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仙人掌果实提取物对B16F10细胞黑色素积累的抗氧化和抑制作用","authors":"Su-Hyeon Hwang, Gyo-Nam Kim","doi":"10.17495/easdl.2023.8.33.4.28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 WEC를 제조하고 이의 항산화 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73.98%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WEC의 환원력은 42.11 μM으로 CuSUP2+/SUP을 CuSUP1+/SUP 이온으로 환원하였고, 이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ascorbic acid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WEC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4, 4.05, 6.77, 11.36 및 19.24 μg GAE/mL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이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B16F10 세포에서 WEC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년초 열매의 항산화 효과를 증명하였으며, 멜라닌 형성 억제 소재로서의 기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8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tioxidant and Inhibitory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Cactus) Fruit Extract on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Cells\",\"authors\":\"Su-Hyeon Hwang, Gyo-Nam Kim\",\"doi\":\"10.17495/easdl.2023.8.33.4.28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 WEC를 제조하고 이의 항산화 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73.98%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WEC의 환원력은 42.11 μM으로 CuSUP2+/SUP을 CuSUP1+/SUP 이온으로 환원하였고, 이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ascorbic acid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WEC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4, 4.05, 6.77, 11.36 및 19.24 μg GAE/mL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이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B16F10 세포에서 WEC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년초 열매의 항산화 효과를 증명하였으며, 멜라닌 형성 억제 소재로서의 기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8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8.33.4.28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8.33.4.28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tioxidant and Inhibitory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Cactus) Fruit Extract on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Cells
본 연구에서 WEC를 제조하고 이의 항산화 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73.98%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WEC의 환원력은 42.11 μM으로 CuSUP2+/SUP을 CuSUP1+/SUP 이온으로 환원하였고, 이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ascorbic acid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WEC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4, 4.05, 6.77, 11.36 및 19.24 μg GAE/mL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이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과의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B16F10 세포에서 WEC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년초 열매의 항산화 효과를 증명하였으며, 멜라닌 형성 억제 소재로서의 기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