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发现老年人不动的相关因素:来自全国住户出行调查分析的证据","authors":"Gyeo Reh Lee, Shinwoo Lee","doi":"10.37582/cspp.2023.17.2.116","DOIUrl":null,"url":null,"abstract":"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노인 인구의 이동성 감소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촉구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이동성 감소는 노후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인구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2017년 미국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데이터를 대상으로 보편 서열 로지스틱 모형(generalized ordered logistic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 가구 규모, 가구소득, 자가용 소유 여부 등의 인구·경제학적 요인과 노인 이동성은 강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각한 건강 상태의 악화는 노인 이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자가용을 대체할 수 있는 일반 대중교통의 활용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안적 교통수단(alternative transportation options)의 활용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대안적 교통수단 중 보조 교통수단(paratransit)의 활용이 노인의 단기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보조 교통수단이 노인 이동성을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PeriodicalId":496732,"journ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volume":"20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Finding the Factors Relevant to the Elderly Immobility : Evidence from the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Analysis\",\"authors\":\"Gyeo Reh Lee, Shinwoo Lee\",\"doi\":\"10.37582/cspp.2023.17.2.116\",\"DOIUrl\":null,\"url\":null,\"abstract\":\"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노인 인구의 이동성 감소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촉구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이동성 감소는 노후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인구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2017년 미국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데이터를 대상으로 보편 서열 로지스틱 모형(generalized ordered logistic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 가구 규모, 가구소득, 자가용 소유 여부 등의 인구·경제학적 요인과 노인 이동성은 강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각한 건강 상태의 악화는 노인 이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자가용을 대체할 수 있는 일반 대중교통의 활용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안적 교통수단(alternative transportation options)의 활용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대안적 교통수단 중 보조 교통수단(paratransit)의 활용이 노인의 단기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보조 교통수단이 노인 이동성을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PeriodicalId\":496732,\"journ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volume\":\"20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582/cspp.2023.17.2.11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nggong jeongchaeg gwa gugjeong gwanl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582/cspp.2023.17.2.11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Finding the Factors Relevant to the Elderly Immobility : Evidence from the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Analysis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노인 인구의 이동성 감소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촉구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이동성 감소는 노후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인구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2017년 미국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데이터를 대상으로 보편 서열 로지스틱 모형(generalized ordered logistic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 가구 규모, 가구소득, 자가용 소유 여부 등의 인구·경제학적 요인과 노인 이동성은 강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각한 건강 상태의 악화는 노인 이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자가용을 대체할 수 있는 일반 대중교통의 활용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안적 교통수단(alternative transportation options)의 활용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대안적 교통수단 중 보조 교통수단(paratransit)의 활용이 노인의 단기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보조 교통수단이 노인 이동성을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