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柑桔的作用(Citrus unshiu Marcov.)果皮提取物对3T3-L1脂肪细胞抗氧化和抗脂肪生成活性的影响","authors":"Hee-Bin Ku, Gyo-Nam Kim","doi":"10.17495/easdl.2023.10.33.5.37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가공 후 폐기되는 진피의 활용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진피를 열수 추출하여 CPE를 제조한 후,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실험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법을 통해 CPE는 10, 50, 100, 250, 500 및 1,000 μ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3T3-L1 전지방세포에 CP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50, 100, 200 및 400 μg/mL 농도에서 CPE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adipogenesis 과정을 조절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지방구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가공 부산물로 폐기되는 진피의 항산화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의 천연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되며, 추후 진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과 adipogenesis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전사인자들의 발현 조절 수준 확인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136 8","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ffect of Citrus (Citrus unshiu Marcov.) Peel Extract on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y in 3T3-L1 Adipocytes\",\"authors\":\"Hee-Bin Ku, Gyo-Nam Kim\",\"doi\":\"10.17495/easdl.2023.10.33.5.37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가공 후 폐기되는 진피의 활용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진피를 열수 추출하여 CPE를 제조한 후,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실험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법을 통해 CPE는 10, 50, 100, 250, 500 및 1,000 μ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3T3-L1 전지방세포에 CP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50, 100, 200 및 400 μg/mL 농도에서 CPE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adipogenesis 과정을 조절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지방구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가공 부산물로 폐기되는 진피의 항산화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의 천연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되며, 추후 진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과 adipogenesis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전사인자들의 발현 조절 수준 확인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136 8\",\"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10.33.5.3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10.33.5.3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ffect of Citrus (Citrus unshiu Marcov.) Peel Extract on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y in 3T3-L1 Adipocytes
본 연구에서는 가공 후 폐기되는 진피의 활용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진피를 열수 추출하여 CPE를 제조한 후,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실험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시험법을 통해 CPE는 10, 50, 100, 250, 500 및 1,000 μ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3T3-L1 전지방세포에 CPE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50, 100, 200 및 400 μg/mL 농도에서 CPE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adipogenesis 과정을 조절하여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지방구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가공 부산물로 폐기되는 진피의 항산화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의 천연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되며, 추후 진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과 adipogenesis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전사인자들의 발현 조절 수준 확인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