” saw many teachers have practical experience with the high-priority themes of “town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y” in this survey. This is because teachers emphasize themes related to local areas familiar to students, aligning with the intent of the Courses of Study. However, inadequate measures to increase student interest and motivation have resulted in a disconnect between student interest and the availability of practical experience by teachers.","PeriodicalId":26204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the Japan education","volume":"3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일본의 “종합적인 탐구의 시간” 주제 설정에 대한 일고찰 :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authors\":\"Yoshikazu Ogawa, Kaori Onodera, Sung-Don Park\",\"doi\":\"10.37704/kjje.2023.28.3.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일본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해 고등학교의 “종합적인 탐구의 시간”의 다음 세 가지 주제에서 학생의 관심과 교사의 실천 여부와의 부정합이 발생하는 요인을 교사의 실천 여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첫 번째 주제는 “과학기술”이다. “과학기술”은 전체적으로 보면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비율이 전체 주제 평균보다 낮고, 관심 있는 학생 비율은 전체 주제 평균보다 높다. 문과 혹은 이과라는 관점에서 보면,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비율과 관심 있는 학생 비율이 모두 문과보다 이과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요구되는 전문성이 높기 때문에 실천하는 교사가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주제는 “예술・체육”이다. “예술・체육”은 관심 있는 학생이 전체 평균보다 높고, 그 성격상 통합적 및 종합적 학습을 실현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교사의 현실적인 과제로는 예술과 같은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체계 구축이 미흡하여 교육 실천으로 전개하는 것을 망설여지는 점 등이 있다. 세 번째는 지역 관계에 관한 주제이다. 많은 교사들의 실천 경험이 있는 주제로는 “마을 만들기”, “지역 경제”가 있으며, 다루어야 할 주제로서의 우선순위도 높다. 이는 교사들이 학습지도요령의 의도에 따라 학생들에게 밀접한 지역 관계 주제를 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학생들의 관심이나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교사의 실천 경험 여부와의 부정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cause inconsistency between student interest and teacher implementation of the three themes of “Time for Integrated Inquiry”, through an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Japanese se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The first theme, “science and technology,” was dealt with by a lower percentage of teachers, in fact lower than the average for all themes, despite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terested in the subject being higher than the average for all themes. In terms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sciences (natural sciences) courses, both the percentage of teachers experienced in dealing with this theme and also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terested in it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science courses than for arts courses, suggesting that the high level of expertise expected of teachers has kept them from practicing the subject. The second theme, “fin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garnered above-average student interest with potential for comprehensive, cross-disciplinary learning. However, teachers face practical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reativity education in the fine arts, which makes them hesitant to develop it into an educational practice. The third theme, “community relations,” saw many teachers have practical experience with the high-priority themes of “town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y” in this survey. This is because teachers emphasize themes related to local areas familiar to students, aligning with the intent of the Courses of Study. However, inadequate measures to increase student interest and motivation have resulted in a disconnect between student interest and the availability of practical experience by teachers.\",\"PeriodicalId\":262040,\"journal\":{\"name\":\"Korean journal of the Japan education\",\"volume\":\"3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the Japan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704/kjje.2023.28.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the Japan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704/kjje.2023.28.