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探究教师的学生评价能力:关注教师自我评价与作品集评价方法的差异","authors":"Na Yeon Kim","doi":"10.30916/kera.61.7.25","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의 교육개혁의 맥락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강조해왔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사의 자기평가 결과와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여 전문가 집단이 평정한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실증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실제 평가활동을 반영한 학생평가에 관한 교사포트폴리오를 한 학기에 걸쳐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의 학생평가역량의 5개 하위요소에서 모두 자기평가 결과가 포트폴리오 평가 결과보다 높게 나타나 교사들은 스스로의 평가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평가는 다양한 평가이론을 이해하고, 다른 교사들의 평가방법을 공유하며, 교사들의 학생평가 활동 전반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교육과정의 본격적인 도입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향상을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PeriodicalId":345726,"journal":{"name":"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volume":"11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탐색: 교사 자기평가와 포트폴리오 평가 방식 간 차이를 중심으로\",\"authors\":\"Na Yeon Kim\",\"doi\":\"10.30916/kera.61.7.25\",\"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의 교육개혁의 맥락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강조해왔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사의 자기평가 결과와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여 전문가 집단이 평정한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실증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실제 평가활동을 반영한 학생평가에 관한 교사포트폴리오를 한 학기에 걸쳐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의 학생평가역량의 5개 하위요소에서 모두 자기평가 결과가 포트폴리오 평가 결과보다 높게 나타나 교사들은 스스로의 평가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평가는 다양한 평가이론을 이해하고, 다른 교사들의 평가방법을 공유하며, 교사들의 학생평가 활동 전반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교육과정의 본격적인 도입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향상을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PeriodicalId\":345726,\"journal\":{\"name\":\"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volume\":\"11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916/kera.61.7.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916/kera.61.7.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최근의 교육개혁의 맥락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강조해왔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사의 자기평가 결과와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여 전문가 집단이 평정한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실증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실제 평가활동을 반영한 학생평가에 관한 교사포트폴리오를 한 학기에 걸쳐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의 학생평가역량의 5개 하위요소에서 모두 자기평가 결과가 포트폴리오 평가 결과보다 높게 나타나 교사들은 스스로의 평가역량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평가는 다양한 평가이론을 이해하고, 다른 교사들의 평가방법을 공유하며, 교사들의 학생평가 활동 전반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교육과정의 본격적인 도입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향상을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