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为成功解决自治警察制度而确保和组织可持续的财政资源——以各方案的利弊分析为重点","authors":"Na Young Kim, Chan Young Park","doi":"10.37582/cspp.2023.17.2.1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자치경찰사무 지원에 필요한 재원 확보 및 편성방안별 장단점을 검토·분석하여 한국형 자치경찰제에 가장 안정적으로 정착·운영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장단점 분석 결과, 자치경찰사무는 국가가 지원하고 각 지역 자체적으로 지자체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추가적인 서비스는 지역이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국고보조금 지원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재정분권 모델도 함께 고려하여 중앙정부 기능의 지방이양과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세입 확충기반 강화 등 재정자율성과 재정책임성 강조 차원에서 재원을 충당하는 방식도 제시하였다. 사무이양에 따른 소요비용은 지방소비세율을 인상하여 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만, 자주재원으로 충당 시에 각 자치단체의 재정여력에 따라 치안 역량의 균질성 확보 문제가 대두될 여지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회계 설치 방안과 자치경찰교부세와 병행하여 운영하는 방안, 교통관련 과태료 및 범칙금 활용, 자치경찰세 신설 방안 등을 고려하였다.","PeriodicalId":496732,"journ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ecuring and Organizing Sustainabl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 Focusing on Analysis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Plan\",\"authors\":\"Na Young Kim, Chan Young Park\",\"doi\":\"10.37582/cspp.2023.17.2.14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자치경찰사무 지원에 필요한 재원 확보 및 편성방안별 장단점을 검토·분석하여 한국형 자치경찰제에 가장 안정적으로 정착·운영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장단점 분석 결과, 자치경찰사무는 국가가 지원하고 각 지역 자체적으로 지자체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추가적인 서비스는 지역이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국고보조금 지원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재정분권 모델도 함께 고려하여 중앙정부 기능의 지방이양과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세입 확충기반 강화 등 재정자율성과 재정책임성 강조 차원에서 재원을 충당하는 방식도 제시하였다. 사무이양에 따른 소요비용은 지방소비세율을 인상하여 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만, 자주재원으로 충당 시에 각 자치단체의 재정여력에 따라 치안 역량의 균질성 확보 문제가 대두될 여지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회계 설치 방안과 자치경찰교부세와 병행하여 운영하는 방안, 교통관련 과태료 및 범칙금 활용, 자치경찰세 신설 방안 등을 고려하였다.\",\"PeriodicalId\":496732,\"journ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582/cspp.2023.17.2.1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582/cspp.2023.17.2.14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Securing and Organizing Sustainabl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 Focusing on Analysis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Plan
본 연구는 자치경찰사무 지원에 필요한 재원 확보 및 편성방안별 장단점을 검토·분석하여 한국형 자치경찰제에 가장 안정적으로 정착·운영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장단점 분석 결과, 자치경찰사무는 국가가 지원하고 각 지역 자체적으로 지자체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추가적인 서비스는 지역이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국고보조금 지원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재정분권 모델도 함께 고려하여 중앙정부 기능의 지방이양과 재정분권에 따른 지방세입 확충기반 강화 등 재정자율성과 재정책임성 강조 차원에서 재원을 충당하는 방식도 제시하였다. 사무이양에 따른 소요비용은 지방소비세율을 인상하여 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만, 자주재원으로 충당 시에 각 자치단체의 재정여력에 따라 치안 역량의 균질성 확보 문제가 대두될 여지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별회계 설치 방안과 자치경찰교부세와 병행하여 운영하는 방안, 교통관련 과태료 및 범칙금 활용, 자치경찰세 신설 방안 등을 고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