制定中的政策伙伴关系:洛东江流域水源迁移的困惑

Chang Soo Kim
{"title":"制定中的政策伙伴关系:洛东江流域水源迁移的困惑","authors":"Chang Soo Kim","doi":"10.20484/klog.27.2.20","DOIUrl":null,"url":null,"abstract":"지역상생의 파트너십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정부수준의 파트너십 형성으로 충분한가?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정책파트너십 분석틀을 구성하여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직면한 정부주도의 지역상생 파트너십으로 인한 한계의 원인을 분석하고, 진정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할 수 있는 지역상생의 파트너십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행위자들은 공식기관과 비공식기관, 찬반집단으로 나뉘어 결집하고 있지만, 합의형성을 위한 응집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식기관과 비공식기관의 입장차이가 명확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배제된 형식적 수준의 참여와 연계망이 확인되었다. 셋째, 갈등영향분석을 통해 대구와 구미 행위자들의 목표의 공유도와 연계의 강도가 비교적 낮기는 하지만, 부산 경남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의형성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울산의 경우 대구와 구미의 합의형성 여부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한 상태이다. 넷째, 반쪽짜리 정책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하는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정부관계자들 간의 신사협정, 그리고 낙동강수계법의 개정 등 제도에 대한 정당성이 취약하여 수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넓은 참여, 연계망 형성, 신뢰의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BR 결론적으로 맑은 물 공급과 취수원 이전을 위한 지역상생의 파트너십은 반쪽짜리로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주체가 지역주민과 시민사회의 충분한 동의를 구하지 않는다든가 시민사회를 동등한 협력자로 인정하지 않을때 성공적인 파트너십 형성이 가능하지 않고 갈등은 지속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낙동강 취수원 이전 및 다변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행위자들의 신뢰의 회복이 중요하지만, 대구광역시장이 바트나를 선택하여 안동댐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기존 합의형성의 틀을 깼기 때문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 4월 낙동강수계법 개정을 통한 지역상생기금의 확보는 물이용 부담금의 인상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상・하류간의 공정한 협력모델의 제안이 필요하다.","PeriodicalId":17977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olicy Partnership in the Making: The Puzzles of the Relocation of Water Sour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authors\":\"Chang Soo Kim\",\"doi\":\"10.20484/klog.27.2.20\",\"DOIUrl\":null,\"url\":null,\"abstract\":\"지역상생의 파트너십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정부수준의 파트너십 형성으로 충분한가?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정책파트너십 분석틀을 구성하여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직면한 정부주도의 지역상생 파트너십으로 인한 한계의 원인을 분석하고, 진정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할 수 있는 지역상생의 파트너십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행위자들은 공식기관과 비공식기관, 찬반집단으로 나뉘어 결집하고 있지만, 합의형성을 위한 응집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식기관과 비공식기관의 입장차이가 명확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배제된 형식적 수준의 참여와 연계망이 확인되었다. 셋째, 갈등영향분석을 통해 대구와 구미 행위자들의 목표의 공유도와 연계의 강도가 비교적 낮기는 하지만, 부산 경남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의형성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울산의 경우 대구와 구미의 합의형성 여부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한 상태이다. 