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华津训练中心军民协同治理研究","authors":"Jung-Min Ban, Hong-Sang Jeong","doi":"10.20484/klog.27.2.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에 소재한 화진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민·관·군 상호 대응활동을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본문에서 본 연구는 Ansell & Gash(2008)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준용하여 훈련장 이전과 관련한 민·관·군 협력 활동의 초기조건, 제도적 장치, 촉진적 리더십, 협력활동의 과정 및 성과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분석틀을 상정하고, 상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각 단계별 민·관·군 협력 활동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본다.BR 본 연구는 설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민·관·군 협력 활동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이 지속되는 경우 각 단계별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결론에서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거버넌스 제도 설계 및 촉진적 리더십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 제시와 함께 연구과정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지속될 경우에 단계별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 사례분석이 가능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7977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volume":"38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Cooperative Governance of Civil, Public, and Military Related to Hwajin Training Center\",\"authors\":\"Jung-Min Ban, Hong-Sang Jeong\",\"doi\":\"10.20484/klog.27.2.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에 소재한 화진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민·관·군 상호 대응활동을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본문에서 본 연구는 Ansell & Gash(2008)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준용하여 훈련장 이전과 관련한 민·관·군 협력 활동의 초기조건, 제도적 장치, 촉진적 리더십, 협력활동의 과정 및 성과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분석틀을 상정하고, 상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각 단계별 민·관·군 협력 활동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본다.BR 본 연구는 설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민·관·군 협력 활동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이 지속되는 경우 각 단계별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결론에서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거버넌스 제도 설계 및 촉진적 리더십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 제시와 함께 연구과정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지속될 경우에 단계별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 사례분석이 가능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7977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volume\":\"38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484/klog.27.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484/klog.27.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Cooperative Governance of Civil, Public, and Military Related to Hwajin Training Center
본 연구는 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에 소재한 화진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민·관·군 상호 대응활동을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본문에서 본 연구는 Ansell & Gash(2008)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준용하여 훈련장 이전과 관련한 민·관·군 협력 활동의 초기조건, 제도적 장치, 촉진적 리더십, 협력활동의 과정 및 성과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분석틀을 상정하고, 상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각 단계별 민·관·군 협력 활동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본다.BR 본 연구는 설정한 분석틀에 근거하여 훈련장 이전을 둘러싼 민·관·군 협력 활동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이 지속되는 경우 각 단계별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결론에서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거버넌스 제도 설계 및 촉진적 리더십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 제시와 함께 연구과정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지속될 경우에 단계별 협력적 거버넌스 활동 사례분석이 가능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