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BL教学法在角色化妆设计教学中的应用研究","authors":"Hee Yoon","doi":"10.21184/jkeia.2023.8.17.6.1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H 대학교 메이크업 전공 교과 성격분장디자인 수업에 PBL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학습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메이크업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BR 기존의 강의식으로 진행했던 성격분장 교과목을 PBL 수업으로 재설계하였으며, 수업운영은 주1회 총 15주 수업 중 4주간을 PBL 기반으로 실시하였다BR 학습자들의 PBL 수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형 전공 교육과정 적용 후 전반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문제해결형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문제 명료화, 원인분석, 대안 개발, 계획/실행, 수행평가와 각 하위영역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문제해결형 전공 교육과정 적용 후 전반적인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리더의 양상, 의견교환, 의견평가, 의견통합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PBL을 적용한 성격분장 수업은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이크업 전공 실습 교육에서 PBL 기반 수업은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유용한 교수학습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BR 본 연구는 PBL 기반의 수업모델을 메이크업 전공의 성격분장디자인 교과에 적용한 시도로써, 메이크업 전공 분야의 PBL 기반 수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Teaching Method in Character Makeup Design\",\"authors\":\"Hee Yoon\",\"doi\":\"10.21184/jkeia.2023.8.17.6.1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H 대학교 메이크업 전공 교과 성격분장디자인 수업에 PBL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학습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메이크업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BR 기존의 강의식으로 진행했던 성격분장 교과목을 PBL 수업으로 재설계하였으며, 수업운영은 주1회 총 15주 수업 중 4주간을 PBL 기반으로 실시하였다BR 학습자들의 PBL 수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형 전공 교육과정 적용 후 전반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문제해결형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문제 명료화, 원인분석, 대안 개발, 계획/실행, 수행평가와 각 하위영역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문제해결형 전공 교육과정 적용 후 전반적인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리더의 양상, 의견교환, 의견평가, 의견통합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PBL을 적용한 성격분장 수업은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이크업 전공 실습 교육에서 PBL 기반 수업은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유용한 교수학습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BR 본 연구는 PBL 기반의 수업모델을 메이크업 전공의 성격분장디자인 교과에 적용한 시도로써, 메이크업 전공 분야의 PBL 기반 수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Teaching Method in Character Makeup Design
본 연구는 H 대학교 메이크업 전공 교과 성격분장디자인 수업에 PBL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학습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메이크업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BR 기존의 강의식으로 진행했던 성격분장 교과목을 PBL 수업으로 재설계하였으며, 수업운영은 주1회 총 15주 수업 중 4주간을 PBL 기반으로 실시하였다BR 학습자들의 PBL 수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형 전공 교육과정 적용 후 전반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문제해결형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문제 명료화, 원인분석, 대안 개발, 계획/실행, 수행평가와 각 하위영역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문제해결형 전공 교육과정 적용 후 전반적인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리더의 양상, 의견교환, 의견평가, 의견통합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PBL을 적용한 성격분장 수업은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이크업 전공 실습 교육에서 PBL 기반 수업은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유용한 교수학습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BR 본 연구는 PBL 기반의 수업모델을 메이크업 전공의 성격분장디자인 교과에 적용한 시도로써, 메이크업 전공 분야의 PBL 기반 수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