基于2019年和2022年食品消费者行为调查的地方农产品企业振兴成人农产品消费能力指数变化研究

Hyang-Sook Yang
{"title":"基于2019年和2022年食品消费者行为调查的地方农产品企业振兴成人农产品消费能力指数变化研究","authors":"Hyang-Sook Yang","doi":"10.17495/easdl.2023.8.33.4.35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COVID-19 이전 2019년과 COVID-19 기간인 2022년의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지역농식품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소비환경 파악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BR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농식품 소비자역량 점수는 2019년 71.58점, 2022년 70.33점으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둘째, 농식품구매역량 18항목의 총 평균을 비교한 결과 2019년보다 2022년에 유의적으로 역량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01). 농식품 표시이용 하위 역량 중 ‘농식품 구입 시 GAP, HACCP 인증은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와 ‘농식품 구입 시 안전한 식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GAP, HACCP 인증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입한다’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농식품 정보활용은 ‘농식품을 구입할 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와 ‘건강한 농식품 소비를 위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활용하여 바람직한 식품을 선택하고 있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19년에 비해 COVID-19 기간인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농식품구매환경은 ‘거주지 근거리에 식료품점이 충분히 존재하며 식품을 구입하고 조리하는 데 신체적 어려움이 없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22년 COVID-19 기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셋째, 식생활 역량 항목의 총평균은 2019BR년도 비교시 2022년에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01). 건강한 식생활 항목 중 ‘하루 한 번 이상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한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안전한 식생활 항목의 전체 평균은 3.54±0.54점이었고,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반면, 전통식생활 항목은 2022년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넷째, 소비자 시민역량에 있어서도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고(p0.001), 총 20항목에서 COVID-19 기간인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역량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는 우리나라 국민을 표본으로 모집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분석으로써 우리나라 국민의 대표성을 확보했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농식품 선택 및 구매, 조리 및 섭취,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본 결과는 소비자들의 구매 및 소비행태를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향후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로컬창업과 소비자대상의 마케팅의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품행태조사는 횡단 연구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 도출에 한계점이 있다는 점과 소비자 역량지수와 함께 식생활 변화 요인들과의 탐색적 분석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10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Changes in the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of Adults for Revitalization of Local Agrifood Business - Using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in 2019 and 2022 -\",\"authors\":\"Hyang-Sook Yang\",\"doi\":\"10.17495/easdl.2023.8.33.4.35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COVID-19 이전 2019년과 COVID-19 기간인 2022년의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지역농식품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소비환경 파악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BR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농식품 소비자역량 점수는 2019년 71.58점, 2022년 70.33점으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둘째, 농식품구매역량 18항목의 총 평균을 비교한 결과 2019년보다 2022년에 유의적으로 역량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01). 농식품 표시이용 하위 역량 중 ‘농식품 구입 시 GAP, HACCP 인증은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와 ‘농식품 구입 시 안전한 식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GAP, HACCP 인증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입한다’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농식품 정보활용은 ‘농식품을 구입할 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와 ‘건강한 농식품 소비를 위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활용하여 바람직한 식품을 선택하고 있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19년에 비해 COVID-19 기간인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농식품구매환경은 ‘거주지 근거리에 식료품점이 충분히 존재하며 식품을 구입하고 조리하는 데 신체적 어려움이 없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22년 COVID-19 기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셋째, 식생활 역량 항목의 총평균은 2019BR년도 비교시 2022년에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01). 