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自主收益确认的盈余管理研究","authors":"Hyun-Ju Moon","doi":"10.37674/ceoms.26.2.1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서비스업종과 도‧소매 및 제조업종간의 수익조정을 통한 이익조정의 정도를 재량적 수익모형(Discretionary revenue model)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량적 수익인 매출조정과 선수수익조정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정도가 도⋅소매 및 제조업 종보다 서비스업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용역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업종의 경우 성격상 수익인식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또한 금액의 추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도 많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보고이익 조정의 정도가 다른 업종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추가적으로 이익수준에 따른 재량적 수익의 조정 방향을 분석한 결과. 도⋅소매 및 제조업종 중 흑자기업만이 재량적 매출을 보고이익 상향 조정에 이용한 반면, 재량적 선수수익은 적자기업만이 빅배쓰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79866,"journ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volume":"9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Ea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Revenue Recognition\",\"authors\":\"Hyun-Ju Moon\",\"doi\":\"10.37674/ceoms.26.2.1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서비스업종과 도‧소매 및 제조업종간의 수익조정을 통한 이익조정의 정도를 재량적 수익모형(Discretionary revenue model)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량적 수익인 매출조정과 선수수익조정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정도가 도⋅소매 및 제조업 종보다 서비스업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용역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업종의 경우 성격상 수익인식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또한 금액의 추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도 많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보고이익 조정의 정도가 다른 업종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추가적으로 이익수준에 따른 재량적 수익의 조정 방향을 분석한 결과. 도⋅소매 및 제조업종 중 흑자기업만이 재량적 매출을 보고이익 상향 조정에 이용한 반면, 재량적 선수수익은 적자기업만이 빅배쓰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479866,\"journ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volume\":\"9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674/ceoms.26.2.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674/ceoms.26.2.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Ea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Revenue Recognition
본 연구는 서비스업종과 도‧소매 및 제조업종간의 수익조정을 통한 이익조정의 정도를 재량적 수익모형(Discretionary revenue model)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량적 수익인 매출조정과 선수수익조정을 이용한 이익조정의 정도가 도⋅소매 및 제조업 종보다 서비스업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용역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업종의 경우 성격상 수익인식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또한 금액의 추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도 많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보고이익 조정의 정도가 다른 업종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추가적으로 이익수준에 따른 재량적 수익의 조정 방향을 분석한 결과. 도⋅소매 및 제조업종 중 흑자기업만이 재량적 매출을 보고이익 상향 조정에 이용한 반면, 재량적 선수수익은 적자기업만이 빅배쓰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