넷째, 반쪽짜리 정책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하는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정부관계자들 간의 신사협정, 그리고 낙동강수계법의 개정 등 제도에 대한 정당성이 취약하여 수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넓은 참여, 연계망 형성, 신뢰의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BR 결론적으로 맑은 물 공급과 취수원 이전을 위한 지역상생의 파트너십은 반쪽짜리로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주체가 지역주민과 시민사회의 충분한 동의를 구하지 않는다든가 시민사회를 동등한 협력자로 인정하지 않을때 성공적인 파트너십 형성이 가능하지 않고 갈등은 지속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낙동강 취수원 이전 및 다변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행위자들의 신뢰의 회복이 중요하지만, 대구광역시장이 바트나를 선택하여 안동댐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기존 합의형성의 틀을 깼기 때문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 4월 낙동강수계법 개정을 통한 지역상생기금의 확보는 물이용 부담금의 인상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상・하류간의 공정한 협력모델의 제안이 필요하다.\",\"PeriodicalId\":17977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484/klog.27.2.2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484/klog.27.2.2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构成地区相生伙伴关系,形成政府水平的伙伴关系就足够了吗?从研究中对合作伙伴政策分析框架,应当组成地区居民和环境团体的反对,因面临的地区政府主导共赢伙伴局限性的分析原因,真正可以形成社会共识的地区,共赢的伙伴关系方案的提案。第一,行为者分为正式机关、非正式机关、赞成和反对集团进行团结,但形成协议的凝聚性较弱。第二,可以看出正式机关和非正式机关的立场差异很明显,确认了排除地区居民和市民团体的形式上的参与和联系网。第三,通过矛盾影响分析,确认了大邱和欧美行为者的目标共有度和联系强度较低,但与釜山、庆南地区相比,形成协议的可能性相对较高。从蔚山的情况来看,依赖于大邱和龟尾能否形成协议的性质非常强烈。第四,以一半政策伙伴关系为基础的洛东江统合水管理方案、政府相关人士之间的君子协定、洛东江水系法的修订等制度的正当性脆弱,接受性较低。这对广泛的参与、连接网的形成、信赖的相互作用产生了负面影响。BR结果显示,为供应清澈的水和迁移取水源的地区相生伙伴关系只有一半,处于低潮。如果政策主体不得到地区居民和市民社会的充分同意或不承认市民社会是同等的合作者,就不可能形成成功的伙伴关系,矛盾也会持续下去。因此,要想成功实现洛东江取水源迁移及多边化,最重要的是恢复行为者的信任,但随着大邱广域市市长选择巴特那,将方向转向安东水库,打破了现有的协议形成框架,因此迎来了新的局面。另外,通过2023年4月修改《洛东江水系法》确保地区相生基金,考虑到提高水利用负担金,因此有必要提出上、下游之间的公平合作模式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Policy Partnership in the Making: The Puzzles of the Relocation of Water Sour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지역상생의 파트너십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정부수준의 파트너십 형성으로 충분한가?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정책파트너십 분석틀을 구성하여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에 직면한 정부주도의 지역상생 파트너십으로 인한 한계의 원인을 분석하고, 진정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할 수 있는 지역상생의 파트너십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첫째, 행위자들은 공식기관과 비공식기관, 찬반집단으로 나뉘어 결집하고 있지만, 합의형성을 위한 응집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식기관과 비공식기관의 입장차이가 명확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지역주민과 시민단체가 배제된 형식적 수준의 참여와 연계망이 확인되었다. 셋째, 갈등영향분석을 통해 대구와 구미 행위자들의 목표의 공유도와 연계의 강도가 비교적 낮기는 하지만, 부산 경남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의형성의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울산의 경우 대구와 구미의 합의형성 여부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한 상태이다. 넷째, 반쪽짜리 정책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하는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정부관계자들 간의 신사협정, 그리고 낙동강수계법의 개정 등 제도에 대한 정당성이 취약하여 수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넓은 참여, 연계망 형성, 신뢰의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BR 결론적으로 맑은 물 공급과 취수원 이전을 위한 지역상생의 파트너십은 반쪽짜리로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주체가 지역주민과 시민사회의 충분한 동의를 구하지 않는다든가 시민사회를 동등한 협력자로 인정하지 않을때 성공적인 파트너십 형성이 가능하지 않고 갈등은 지속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낙동강 취수원 이전 및 다변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행위자들의 신뢰의 회복이 중요하지만, 대구광역시장이 바트나를 선택하여 안동댐으로 방향을 돌리면서 기존 합의형성의 틀을 깼기 때문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 4월 낙동강수계법 개정을 통한 지역상생기금의 확보는 물이용 부담금의 인상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상・하류간의 공정한 협력모델의 제안이 필요하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