건강한 식생활 항목 중 ‘하루 한 번 이상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한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안전한 식생활 항목의 전체 평균은 3.54±0.54점이었고,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반면, 전통식생활 항목은 2022년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넷째, 소비자 시민역량에 있어서도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고(p0.001), 총 20항목에서 COVID-19 기간인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역량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는 우리나라 국민을 표본으로 모집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분석으로써 우리나라 국민의 대표성을 확보했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농식품 선택 및 구매, 조리 및 섭취,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본 결과는 소비자들의 구매 및 소비행태를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향후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로컬창업과 소비자대상의 마케팅의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품행태조사는 횡단 연구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 도출에 한계점이 있다는 점과 소비자 역량지수와 함께 식생활 변화 요인들과의 탐색적 분석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10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8.33.4.35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8.33.4.35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是covid - 19与以前2019年covid - 19期间,2022年的食品消费调查利用原始资料,成人的农食品消费力量指数变化趋势分析,未来地方农食品商务旨在搞活把握消费者的消费环境和制定政策,提供第一手资料。BR本研究的主要研究结果可以概括如下。第一,调查对象的农食品消费者力量分数2019年为71.58分,2022年为70.33分,2022年有显著减少(p0.001)。第二,对农食品购买能力18项的总平均进行比较的结果显示,2022年的力量分数比2019年低(p0.001)。农食品部表示利用下层力量中“农食品购买时gap, haccp认证,选择安全的食品,有助于购买”和“农食品时安全的食品为了购买gap, haccp认证产品优先购买的”以外的所有试题在2022年留意地减少了(p0。001)。农食品购买信息的“农食品时,必要的检索信息的方法,熟识了”和“为健康的农食品消费,客观准确地运用信息,选择理想的食品”以外的所有项目在2019年相比covid - 19期间,2022年留意地减少了(p0。001)。除“居住地附近有充分的食品店,购买食品和烹饪没有身体上的困难”外,农食品购买环境在2022年COVID-19期间均有显著减少(p0.05)。第三,饮食生活力量项目的总均值在2019BR年度比较时,2022年显示出有意义的低结果(p0.001)。在健康饮食项目中,除了“每天与家人一起吃饭一次以上”以外的所有项目在2022年都有显著减少(p0.001)。安全饮食项目的平均分数为3.54±0.54分,2022年比2019年有显著减少(p0.001)。与此相反,传统饮食项目在2022年有显著增加(p0.001)。第四,与2019年相比,2022年的消费者和市民力量显著低于2019年(p0.001),而在COVID-19期间的2022年,20个项目显著减少。以上结果表明,在COVID-19等pandemic情况下,消费者对农产品的力量指数呈下降趋势。农食品消费者力量指数的优点是,以韩国国民为样本进行分析,适用权重值,确保了韩国国民的代表性。也是农食品选择及购买、烹饪及摄取,作为市民的权利和责任,对综合评价的指标可以用看的结果是消费者的购买和消费数据可以理解的方式为今后利用地区农产品的本地创业和消费者的营销对象的资料。在这一点上可以用作研究的意义。但是本研究中使用的食品形态调查是横向研究,在引出原因和结果的关系上存在局限性,消费者力量指数和饮食生活变化要素的探索性分析需要追加进行。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 Study on Changes in the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of Adults for Revitalization of Local Agrifood Business - Using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in 2019 and 2022 -
본 연구는 COVID-19 이전 2019년과 COVID-19 기간인 2022년의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향후 지역농식품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소비환경 파악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BR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농식품 소비자역량 점수는 2019년 71.58점, 2022년 70.33점으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둘째, 농식품구매역량 18항목의 총 평균을 비교한 결과 2019년보다 2022년에 유의적으로 역량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01). 농식품 표시이용 하위 역량 중 ‘농식품 구입 시 GAP, HACCP 인증은 안전한 식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된다’와 ‘농식품 구입 시 안전한 식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GAP, HACCP 인증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입한다’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농식품 정보활용은 ‘농식품을 구입할 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와 ‘건강한 농식품 소비를 위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활용하여 바람직한 식품을 선택하고 있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19년에 비해 COVID-19 기간인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농식품구매환경은 ‘거주지 근거리에 식료품점이 충분히 존재하며 식품을 구입하고 조리하는 데 신체적 어려움이 없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22년 COVID-19 기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셋째, 식생활 역량 항목의 총평균은 2019BR년도 비교시 2022년에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01). 건강한 식생활 항목 중 ‘하루 한 번 이상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한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안전한 식생활 항목의 전체 평균은 3.54±0.54점이었고,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반면, 전통식생활 항목은 2022년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넷째, 소비자 시민역량에 있어서도 2019년에 비해 2022년에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고(p0.001), 총 20항목에서 COVID-19 기간인 2022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역량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는 우리나라 국민을 표본으로 모집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분석으로써 우리나라 국민의 대표성을 확보했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농식품 선택 및 구매, 조리 및 섭취,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본 결과는 소비자들의 구매 및 소비행태를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향후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로컬창업과 소비자대상의 마케팅의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품행태조사는 횡단 연구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 도출에 한계점이 있다는 점과 소비자 역량지수와 함께 식생활 변화 요인들과의 탐색적 분석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