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DEA-SBM的国际航天企业与国内航天企业效率比较研究","authors":"Dong-Hyeon Lee, Sang-Ok Choi","doi":"10.5139/jksas.2023.51.11.819","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우주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어 세계 각국은 민간 기업 중심으로 우주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우주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는 조성 중인 상황으로 우주 기업들의 경영 효율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53개 주요 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DEA:Data En 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이용하여 우주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세계 우주 기업과 국내 우주 기업 간의 경영 효율성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성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율성 개선을 위한 분석결과, 총자산, 직원수가 효율성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정부의 민간 주도 우주산업화를 위한 세부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12","pages":"0"},"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between Global Space Companies and Domestic Companies by using DEA-SBM\",\"authors\":\"Dong-Hyeon Lee, Sang-Ok Choi\",\"doi\":\"10.5139/jksas.2023.51.11.819\",\"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우주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어 세계 각국은 민간 기업 중심으로 우주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우주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는 조성 중인 상황으로 우주 기업들의 경영 효율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53개 주요 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DEA:Data En 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이용하여 우주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세계 우주 기업과 국내 우주 기업 간의 경영 효율성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성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율성 개선을 위한 분석결과, 총자산, 직원수가 효율성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정부의 민간 주도 우주산업화를 위한 세부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2856,\"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volume\":\"38 12\",\"pages\":\"0\"},\"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3-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8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ENGINEERING, AEROSPAC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39/jksas.2023.51.11.8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ENGINEERING, AEROSPAC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最近宇宙产业领域的增长加快,世界各国都在以民间企业为中心推进宇宙产业的培育,韩国也在制定将宇宙产业培育成未来主力产业的政策。但是,民间主导的宇宙产业生态界目前正在建立,因此对宇宙企业的经营效率性分析缺乏系统的研究。本研究中对全世界53个主要面向宇宙企业资料福乐分析方法(dea: data en velopment analysis,以下简称dea)利用宇宙测量,企业的效率性世界的宇宙企业和国内企业之间的经营效率,通过比较分析得出,效率改善方案和政策启示。为了改善效率,分析结果显示,总资产、员工人数是改善效率的相对重要因素。本研究的分析结果有望作为韩国政府制定民间主导宇宙产业化细节政策的参考资料使用。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between Global Space Companies and Domestic Companies by using DEA-SBM
최근 우주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어 세계 각국은 민간 기업 중심으로 우주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우주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 생태계는 조성 중인 상황으로 우주 기업들의 경영 효율성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53개 주요 우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DEA:Data En 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이용하여 우주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세계 우주 기업과 국내 우주 기업 간의 경영 효율성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성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율성 개선을 위한 분석결과, 총자산, 직원수가 효율성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국 정부의 민간 주도 우주산업화를 위한 세부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