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通过对日本高中教师和学生的调查分析,研究了在高中 "综合探索时间 "的以下三个主题中,导致学生兴趣与教师实践不匹配的因素,重点关注教师的实践方面。研究结果如下第一个主题是 "科学技术"。"从整体上看,有经验的教师比例低于各学科平均水平,有兴趣的学生比例高于各学科平均水平。从人文学科或理科的角度来看,无论是有经验的教师比例还是有兴趣的学生比例,理科都明显高于人文学科,可能是由于对专业知识的要求较高,实践的教师较少。第二个主题是 "艺术和体育"。对 "艺体 "感兴趣的学生比例高于整体平均水平,其性质有可能实现综合全面的学习。另一方面,教师面临的实际挑战包括缺乏艺术等创造性教育的理论框架,导致他们在教学实践中犹豫不决。第三是地方关系话题。许多教师都有这方面的实践经验,如 "乡村建设"、"地方经济 "等,并将其作为优先解决的课题。这是因为教师强调了与学生关系密切的地方关系话题的重要性,这与指导原则的初衷是一致的。另一方面,也有可能是教师的实践经验与初衷不符,因为没有足够的方法激发学生的兴趣或动机。 本文通过对日本高中教师和学生的问卷调查分析,研究了导致学生兴趣与教师实施 "综合探究时间 "三个主题不一致的因素。 研究结果显示如下。第一个主题 "科学与技术 "的教师比例较低,实际上低于所有主题的平均水平,尽管对该主题感兴趣的学生比例高于所有主题的平均水平。就文科(人文和社会科学)和理科(自然科学)课程而言,理科课程中对这一主题有经验的教师比例和对这一主题感兴趣的学生比例都明显高于文科课程,这表明对教师的高水平专业知识要求阻碍了他们对这一主题的实践。 第二个主题 "美术和体育 "获得了高于平均水平的学生兴趣,具有综合、跨学科学习的潜力。然而,教师们面临着实际挑战,如缺乏美术创造力教育的理论框架,导致他们在将其发展为教育实践时犹豫不决。 在第三个主题 "社区关系 "中,许多教师对本次调查中的 "城镇发展 "和 "区域经济 "这两个优先主题都有实践经验。 这是因为教师们强调的主题与学生熟悉的本地领域相关,与学习课程的意图一致。然而,提高学生兴趣和积极性的措施不足,导致学生的兴趣与教师的实践经验脱节。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일본의 “종합적인 탐구의 시간” 주제 설정에 대한 일고찰 :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일본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분석을 통해 고등학교의 “종합적인 탐구의 시간”의 다음 세 가지 주제에서 학생의 관심과 교사의 실천 여부와의 부정합이 발생하는 요인을 교사의 실천 여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첫 번째 주제는 “과학기술”이다. “과학기술”은 전체적으로 보면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비율이 전체 주제 평균보다 낮고, 관심 있는 학생 비율은 전체 주제 평균보다 높다. 문과 혹은 이과라는 관점에서 보면, 다루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비율과 관심 있는 학생 비율이 모두 문과보다 이과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요구되는 전문성이 높기 때문에 실천하는 교사가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 주제는 “예술・체육”이다. “예술・체육”은 관심 있는 학생이 전체 평균보다 높고, 그 성격상 통합적 및 종합적 학습을 실현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교사의 현실적인 과제로는 예술과 같은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체계 구축이 미흡하여 교육 실천으로 전개하는 것을 망설여지는 점 등이 있다. 세 번째는 지역 관계에 관한 주제이다. 많은 교사들의 실천 경험이 있는 주제로는 “마을 만들기”, “지역 경제”가 있으며, 다루어야 할 주제로서의 우선순위도 높다. 이는 교사들이 학습지도요령의 의도에 따라 학생들에게 밀접한 지역 관계 주제를 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학생들의 관심이나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교사의 실천 경험 여부와의 부정합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cause inconsistency between student interest and teacher implementation of the three themes of “Time for Integrated Inquiry”, through an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Japanese se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The first theme, “science and technology,” was dealt with by a lower percentage of teachers, in fact lower than the average for all themes, despite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terested in the subject being higher than the average for all themes. In terms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sciences (natural sciences) courses, both the percentage of teachers experienced in dealing with this theme and also the percentage of students interested in it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science courses than for arts courses, suggesting that the high level of expertise expected of teachers has kept them from practicing the subject. The second theme, “fin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garnered above-average student interest with potential for comprehensive, cross-disciplinary learning. However, teachers face practical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reativity education in the fine arts, which makes them hesitant to develop it into an educational practice. The third theme, “community relations,” saw many teachers have practical experience with the high-priority themes of “town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y” in this survey. This is because teachers emphasize themes related to local areas familiar to students, aligning with the intent of the Courses of Study. However, inadequate measures to increase student interest and motivation have resulted in a disconnect between student interest and the availability of practical experience by teachers.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