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企业财务稳定性对股票收益的影响研究","authors":"Sun-Je Kim","doi":"10.37674/ceoms.26.2.1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재무안정성과 주가를 실증분석해서 재무안정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재무안정성을 고려하여 투자자가 현명한 투자를 통해 자본을 공급하는 시장참여자로 기능할 수 있게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8년 결산부터 2022년 결산까지 공시된 재무제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재무안정성 지표는 유동성 비율과 자본구조 비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동성 비율인 유동비율, 순운전자본비율은 양호 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미흡한 비율의 상승종목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당좌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상승종목 수 비중도 높았다. 재무구조 비율인 부채비율과 비유동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상승종목 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자보상 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미흡한 비율의 상승종 목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5년 평균 주식수익률은 연평균 17.1%를 기록하여 장기투 자수익률은 정기예금에 비해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은 재무안정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 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주식종목 선정방안을 제시한데 있다.","PeriodicalId":479866,"journ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volume":"1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Financial Stability on Stock Returns\",\"authors\":\"Sun-Je Kim\",\"doi\":\"10.37674/ceoms.26.2.1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재무안정성과 주가를 실증분석해서 재무안정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재무안정성을 고려하여 투자자가 현명한 투자를 통해 자본을 공급하는 시장참여자로 기능할 수 있게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8년 결산부터 2022년 결산까지 공시된 재무제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재무안정성 지표는 유동성 비율과 자본구조 비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동성 비율인 유동비율, 순운전자본비율은 양호 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미흡한 비율의 상승종목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당좌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상승종목 수 비중도 높았다. 재무구조 비율인 부채비율과 비유동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상승종목 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자보상 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미흡한 비율의 상승종 목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5년 평균 주식수익률은 연평균 17.1%를 기록하여 장기투 자수익률은 정기예금에 비해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은 재무안정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 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주식종목 선정방안을 제시한데 있다.\",\"PeriodicalId\":479866,\"journ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volume\":\"1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674/ceoms.26.2.1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674/ceoms.26.2.1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Financial Stability on Stock Return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재무안정성과 주가를 실증분석해서 재무안정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재무안정성을 고려하여 투자자가 현명한 투자를 통해 자본을 공급하는 시장참여자로 기능할 수 있게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8년 결산부터 2022년 결산까지 공시된 재무제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재무안정성 지표는 유동성 비율과 자본구조 비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동성 비율인 유동비율, 순운전자본비율은 양호 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미흡한 비율의 상승종목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당좌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상승종목 수 비중도 높았다. 재무구조 비율인 부채비율과 비유동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고, 상승종목 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자보상 비율은 양호한 비율이 평균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미흡한 비율의 상승종 목 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5년 평균 주식수익률은 연평균 17.1%를 기록하여 장기투 자수익률은 정기예금에 비해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은 재무안정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 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주식종목 선정방안을 제시한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